止
語源
갑골문의 止는 사람의 발가락 형태이다. 본래의 의미는 ‘발가락’이다. 또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다리라는 의미를 가진다. ‘다리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것’을 止라고 여긴다. 그래서 止는 또 멈추다. 정지하다. 움직이지 않고 멈추다(현상을 유지하다), 서식하다(머물다. 쉬다) 등의 의미도 가진다. 그리고 한자 중에 대개 止로 구성되어 있는 글자는, 거의 모두 다리의 행위, 동작과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걷다(步), 이 곳(此), 오르다(陟), 물을 건너다(涉) 등이 있다.[1]
文化
止의 본래 의미는 다리, 발가락이다. 갑골문은 다리, 발가락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다섯 개의 발가락이 세 개로 줄어든 독창적인 구상은 手가 세 개의 손가락으로 표현된 것과 같다. 금문, 석고문, 소전의 자형도 동일하다. 『설문』에서 말하길, “止는 아래의 토대. 초목은 땅에서 나온다. 고로 지는 발이다.” 한대 이르러 예서에서 별도로 足을 추가하여 전적으로 발가락을 가리키는 글자를 만들었고, 이에 止, 趾의 두 글자로 분리되었다.[2]
발의 형태와 관련된 한자는 상당히 많이 있다. 먼저, 止는 발목에서부터 그 앞쪽의 발자국 형태[3]를 말하고, 발목까지의 발을 상징한 것은 疋이라 하고, 무릎관절부터 그 아래로는 足이라고 쓴다.[4] 止는 본래의 의미보다 파생된 의미인 ‘멈추다’는 의미로 많이 쓰이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발’이라는 본래의 뜻을 나타낸다. 止가 하나만 있을 때에는 멈추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좌우의 양발을 상하로 놓으면 步가 되어 ‘걷다’의 의미를 가지고, 양팔을 흔들면서 걷는 모습을 추가하면 走가 되어 ‘달리다’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외에도 此, 正, 出, 先 등의 글자도 止에서 나온 것이다.
止於至善(지극히 선한 경지에 이르다)에서 止는 ‘도달하다’는 의미를 가진다.[5] 발을 나타내던 止가 어떻게 ‘멈추다’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가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의 설이 있다. 먼저, 다리는 신체를 지탱하여 어떠한 곳에 멈추어 서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에 따라 ‘멈추다’, ‘머물다’, ‘기다리다’의 의미가 파생되었다는 해설이 있다.[6] 비슷해 보이는 부분도 하지만 혹자는 止가 어디를 가나 멈추기 때문에 점차 ‘그치다’, ‘멈추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말한다.[7] 혹은 사람이 떠난 후에도 발자국 모양인 止는 바닥에 멈춰있기 때문에, 아니면 止 하나로는 어디론가 갈 수 없기 때문에 ‘멈추다’의 뜻을 가지게 된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도 해본다. 갑골문의 止는 발가락을 세 개로 나타냈으나, 금문에서 다섯 개인 것을 보면 발 모양이 완연한 것을 할 수 있다.
갑골문의 止는 발가락을 세 개로 나타냈으나, 금문에서 다섯 개인 것을 보면 발 모양이 완연한 것을 할 수 있다. 갑골문에서 손을 나타내는 手를 보면, 이 역시 손가락을 세 개로 표현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굳이 3개로 표현을 하였을까? 중국에 있어 숫자 ‘3’의 의미는 남달랐던 것 같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三, 數名也. 天地人之道也. 於文一耦二爲三, 成數也.”
(三은 수의 이름이다. 하늘, 땅, 사람의 도를 뜻한다. 자형을 보면 一과 二가 짝하여 三이 되었으니 완전수다.)”[8]
또한 『노자(老子)』는 “一은 二를 낳고, 二는 三을 낳고, 三은 만물을 낳는다.”고 하였다. 『운회(韻會)』에서는 三에 天・地・人의 삼재(三才)의 도가 담겨 있기 때문에 완전수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又에서 “손가락으로 많은 것을 열거할 때는 대략 셋을 넘지 않는다.”고 하였다.[9]
3에 대한 관념은 다른 것으로도 확인해볼 수 있다. 정(鼎)은 중국 고대의 제례용 용기 중에 하나로, 이는 천하통일과 국가정권을 상징하였고, 나아가 경외의 대상이기도 하였다. 정의 다리는 3개 혹은 4개로 이루어져 있다. 다리가 4개인 것은 우리 사회의 대부분의 물체가 4개의 받침대를 가지고 있기에 이상할 부분이 없다. 현재까지 출토된 정의 상당수가 3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고대 중국사회에서 ‘3’이라는 숫자에 남다른 인식을 하고 있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 ↑ 谢光辉, 『常用汉字图解』, 北京大学出版社, 1999, p.142
- ↑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p.293
- ↑ 시라카와 시즈카, 심경호 역, 『한자, 백 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160
- ↑ 문관수,『한자로 배우는 중국문화』, 현학사, 2005, p.206
- ↑ 류지성, 임진호・김하종 역, 『문화문자학』, 문현, 2011, p.589
- ↑ 류지성, 임진호・김하종 역, 『문화문자학』, 문현, 2011, p.270
- ↑ 양동숙, 『그림으로 배우는 중국문자학』, 차이나하우스, 2006, p.227
- ↑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23
- ↑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