鼓
語源
‘고(鼓)’는 원기둥 형태로 가운데는 비어있으며, 양 끝은 겉가죽으로 덮인 타악기이다. 고대의 양군이 전투하면, 북을 치고 징을 울림으로써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을 지휘하는 것을 가리킨다. 고문자의 ‘고’자는 사람이 손에 북채를 쥐고 북면을 두드리는 것의 형상을 상형한 것으로, 그 원래 뜻은 ‘북을 치다(击鼓)’이다. 뜻이 파생되어 ‘두드리다(敲打)’, ‘톡톡 치다(拍打)’, ‘연주하다(弹奏)’를 가리키며, ‘손뼉을 치다(鼓掌)’, ‘비파를 치다(鼓瑟)’와 같다. 더 확대되어 ‘진동하다(振动)’, ‘정신을 차리다(振作)’, ‘격려하다(激励)’등의 뜻이 있고, 예를 들어 ‘선동하다(鼓动)’, ‘격려하다(鼓励)’, ‘고무하다(鼓舞)’, ‘열의를 북돋우다(鼓足干劲)’가 있다. 이 외에 북의 형태는 밖으로 볼록해서, ‘고’자는 또한 ‘튀어나오다(隆起)’, ‘돌출하다(凸出)’의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볼록한 배(鼓腹)’가 있다.
文化
鼓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았다. 《설문해자》에는 <주례(周禮)>에 六鼓가 나온다. 육고로는, 천신에게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뇌고(雷鼓)’, 지신에게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영고(靈鼓)’, 종묘에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노고(路鼓)’, 군대에서 사용하는 ‘분고(鼖鼓)’, 노역의 집합과 해산에 사용하는 ‘고고(臯鼓)’, 종과 함께 음악을 연주하는 ‘진고(晉鼓)’가 있다. 특히 고인(鼓人)이라는 관직이 있어, 六鼓를 전담하도록 했다는 것에서 鼓의 종류와 그것을 치는 용도도 달랐음을 알 수 있다.[1] 또한 북을 가리키는 한자가 鼓말고도 ‘鼙’(마상 북 비. pí), ‘鼛’(큰 북 고. gāo) 등이 있다.[2]
북은 이처럼 예전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용도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지금도 중요한 축제나 명절 날, 그리고 길흉사 때마다 중국인들이 북을 들고 끊임없이 울려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