奠
語源
갑골문과 금문에서, 奠은 제단 위의 술 단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신과 조상에게 술과 고기를 바치는 것을 의미한다. 제단을 几(책상 궤)로 보기도 하고 丌(책상 기)로 보기도 하는데, 고문에서의 형태를 살펴보면 丌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해서체에서 제단의 모양이 大자로 와전되었다. 본래의 ‘제사지내다’의 의미에서 전안(奠雁: 혼인할 때 신랑이 신부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를 의미)과 같은 ‘선물하다’는 의미, 전기(奠基: 기초를 잡다), 전도(奠都: 수도를 정하다)와 같이 ‘시작하다. 설립하다’는 의미로 파생되었다.
文化
奠은 우두머리 酋와 양손을 그린 大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조상의 신주단지인 추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사장인 추장이 술독을 사용하여 제사를 주관하고 술을 나누어 주며 제사를 집행하는 모든 행위를 말하기도 한다.[1] 酋는 원래 술독 위에 점을 세 개 찍어 술이 익으면서 향기가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모습을 그렸다. 그래서 이 글자는 ‘술’과 ‘오래되다’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오늘날에도 술은 제사상에서 빠져서는 안 되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듯, 옛날 제정일치사회에서 술은 제사의 중요성에 버금가는 아주 특별한 음식이었다. 또, 奠은 한 명 혹은 공통의 제사장 아래에서 함께 제사를 모시는 단위인 고을이나 마을을 나타내는 지명으로도 쓰였다. 하지만 지명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원래 의미와 구분하기 위해 阝를 더하여 鄭으로 썼다.[2]
한편 시라카와 시즈카는 奠이 땅을 선정할 때 점을 치고, 선정하고 난 이후에는 제단에 술을 올리고, 그 땅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서경』 「강고」에는 주공이 새로운 도시 낙읍을 건축한 내용이, 「소고」에는 주공의 시정식을 위하여 식장을 건설하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소고」에서 ‘태보가 아침에 낙에 이르러, 땅을 점치다. 점을 친 후에 곧 일을 하다’라고 하여 점을 쳐서 위치를 정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