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7년 12월 18일 (월) 13:10 (차이 | 역사) . . (+394) . . 새글 必 (새 문서: ==語源== 必은 弋와 八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文化== 금문에 의하면 戈(창 과)가 의미부고 八이 소리부로, 갈라진 틈 사이로 낫창을 끼우...)
- 2017년 12월 18일 (월) 13:10 (차이 | 역사) . . (+395) . . 새글 鳶 (새 문서: ==語源== 鳶은 鳥가 의미부, 弋이 소리부로, ‘솔개’를 말한다. ==文化== 비상 중이던 매가 주살에 명중당할 때 주살의 끈 한쪽 끝단은 새...)
- 2017년 12월 18일 (월) 13:09 (차이 | 역사) . . (+337) . . 새글 弋 (새 문서: ==文化== 주살, 즉 오뉘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을 말한다. 고대 중국에서 화살을 아끼려고 화살에다 줄을 매고 화살을 쏜 후 다시 회수하여...)
- 2017년 12월 18일 (월) 13:09 (차이 | 역사) . . (+571) . . 새글 寫 (새 문서: ==語源== 寫은 형성자이다. 宀(집 면)이 의미부고 舃(신 석)이 소리부로, 집안에다 물건을 놓아두다, 집안으로 물건을 옮기다 등의 뜻을 그...)
- 2017년 12월 18일 (월) 13:08 (차이 | 역사) . . (+1,601) . . 새글 舃 (새 문서: ==語源== 舃은 상형자이다. 금문에서 입을 크게 벌리고 날개를 퍼덕이는 ‘까치’를 그렸다. 이후 나무로 만든 ‘신발’이라는 의미로 가...)
- 2017년 12월 1일 (금) 12:51 (차이 | 역사) . . (+28) . .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2학기 강의 (→위키문서 작성)
- 2017년 12월 1일 (금) 12:46 (차이 | 역사) . . (+154) . .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2학기 강의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제어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