孝
語源
孝는 고대 봉건사회에서 숭배하는 도덕표준의 하나이다. 옛날에는 부모를 잘 모시는 것을 “孝”라고 불렀다. 고문자의 孝자는 위 부분은 허리와 등이 굽고 백발을 휘날리는 한 명의 노인 모습이며, 아래쪽의 子는 어린이를 대표하고, 어린이가 노인을 부축하는 뜻을 나타낸다. 노인을 공경하며, 노인을 보좌하고, 이것은 효도의 구체적 표현의 하나이다. 孝는 또한 부모의 상을 당하고 있음(居丧)을 가리킨다. 즉 웃어른이 돌아가신 후에 일정 시기 내에 일정한 예의와 풍속을 지켜야 한다.
[孝子] 부모에게 효도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또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 상중에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孝顺] 부모를 봉양하는 데에 마음을 다하며, 부모의 뜻을 순순히 따른다.
[孝敬] 물건을 웃어른한테 드린다. 경의를 표한다.[1]
文化
‘老’에 ‘子’가 더해진 모습, 즉 노인이 아들에게 업혀 있는 모습이 효도와 효자를 뜻하는 ‘孝’자이다. 이 글자는 나이든 부모를 자식이 등에 업고 모시는 모습, 즉 봉양하는 모습을 반영한 글자이다.[2]
옛날 유교가 사회를 지배하던 시절, 부모에 대한 효도는 지극히 강조되었다. 그래서 어려서는 부모를 받들고 자라서는 봉양해야 하며, 돌아가신다 해도 그 뜻을 거스르지 않아야 했고, 제사를 모셔 부모의 은덕을 기렸다. 그래서 ‘孝’는 ‘忠’과 함께 나라를 다스리는 주요한 2대 개념으로 인식되었으며, 나이든 노인들은 국가 차원에서 존중되었다. 그리하여 나이에 따른 노인의 명칭도 상당히 세분화되어 있었다. 예컨대 60세 노인을 ‘耆’, 70세 노인을 ‘老’, 80세 노인을 ‘耋’, 90세 노인을 ‘耄’라 했다.[3]
이를 통해 한 문화권에서 특별히 주목하고 관심을 두는 현상에 대한 어휘가 다양하게 발전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키모인은 환경의 특성상 ‘눈’에 관한 명사가 다양하게 발전되어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