吹
語源
吹자의 유래는 口와 欠으로 조성되었다. 欠자는 본래 한 사람이 입을 벌리고 공기를 배출하는 모양인데 다시 하나의 口를 더하여 입을 사용하여 숨을 내쉬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그래서 吹의 본래 뜻은 “입술을 모아서 힘껏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자연계 공기의 흐름도 吹라고 일컬을 수 있는데, 그 예로는 风吹雨打(바람이 불고 비가 내린다)이다. 그리고 한 사람이 아무생각 없이 함부로 지껄이고(信口开河) 말도 안 되는 소리(胡说八道)를 하는 것은 “吹牛” 혹은 “吹牛皮”라고 불린다.
文化
吹와 유래가 같은 글자도 있다. 이는 次(버금 차)이다.
한편, 盜의 윗부분은 次가 아니다. 이는 작은 점 하나가 있고 없고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준다. 次(버금 차)는 숨 쉬는 모습이다. 咨(물을 자)·姿(방자할 자)·諮(물을 자) 등은 次의 소리와 뜻을 이어받았다. 그런데 盜(훔칠 도)의 윗부분은 羨(남을 연/부러할 선)의 아랫부분과 같다. 羨(연)은 제사 때 남은 고기를 가리킨다. 盜(도)는 접시 속의 남은 고기를 훔치려고 하는 작은 도둑이 아니다. 盜(도)는 나라를 도적질하는 자이다. 그 글자에서 皿(그릇 명)의 본래는 피(血)로, 동족 간의 혈맹(血盟)을 의미한다. 곧, 盜(도)란 족맹(族盟)의 그릇에 물을 끼얹어, 맹약을 매도하여 더럽히는 행위를 가리킨다. 그것은 씨족을 배반하는 행위였다. 이 盜를 盜의 자형으로 적으면 그 의미를 나타낼 수가 없다. 盜(도)란 족맹으로 결속한 공동체를 버리고 자유롭게 행동하는 반체제 인물이었다. 춘추말기의 큰 도둑으로 이름이 높았던 도척(盜跖)은 부하가 수천 명이나 되고, 천하에 횡행해 제후를 두렵게 만들었다. 《시경》의 시편에 나타나는 盜는 모두 반란을 꾀한 사람들이다.[1]
그래서 盜(도)는 고대의 씨족사회가 붕괴할 때 체제로부터 이탈한 자로서 등장했다. 《좌전(左傳)》에 나오는 盜(도)는 대개 암살자 집단이다. 만일 일본에서 일상적으로 쓰이는 한자 盗의 경우처럼 글자의 윗부분을 次(차)로 고친다면, 부엌 그릇에 남은 음식을 향해 한숨 쉬는 불쌍한 도둑으로 바뀌고 말 것이다. 그래서 이는 작은 점 하나가 있고 없고의 문제로 끝날 일이 아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