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Dhaakdi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6일 (화) 19:58 판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毛자는 사람이나 동물의 모발(머리카락 혹은 털과 수염)의 모양이다. 毛의 본래 의미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털 모.png

금문의 毛자는 사람이나 동물의 모발(머리카락 혹은 털과 수염)의 모양이다. 毛의 본래 의미는, 사람과 동물 몸의 모발을 가리키는 것이다. 동식물 피부 표면의 살아있는 덤불 같은 모습의 물질을 가리키기도 해서, 거친(粗糙), 가공하지 않은 이란 뜻이 파생되었다. 毛를 따르는 글자들은 대부분 모발과 관련되어있다. 예를 들어 氈(모전(펠트, 융단) 전), 毫(가는 털 호), 毯(담요 담) 등이다.

[모피(毛皮)] 털이 달린 짐승의 가죽. 이것으로 옷, 모자, 요(褥)를 만들 수 있다.

[모조(毛糙)] 조악한, 즉 정교하지 못한 것이다.

[모용용(毛茸茸)] 형용 동식물의 잔털(고운 털)이 무성한 모양을 나타낸다.

[모골송연(毛骨悚然)] 사람의 털끝이 바짝 서있어 매우 무서워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文化

몇 가닥의 짧은 터럭과 하나의 긴 터럭을 나타낸 데서 그 뜻이 터럭이다.[1]

털은 짐승의 꼬리나 새의 깃에 붙은 털을 상형한 글자다. 동물은 대체로 피부를 보호하는 털이 나 있다고 하는데, 사람도 그렇다. 그런데 이 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깔이 변한다. 그것을 이모(二毛)라고 한다. 두 색깔의 털이라는 말로, 머리카락이 흰 것과 검은 것이 있다는 뜻이다.

삼십이모(三十二毛)라는 말이 있다. 사람의 나이 서른이 되면 이모가 생긴단 뜻이다.[2]

  1. 김종혁, 『부수로 아는 한자』, 중앙에듀북스, p.105
  2. 김경수, 『김경수 교수의 문화로 읽는 한자이야기 1 한글자편』, 삼화, p.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