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쳇 공식계정 활용 보고

ChineseWiki
Root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1월 30일 (수) 14:30 판 (ii) 콘텐츠 선정 – by WeChat, do What?)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위챗 공식계정 활용 보고


1. 서론

중화조 조원들.jpg

‘뭣이 중환(中华)디’ 조는(이하 중화조) 중국의 IT산업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를 통해 결성된 언어문화 콘텐츠 실습 조이며, 중국의 IT산업 중 중국의 모바일 인프라의 발전에 주목하였다. 그 중에서도 중국인의 생활 다방면에 밀접해 있는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을 조사하고 직접 그 기능들을 실습해보았다.

  • 중화조 구성원 소개(우측에서 부터)
  • 중국어문화학과 김병규
  • 중국어문화학과 김다영
  • 토목공학과 진옥용
  • 컴퓨터과학부 정종명
  • 중국어문화학과 최준혁

2. 콘텐츠 실습 방향 설정

i) 플랫폼 선정 – why WeChat

중화 조에서 위챗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a) 중국의 스마트 폰 보급 증가 및 인스턴스 메신저 WeChat의 높은 이용률
현재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확대보급이 이루어지면서 중국 내에서도 스마트폰 보유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17년도에는 11.3억대의 스마트폰을 보유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올해인 16년도에 비해 9.7%나 증가한 추세이다.
b) 모바일 기반 인스턴스 메신저(WeChat)의 활용기능 증대
위챗은 기본적인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c) 높은 활용 가치에 기반한 성공사례
중국 텐훙(天虹)마트는 1984년 설립, 현재 전국각지 60개정도의 지점을 소유하고 있다. 2013년 9월 위챗 공식계정 개설 이후 2015년 5월까지 구독자가 250만을 초과했고, 그 중 매달 위챗 상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50%를 넘는 정도이다. 텐훙 위챗 공식계정의 성공적인 운영은 신속한 서비스, 믿음직한 쇼핑, 소통하는 마케팅 등 세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i) 콘텐츠 선정 – by WeChat, do What?

중화조는 위챗 기술을 체험해 보기 위한 실습 주제로서 ‘서울시립대학교내 중화권 교환학생 및 유학생을 대상으로 정보 공유 콘텐츠의 제작 및 배포’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계획은, 첫째로 현재 시립대 국제교육원에서 유학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의 결핍이 유학생들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고 두 번째로, 위챗 기술을 체험해보기에 전달자인 우리 중화조 에게도, 정보의 수용자인중화권 유학생에도 적합한 포맷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a) 컨텐츠 선정과 이유
중화권 유학생들은 한국어에 익숙하지 못하고 교내 행정 및 시설정보 등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우리 중화조는 韩漂E族 공식계정에 중화권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수집, 편집 하여 구독자들에게 매주 1 개 이상 배포하였다.
b) 설문조사 시행 & 결과 분석
콘텐츠의 실질적인 제작 및 배포 단계에 앞서, 제작하고 배포하는 정보 콘텐츠의 성격을 구체화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은 총 10가지이며 총 30명의 중화권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 중 콘텐츠 정보의 분야와 내용 구성 방식을 결정지은 두 가지 조사결과에 대해서 소개하겠다.
희망정보종류.png
"중화권 유학생이 바라는 정보” 는 중화조의 콘텐츠 제작 방향을 설정하는데 주요한 요소였다. 조사 결과, 여행과 교내정보가 각각 30%, 28%에 해당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음식-생활, 아르바이트 정보가 14%, 17%를 차지하였다. 아르바이트 정보는 휘발성이 강한 정보이기도 하고, 유학생 비자와 관련하여 법적인 문제가 예상되어 제외하였다. 그리하여 중화조는 우선 서울시립대학교에 중점을 맞추어 교내정보와, 음식-생활정보를 제공하기로 하였고 추후 일정수의 구독자를 확보하면 그 범위를 벗어나는 여행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가장힘든부분.png
콘텐츠에 대한 구독자의 실질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유학생들이 한국생활 중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해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42.4%으로 언어적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음식 맛이 18.2%를 차지하였다. 생활, 교통, 거주문제는 큰 문제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언어적 문제를 해소해주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각종 학교 행정 정보에 대한 번역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음식-생활정보 콘텐츠의 작성 시에는 중국인의 입맛을 고려하여 그들에게 음식의 맛 문제에 있어서 큰 거부감을 불러일으키지 않을만한 음식점을 위주로 선정하기로 결정하였다.

3. WeChat 콘텐츠 제작

i) 제작과정

콘텐츠 제작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작성되었다.

a) 콘텐츠 대상 선정
콘텐츠 제작 대상 선정은 교내 시설 및 서울시립대학교 주변 맛집 정보를 위주로 선정되었고 중화조 내에서 제작 대상 목록에 대해 토의를 거쳐 선정하였다.
b) 대상에 대한 답사 및 정보 수집
대상에 대한 정보 수집은 대부분 직접 답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교내시설, 맛집, 여행정보 모두 공통적으로 위치정보, 이용 방법, 이용시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 각각 분야에 따라 맛집의 경우 메뉴판 번역, 교내 시설의 경우 이용절차, 여행지의 경우에는 여행 내용에 대해 수집하였다.
c) 수집 정보 편집(번역 및 재배치)
수집된 정보는 언어적 접근성 향상을 위해 중국어로의 번역의 과정을 거쳤으며, 해당 콘텐츠의 위치정보, 이용방법, 이용시간(영업시간)의 순서대로 배치하였다.
d) 작성된 문서 첨삭 및 퇴고
작성된 콘텐츠 자료는 조원 중 중국인인 진옥용 학우가 맡아서 진행해 주었다. 표현상 부정확하거나 문법상 어색한 부분을 중화권 학생의 입장에서 큰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수정하였으며, 퇴고를 거친 자료는 자료관리 창에 보관하고 매주 관리자 계정을 통해 배포하였다.

ii) 제작상 확인한 한계

콘텐츠 제작은 공식계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게시글 작성’ 기능을 통해 이루어졌다. 위챗 공식계정에서는 게시글 작성을 위해 몇 가지 기본 서식들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각각의 기능에 대해 한계점 또한 명확하게 나타났다.

a) 서식 에디터 한계
 제작단계에서 직면한 첫 번째 문제는, 공식계정에서 제공하는 기본 에디터의 기능이 심각하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은 글자 배치, 배경 색 설정, 글자 크기 등과 같은 매우 기초적인 기능뿐이었다.
b) 음성 정보 제공 한계
한국어를 못하는 유학생들을 위해 특정 상황에서 요긴하게 쓰일만한 한국어 문장을 음성파일로 제공하고자 했는데, 게시물 하나당 한 개의 음성파일만 삽입할 수 있도록 제한 되어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c) 영상 정보 제공 한계
여행지에 대한 동영상을 삽입하기 위해 위챗에 업로드하고 심사를 기다렸는데, 알 수 없는 이유로 수차례 반려 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위챗 측에서 해당 동영상이 부적격 판정을 받은 이유를 명확하게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지레짐작으로 편집을 해서 다시 제출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했다. 게다가 심사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동영상 하나를 업로드 하기 위해서 반나절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d) 공식계정 폐쇄성
공식 계정은 기본적으로 구독자가 해당 공식계정을 구독해야만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공식계정 자체의 폐쇄적 성격으로 인해 타 매체와 비교했을 때 구독자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독자들이 실질적으로 공식계정을 구독하려면 공식계정에 할당된 QR 코드를 스캔 하거나 지인에게 소개받거나, 혹은 자신이 관심 있는 키워드에 대해 검색해 구독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다시 말해, 홍보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독자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ii) 극복방안

제시한 문제점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강구하였다.

a) 서식 에디터 한계 극복
조사 결과, 위챗 공식 계정의 게시글에 서식을 입혀주는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표적으로 135editor, xiumi등의 웹사이트와 微小宝助手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중화조는 주로 135editor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외부 에디터를 통해 텍스트와 이미지로만 이루어진 단순한 콘텐츠를 시선을 끌 수 있는 다채로운 콘텐츠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b) 음성 정보 제공 한계 극복
음성파일 제한 횟수는 위챗 공식 계정의 운영정책과 관련된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주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점은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텍스트를 통한 번역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는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간단한 한국어 단어에 대해서도 독립적으로 표기하지 않고 한국어-중국어를 병행 표기하여 구독자들이 한국어와 중국어를 즉각적으로 대조해가며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게 유도하였다.
c) 영상 정보 제공 한계 극복
동영상 파일은 위챗 공식 계정 측에서 심사를 거쳐야 하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움직임이 삽입된 이미지파일의 경우에는 사진으로 간주되어 별도의 심사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재생시간이 긴 동영상 보다는 짤막한 움직임이 들어간 그림파일을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d) 공식계정 폐쇄성 극복
중화조 에서는 이런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유명한 한국 유학정보 사이트인 奋斗在韩国bbs.icnkr.com[1] 사이트에서 지속적인 홍보를 실행하였다. 또 중문과 김기대 학우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气大韩语와의 제휴를 통해 상호 홍보활동을 진행하였다.

4.  종합 및 결론

i) 중화조의 활동 결과물

이러한 일련의 콘텐츠 제작과정을 거쳐서 지난 3개월간 공식계정을 통해 총 38개의 콘텐츠를 배포해왔다. 구독자는 총 200명을 달성하였다. 주 이용자는 서울시립대에 재학중인 중화권 유학생이다.

ii) 결론

중화조는 위챗 플랫폼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대에 발맞춰 위챗 플랫폼을 이해하고 분석해보았으며, 이를 위해 '시립대 중국인에 대한 정보 공유 공식 계정'을 운영하였다. 또한 위챗 플랫폼을 단순히 체험을 해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운영과정 중 습득한 위챗 플랫폼에 대해 이해를 객관적 자료화 과정을 거쳐 가이드북을 제작하였다. 가이드북의 구체적인 내용은 지면의 한계로 중문과 위키피디아나 커뮤니티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 이 가이드북은 향후 중국에 진출하여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싶은 기업, 혹은 중국의 SNS를 체험해보고 싶은 개인 등 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위챗 공식 계정 가이드북 다운로드

실습 회의록 및 결과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