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형문자

ChineseWiki
Morethan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2월 13일 (화) 12:46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형문자(楔形文字, cuneiform script)

시기 기원전 3100년경~기원전 1세기
지역 메소포타미아
특징 표의-음절문자
동형 다음이의어(Polyphony)와 동음이의어(homophony)가 많고, 단음절로 구성
표기언어 수메르어(Sumer), 엘람어(Elamite), 카사이트어(Kassite), 고대페르시아어(Old Persian), 후르리어(Hurrian)

설형문자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메소포타미아문명수메르(Sumer)지역에 사용된 문자로, 그림문자에서 쐐기모양의 획을 가진 문자로 발전했기 때문에 쐐기문자(cuneiform)라 한다.


개요

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인류 최초 문자라고 알려져 왔으나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문명 유적이 발굴되면서 수메르문자(Sumerian script)가 이집트문자보다 먼저 발명되었다는 증거가 나와 지금은 인류 최초의 문자라고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이 쐐기문자는 수메르인이 발명한 것이 아니고, 처음 사용된 곳도 이란 고원지대라는 주장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문화의 연속성과 환경적인 증거로 보아 수메르인이 발명한 것이라고 인정되고 있다.
쐐기문자는 기원전 4차 천년 후반에 그림문자에서 진화되어 나왔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최초의 기록으로 메소포타미아 남부 우르크(Uruk)에서 기원전 31세기에 쓰인 것이 발견되었다.
수메르어의 특징은 동형 다음다의어(Polyphony)와 동음이의어(homophony)가 많고, 단음절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처음에 표의문자음절문자로 전환시키는 수수께끼원리 적용이 용이했다. 따라서 초기 때부터 수메르 쐐기문자는 표의-음절문자로 전환되었다.
이 수메르 쐐기문자는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이외에 이웃에 거주하던 여러 민족의 언어 즉 엘람어(Elamite), 카사이트어(Kassite), 고대페르시아어(Old Persian), 후르리어(Hurrian)에서 차용해 갔다.


설형문자의 발생

설형문자의 발상지

문자의 발명 이유에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무엇보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방법이 필요해서 만들어졌다고 본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돌이나 바위가 없고 거의가 흙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흙 판을 만들어 그 위에 그림을 그렸는데 이것은 수메르인들의 경제적이고 행정적인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 그들의 첫 번째 시도는 거칠고 상형문자에 가까웠으며, 따라서 단지 매우 단순한 행정기록만을 남길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 수세기가 지나는 동안 점진적으로 그들의 문자체계를 수정하고 형성해나갔다. 그리고 그 결과로 수메르 문자는 처음의 상형문자의 성격을 완전히 잃어버리고 마침내는 아주 양식화된 순수한 표음문자 체계가 되었다. 이리하여 기원전 2500~2000년 사이에 수메르의 문자기술은 가장 복잡한 역사적·문화적 작문도 어렵지 않게 완성하여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감각과 유연성을 갖추게 되었다.

수메르인의 발명이 아니라는 주장

설형문자를 수메르인이 발명했다는 주장에 반대하는 주장이 있다. 그 이유로 첫째, 우르크에 살았던 사람이 수메르인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가 없는데 초기의 모든 텍스트문자는 순수한 그림문자라 어떤 언어를 표현하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증거가 되는 도장 새김이나 숫자 새김 평판은 우르크에서만 발견된 것이 아니고 다른 지역에도 발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형문자 발명은 수메르가 아니라 이란의 고원지역에서 점차적인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수메르인이 발명했다는 주장

쐐기문자는 남부 이라크 우르크(Uruk)에서 약 3000 BC 경에 수메르인이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주장의 근거로 첫째, 수메르인이 살았던 바로 그곳 우르크에서 최초로 글자의 증거가 발견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환경적 증거로 인류최초로 알려진 원시-쐐기문자의 기록서가 우르크 사원 에안나(Eanna)경내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중요한 증거라고 말한다. 둘째, 3000 BC경에 우르크는 이미 도시로 번영하여 세계최대의 도시로 성장했다는 점이다. 3350~3100 BC 후기 우르크의 인구가 2만에서 5만으로 크게 늘어났고, 크기가 2.5km²로 당시로서는 세계 최대 도시가 되었다. 인구가 모인다는 것은 사회, 경제, 정치면에서 발전했다는 증거이다. 생산품, 물품, 노동력, 복잡한 행정들이 수반되면서 모든 것을 기억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점에 도달했고, 기록유지가 필요해지면서 글자가 탄생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설형문자의 변천

수메르 문자는 처음에 그림문자에서 선형문자가 되고 그 다음 쐐기문자로 전환되었다. 처음에는 흙 판을 만들어 그 위에 그림을 그렸는데 가령 양이 두 마리 필요할 때에 흙 판에다 양 두 마리를 그렸다. 그림은 사건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이었다. 이것이 더 많이 더 빨리 더 쉽게 쓰기를 원하게 되면서 그림문자는 그림의 모습에서 단순하게 몇 개의 획으로 발전되어 갔다.
그 다음에 문자는 좀 더 조직적이고, 보다 추상적인 개념까지도 묘사하게 되면서 나중에는 처음 물상의 그림과는 전혀 다른 기호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다음 단계로 단순한 개념에서 다소 복잡한 개념을 표기하기 위해서 사물을 표기했던 기호들을 단어나 물건의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로 발전되어 갔다. 처음에는 기호 하나가 하나의 뜻을 나타내었으나 그 다음에는 그것과 비슷한 모양의 물상의 뜻도 나타내게 되면서 결국 기호 하나가 여러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설형문자의 발달
수메르 그림문자 - 90도 회전한 모습 - 바빌로니아 설형문자 - 아시리아 설형문자(순서대로)

이처럼 설형문자는 처음에 물상을 그대로 그렸다가 그 형상을 상징화하는 형태로 변화되어갔다. 형태가 아주 단순화 되면서 원래의 물상을 알아볼 수가 없을 정도로 추상화되었다. 그 시기는 약 기원전 3000년경이고 그 이후 기원전 2800년경에는 두 가지 큰 변화가 일어났다. 첫째, 동원된 글자의 수가 초기 글자에 대략 1000~900개 기호에서 600개 정도로 크게 줄어들었다. 이처럼 문자의 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이 문자의 성격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설형문자의 초기 단계에서는 하나의 단어를 하나의 문자로 기록하는 단어문자였으므로, 사용되던 단어의 수만큼 문자의 수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음절문자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에서 사용되는 음절의 수만큼, 자모문자의 경우에는 그 언어에서 사용되는 소리의 수만큼만 글자 수가 필요하게 되므로 그 수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발전한 것이다. 둘째, 기원전 3차 천년 경에 글자가 90⁰ 좌측으로 눕게 되었고 그 결과 글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고 읽게 되었다. 방향전환의 정학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평판과 필기구를 잡는 방법의 변화, 필기구의 형태변화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설형문자의 전파

함무라비 법판
“다른 사람의 눈을 해치면 그의 눈도 해칠 것이다”로 해독되는 부분

점토판 위에 글을 쓰는 설형문자는 옛 페르시아, 아시리아, 칼데어 등 동양에서 기원전 3500년경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된 문자이며, 셈족 계통의 아카드인이나 아무르인 · 아시리아인들 뿐만 아니라 인도 · 유럽 어족 계통의 히타이트인이나 아람인 · 페르시아인들도 받아들여 사용하였다. <대영백과사전>과 그 외의 많은 문헌들은 수메르 사람은 (殷)나라의 문자와 비슷한 설형문자를 사용했다고 적고 있다.
수메르 제 3우르왕조를 타도하고 바빌론 제 1왕조를 건설한 앗슈르 족 함무라비(기원전 1728~1686)왕이 만든 함무라비 법판은 그들의 문자를 가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수메르 설형문자를 빌려 쓰게 되었다. 설형문자의 점토판이 시리아의 옛 우가리트 왕국, 페르시아 등 중동 지방에서 출토되어 현재 세계 각국이 보존하고 있는 숫자는 50만매에 달한다. 이란의 즈그로스(Zgros) 산맥의 카만사(Karmansha) 절벽에 새겨진 베히스탄의 마애 비(磨崖碑), 길가메시(Gilgamesh)의 서사시, 니느위(Nineveh)의 설형문자비, 유프라테스 상류의 하란 지방에서 발굴한 마리 왕궁 터의 설형문자 점토판 등이 있다.


참고문헌

  • 세뮤얼 노아 크레이머 저, 박성식 역,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가람기획, 2000)
  • 정연규, 신세용 저, 『가림토 한글문자(인류의 문자를 탄생시킨)』(한국문화사, 2012)
  • 조두상, 수메르문자의 생성 발달과 아카디아어 표기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키토 제27호: pp.261-29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