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산하향

ChineseWiki
Dongguk7130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2월 17일 (토) 19:15 판 (새 문서: {{사건정보 |이름 = 상산하향(上山下鄕) |그림 = 파일:다케우치요시미.jpg |시기 = 1960년대 |관련 사건 = 문화대혁명, 대약진운동 }} :분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사건정보


{{||<중국지식인들의 대중을위한 문화운동>}}

개요

하향의 ‘향(鄕)’은 중국어로 ‘향촌(鄕村)’, 즉 농촌이란 뜻으로 하향운동이란 농촌으로 돌아가는 운동이다. 즉, 도시의 학생이나 지식인들이 농촌으로 들어가서 농촌 대중과 함께 대중을 위한 문화를 구축하려고 하는 운동을 말한다.



발단

이 운동의 시초는 1919년 5·4운동이지만 본격화되기는 항일전쟁 시대이다. 1935년 베이징[北京]의 학생이 12·9운동을 일으켜 항일운동을 전국민에게 호소했을 때, ‘하향’을 외쳐서 농촌에서의 항일의 필요와 의의를 선전하였다.

이 운동에 자극을 받아 1936년 대학교수나 지식인들에 의하여 ‘신계몽운동’이 제창되었다. 이때 모든 지식인은 연구실을 나와서 대중 속에 들어가 대중을 위한 문화건설에 참가하라고 호소하였다. 이리하여 항일전쟁의 과정에서 많은 지식인이 도시로부터 오지로 들어가 농민뿐만 아니라 노동자나 병사들과도 함께 생활하고 함께 새로운 정치나 문화를 건설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1]



전개

시대적 상황

문화대혁명 이전 상산하향운동의 대부분 다수는 자원하향한 경우인데, 그 당시 다수는 가정환경이 넉넉하지 않거나 정치적대우 등으로 차별대우를 받은 소수의 학생들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모택동이 1968년 12월 상산하향 동원령을 발표한 이후에 상산하향은 젊은층의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당시 농촌의 상황은 대약진운동과 공공식당 운영 정책 등 여러 정책들의 영향을 받아 상상을 초월하는 열악한 환경을 보였다. 또한, 도시에서는 1960년 도시 취업자 수가 1억 3,073만명에서 1962년 4,537만 명으로 줄어들어 도시 취업자 수가 65%감소하게 돼서 심각한 실업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모택동의 발언

1968년 12월 마오는 "지식청년들이 농촌으로 가서 다시 배우자"고 주장하면서 "상산하향"(上山下鄕) 운동을 개시하였다.약 10년간 계속된 이 운동에서 도시에 살고 있던 지식청년들이 농촌으로 가서 그곳에서 육체노동을 하도록 명령받았다. 여기서 말하는 "지식청년"은 최근에 중학교(대한민국 학제로는 고등학교에 해당)를 졸업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외지의 이질적인 문화로 고통받으면서도 지식청년층들은 마오의 혁명사상 전파와 사회주의 신농촌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70년 후반에, 이런 "지식청년"은 도시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받았다. 이 운동은 홍위병들을 도시에서 농촌으로 보내 사회적 분란을 감소시키려는 의미도 부분적으로 있었다.


운동의 전개

전개과정

약 2,000만명의 청년 노동력이 9만 개 인민공사에 소속된 80만 개 생산대대 산하 400만 개 생산대에 '입대'를 하게 되고, 농촌 중,고등학교 출신의 청년들이 농촌으로 돌아가 2억 농민의 집에 '입주'하게 된다.[2]

결과

상산하향으로 인해 청년들은 자신들을 둘러싼 정치적 억압에 피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변하게 되었지만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들의 학문적인 열망,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앞으로의 중국의 발전방향에 대한 내재된 마음의 끈은 놓지 않았다. 그 결과, 중국의 농촌은 도시에서보다 빈번하고 큰 규모의 집회와 청년들간의 교류가 생기게 되었고 그들 사이에서도 의식의 발전이 자연스레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이주정책 효과와 함께 토지를 개간하여 농업생산량을 높이는 효과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도시와 농촌이 끊임없이 대립하게 되는 이원구조 체제가 유지가 되었고 정부는 도시에 문제가 터질때마다 농촌에 책임을 전가하는 그러한 과정이 반복하여 발생하게 되었다.

평가와 비판

상산하향 운동의 영향으로 중국의 수많은 가족들이 이산가족이 되어야 했으며, 젊은이들은 홍위병이라는 도구로 쓰인 후 이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농촌으로 보낸 운동이라기 보다 징벌이라는 평가가 일각에서 끊임없이 나온다. 문화대혁명이 끝난 후에도 일부는 농촌에 눌러앉게 되었으며 그들 중 대다수가 시장경제에서 도태된 곤궁한 생활을 지내게 되었다. 정부와 마오에 대한 믿음과 신념으로 황무지같은 농촌으로 가게 된 그들의 청춘은 한 시대의 희생으로 남아있다.


작품 목록

제목 특징 수업과의 연계
여덟번의 위기 2016년 출판
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1. [네이버 지식백과] 하향운동 [下鄕運動] (두산백과)
  2. 원톄쥔, 김진공, 여덟번의 위기, 2016년, 84,8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