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서
육서란?
한나라 시대 때 진시황의 분서갱유에 의해 회멸된 문헌을 모으고 회복시키며 유학을 장려하여 통치사상으로 삼고자 하는 과정에서 경전을 비롯한 선진시대 문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한자의 연구 또한 흥성하게 되고 한자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 때 나온 한자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바로 '육서설'이다. 육서설은 한자의 구조에 대한 이론이며, 육서는 옛 사람들의 한자구조에 대한 귀납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정리하면 육서라는 것은 한나라 사람들이 선진시대 때의 육국문자로 쓰인 고문 경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나온 고대한자의 구성법칙에 대한 개괄과 귀납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육서'라는 명칭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전국시대의 『주례』에 등장하는데, 이에 대해 허신이 육서에 대한 개념규정과 구체적 예까지 나열함으로써 한자구조에 대한 이론적 체계가 비로소 갖추어지게 되었다.[1] 허신은 당시 고문을 중시하는 '고문경학파'와 금문을 중시하는 '금문경학파'로 학파가 나뉜 상황에서 고문경서를 더 정확하게 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22년이라는 긴 세월을 들여 고문자의 구조를 분석한 자서를 편찬했는데, 이것이 바로 <<설문해자>>이다. 설문해자는 총 15권으로 구성되었고 9353개의 글자를 수록했으며 모든 글자를 540개의 부수 아래에 나누어 배열하였다. 허신은 소전을 주요 글자체로 삼아 자형의 구조를 분석하고, 글자의 형음의를 체계적으로 해석하였는데, <<설문해자>>에서 한자의 육자구조설, 즉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를 제기하고 이를 이용해 9353개 한자의 구조를 분석했다. 이러한 허신의 육서 구조설은 중국 고문자학에 크게 기여했다.[2]
육서의 종류
육서에는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의 한자 제작 방법과 전주와 가차라는 글자 사용 방법이 있다.
먼저 상형은 사물의 형상을 그대로 본떠서 한자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어떤 물체의 형태의 특징을 파악하여 그것을 베껴낸 것이다. 허신의 저서인 『허서』에는 '상형이란, 그 물체를 그림 그려 이루어 형체에 따라 구불구불한 것이다. 日과 月이 그것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3] 고대의 중국인들은 사람, 동물, 자연계의 사물을 묘사 대상으로 삼아 그림과 비슷한 상형자들을 만들어냈다. 사람들은 상형자를 보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으며 또한 발음을 가지고 있다. 상형자는 일종의 읽을 수 있는 그림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상생활의 많은 사물과 개념들을 모두 다 그림으로 그려내는 것을 불가능하므로, 한자 중에 상형자는 많지 않다. <<설문해자>>에도 상형자는 약 300여개 정도에 불과하다. 상형자는 독체자이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글자로 나눌 수 없고, 한자 제작의 기초 글자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지사자, 회의자, 형성자 등이 상형자의 기초 위에서 만들어졌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