被严重误读的“士农工商” - "사농공상"에 대한 오해

ChineseWiki
Elbring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2월 6일 (화) 17:26 판 (새 문서: '''<big>사농공상에 대한 오해</big>'''<br> 산업혁명 이전 역사에 존재하던 경제 정책의 기조는 중농주의와 중상주의 2개 뿐이었다. 하이에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농공상에 대한 오해

산업혁명 이전 역사에 존재하던 경제 정책의 기조는 중농주의와 중상주의 2개 뿐이었다. 하이에크는 동양과 서양의 초기 문명들은 모두 농업을 중요시하고 상업을 천대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았는데 서양에서는 플라톤을, 중국에선는 맹자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스의 사상가인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국민을 3가지 계급으로 나누었다. 가장 높은 계급의 사람들은 철학가였고, 두 번째 계급은 전사들이었다. 세번째 계급은 상인과 수공업자, 그리고 농민이었다. 유가의 맹자는 상인들을 무시하였으며 그들을 "도둑놈들"이라 부르기도 했다. 하지만 상인 출신의 관중은 당시에도 정말 극히 소수였던 중상주의자였다. 관중은 제나라를 부흥시키는데 상인의 기술을 이용하였다. 사마천은 그가 나라를 다스리던 시기를 "그가 정치를 할 때는, 화로 인한 것을 잘 다스려 복으로 만들고, 실패를 돌이켜 복으로 만들고, 일의 경중을 귀하게 여기고, 신중히 일을 하여 균형을 맞추었다其为政也,善因祸而福,转败而为功。贵轻重,慎权衡"라고 평하였는데, 이는 이렇게 바꿔 말할 수 있다. "관중은 자원의 분배를 잘했고, 효율을 높혔으며, 타협과 신중한 결정 등을 통해 각종 질서를 다시 세웠다." 정말로 "기업가정신"의 표본이 아닌가.

관중의 개혁 중 후세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엄청난 오해를 일으킨 정책이 하나 있는데, 이는 다름아닌 "백성을 4개로 나누는" 사농공상(士农工商) 정책 이다.

이 정책의 요지는 백성을 군인과 선비, 농민, 공인, 상인, 이렇게 4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고정된 지역에 자신들의 임무에 따라 모여 거주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국어-제나라어>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관중은 선비들이 지내는 사향士乡을 15개, 공인工人들과 상인들이 지내는 공상지향工商之乡을 6개로 구획하고, 각 향마다 2000개의 호户를 두었다. 이런 구획의 결과로 제나라는 3만명에 달하는 전문 군인과, 공업과 상업에 종사하는 만2천명의 전문인들을 보유하게 되었다. (평균적으로 1개의 호를 1명으로 본다.) 이외에도, 도시 이외의 농민들은 45만 호나 되었다.

관중은 백성들을 4개로 나눈다면 4가지 좋은 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하나는 "相语以事,相示以巧"로, 같은 업종의 사람들이 모여서 같이 살면, 서로 경험을 공유하기 쉽고, 그 전문성을 높히기 쉬울 것이라는 판단이었다. 두번째는 "相语以利,相时以时,相陈以知贾 "인데, 이는 같이 거주함으로서 상품의 생산과 유통의 촉진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이었다. 세번째는 전문적인 분위기의 조성이었다. 백성들은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살면서 자신들의 본업에 충실할 수 있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보고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일을 방지해 직업의 안정성을 꿰할 수 있다는 부분이었다. 네번째는 기술의 전승이었다. 아이들은 어릴때부터 부모들이 하는 일들을 쉽게 보게되고, 아버지와 형의 지도 아래 자연스레 전문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었다.

일을 각기 분야에 따라 나누고, 자식이 아버지의 일을 이어받게 하는 제도는 제나라의 제조업 기술을 다른 국가들보다 앞서게 만들었다. <고공기考工记>에는 제나라의 수공업 공장에 대한 많은 기록들을 남아 있는데, 비단의 경우 세계 최초의 직조 센터라 부를 수 있을 만한 것이 제나라의 수도인 린쯔에 등장하였으며 그 규모조차 거대해 이곳에서 생산된 여러 비단 제품들은 제나라 내부에서의 수요를 모두 충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주변 각 제후국들에도 수출할 정도였다. 심지어 "天下之人冠带衣履皆仰齐地=천하 모든이들의 갓과 허리띠, 의복과 신발은 모두 제나라 땅에서 나왔다."라는 말도 있었을 정도로 당시 제나라의 직조 제품은 그 품질을 인정받아 큰 인기를 끌었다.

관중은 사회의 여러 계층을 직업에 따라 나눠 관리한 최초의 사람이었는데 양한(两汉)이후에 이러한 전문화된 상품경제 형태는 기본적인 경제형태로 칭송되며 자리잡았다. 세밀한 분업화와 전문화 그리고 여러 세대 그 전문성이 이전 되도록 하는 제도는 중국이 일찍히 세계 문명에서 보다 앞서 나갈 수 있었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타이완의 학자 쟈오깡(赵冈)은 "중국사회의 전문 분업 시스템은 유럽보다 최소 1천년은 앞섰고 주요 전통 생산 기술의 경우(산업혁명 이전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 기술들로만 보았을 때) 유럽보다 800년에서 1천년까지 앞섰다." 라는 말을 하였다. 그는 심지어 "명청 이전시기 생산품의 상품화 비율은 명청시대와 비교하여 결코 낮지 않았다." 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비록 진나라(秦)를 거치며 이 제도는 철저히 파괴되었지만 호적제도의 모델이 되었고, 장인 등록 제도의 경우, 청나라때까지도 그 명맥이 이어졌다.

사람들에게 큰 오해를 불러 일으킨 부분은 바로 "사농공상"이다. 후대 사람들은 사논공상을 사(士)계층을 가장 우선 순위에 두고 농민이 뒤를 이으며 공인과 상인을 가장 아래에 두는 "존귀와 비천함의 서열"로 이해하곤 이 생각이 중국을 억상주의로 이끌었다고 믿게 되었다. 하지만 실제 관중이 말한 사농공상은 위아래 같은 서열이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었다.

고대인들의 공업과 상업에 대한 태도는 여러 극적인 변화를 거쳤다. 우선 고대 중국인들은 결코 상업을 가볍게 여기지 않았는데 은나라는 상업과 수공업에 종사하는 일에 긍정적이었다. 은나라가 멸망한 뒤 세워진 주나라의 건국자들은 은나라가 멸망한 이유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였는데 그 이유를 백성들이 공업과 상업에만 치중하고 농업을 등한시했다는 데에서 찾았다. 농업을 등한시하는 풍조가 민심을 불안정하게 했고 이는 국가 근간을 위협했다는 것이다. 때문에 주나라 건국자들은 공업과 상업을 경시하고 농업을 중시하는 중농억상 정책을 실시한다. 이런 정책 때문에 주나라의 공업자와 상업인들의 지위는 매우 비천하였다.

이는 당시의 기록들을 보면 알 수 있는데 금문金文에서 "백공(百工)" 이라는 단어는 노예 지위의 백성과 첩이랑 같이 등장한다. <역-둔괘 - 易,遁卦>에는 "군자는 소인을 멀리하되, 미워하지 않고 엄하게 한다." 라는 말이 적혀 있으며, <일주서-정전 逸周书-程典>에서는 "사대부는 공업이나 상업같은 잡것이랑 섞이지 않는다."라고 적혀있다. <예기-왕제礼记-王制>에는 "상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사대부들과 말을 섞을 수 없다"라고 기록되어있는데 이는 당시 사대부들은 상인을 멀리했고 공업이나 상업에 종사하는 자들과 같이 거주해서 섞이면 안되었으며 공상업자들은 자신이 거주하던 지역을 떠나서도 사대부들과 이야기 할 수 없었다는 의미이다. <주예-지관-사시周礼-地管-司市>에는 당시의 규정이 나와있는데 귀족들은 시장에 들어가서 상업행위를 할 수 없었고 이를 어길시에는 벌을 받을 수도 있다고 적여있다.

하지만 관중의 입장은 이것과 완전히 달랐다. 그는 "공인과 상인" 그리고 "선비와 농민"을 같은 선상에서 바라보았고 "제나라의 백성은 군주의 뿌리이다.齐国百姓,公之本也"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모두를 "국가의 근본이 되는 백성国之石民"이라 생각하였다. 공상업자들을 선비나 농부와 공평하게 바라보던 관중의 생각은 당시 사대부 계층의 인식과 많이 달랐다. <전국책战国策>에 남아있는 여씨 상인과 진나라秦 왕의 대화에는 "관중, 그는 상인 나부랭이 아닌가"라는 말은 상인 출신의 관중이 사대부들로부터 무시당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당대当代의 역사가였던 이검농李剑农은 <사기史记><국어国语>그리고<좌전左转>에 있던 기록에 의거하여 "중국에서의 상업의 발달은 제나라가 가장 시초이다." 라고 결론을 내렸다. 만약 관중의 "사농공상"이 "사농"을 우수하고, "공상"을 사농보다 미천한 것으로 보는 관점이었다면 이후의 그가 펼친 개혁정책들을 이해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