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经验与日本战后思想建设

ChineseWiki
Elbring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8월 17일 (금) 10:1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孙歌:中国经验与日本战后思想建设
쑨꺼 : 중국의 경험과 일본 전후 사상의 건설

오늘 나는 일본의 전후 1945년부터 1960년대 초기까지의 사회변화 속 지식계가 관심을 가지던 근본 문제를 가져와 우리 스스로에 대한 과제 인식을 돌이켜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민주주체성의 상실과 저항--2차대전 이후의 일본 사회의 변화

1945년 일본은 일본 역사에 있어서 처음으로 잊을 수 없는 비참한 패배를 겪으며 미국에 의해 점령된다. 이 단계에서 발생했던 가장 중요한 사건은 천황이 '상징적인' 존재로 변해버린 것이다. 하지만 실권을 잃어버렸지만 존재하는 천황제도가 완전히 쓸모 없어 진 것은 아니었는데, "상징물"로서 천황이 존재하고 남아있게 함으로써 일본의 기층 민중들이 자신들의 사회가 완전히 부서진 게 아니라는 믿음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를 두고 국제정치의 관점에서 왕왕 제기되는 해석은 천황제가 사라진 일본이 적화가 되어 사회주의 국가로 변해버릴 가능성을 걱정한 미국이 천황제를 남겨두고 일본이 사회주의 국가로 변하지 못하도록 미국이라는 전차위에 일본을 안전하게 묶어두었다는 것이다. 일본은 천황이 남아 있었기에 민중들이 전쟁전과 전시의 상황가 다를 바 없는 사회 재편을 신속히 이룰 수 있었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패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였다. 미군정에 의한 통치되던 일본 정부도 동시에 사실을 교묘히 조작하였다.

미국의 점령이 가져온 변화 중 하나는 언론 및 출판의 자유, 집회 및 시위의 자유, 선거의 자유로 상징되는 미국식 민주주의의 신속한 도입이다. 이러한 권리들은 당시의 일본 국민들에게 있어 이는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신성한 충격을 주었다. 일본의 좌익들은 자유주의자들이건 마르크스 주의자들이건 모두 이 시기를 해방의 시기로 생각했고 미국의 점령군을 해방군으로 생각했다. 맥아더가 미국 경선을 준비하고 있던 1950년 이전 당시의 미국은 노동운동은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었고 생산에 비교적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였다. 때문에 미국에서 일본으로 돌아온 일본 공산당 지도부는 미국식 민주주의는 실질적인 민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고 자신들도 미국처럼 노동운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1947년, 일본 현대사에서의 유일무이한 총파업 사건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