承
語源
받들다라는 의미의 承(받들 승)자는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 글자는 바로 무릎을 꿇은 한 사람을 양손으로 받치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전서부터는 사람의 형태를 알 수는 없지만 금문과 함께보면 형태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형자의 기존 패턴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承(받들 승)자는 본래 의미인 ‘받들다' 에서 ‘수락하다’ , ‘맡다’ 등의 의미로 파생되었다. 또한 ‘계속하다’, ‘계승하다’의 의미로도 파생되었다.
[承乏] 겸손한 말씨, 직위를 잠시 맡는 것을 의미한다. 알맞은 적임자가 없어 임시로 스스로 맡는 것이다.
[承袭] 답습하다. 작위를 계승하는 것을 가리킨다.
[承上启下] 앞의 것을 받아들여 뒤의 것을 끌어내다. 주로 문장 내용의 전환을 가리킨다.[1]
文化
承은 두 손으로 받쳐 드는 것이다. 『설문』에서 “承은 받들다(奉). 지키다(守).”라고 말한다. 갑골문, 금문의 문자형태는 비슷하다. 두 손으로 한 사람을 받들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본래 의미는 ‘위탁받다’, ‘맡다’이다. 소전에서는 사람의 형태를 느낄 수 없지만, 금문과의 연관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예서에 이르러 글자가 분화되면서 형성자의 틀을 벗어났고 금문이 되었다. 承와 丞은 같은 근원을 가진 글자이다. 동일하게 ‘구조하다’, ‘위탁하다’, ‘돕다’의 의미를 가진다.[2] 承을 형성자로 보는 관점 이외에 회의자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는 手와 氶의 조합으로 보고 ‘두 손을 받들어 올려 물건을 바치거나 받다’의 의미로 해석한다.[3] 의미에서는 크게 달라지는 부분이 없다.
승중손(承重孫)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아버지를 여윈 뒤 조부모의 상을 당했을 때 상주가 되는 손자를 말한다. 만일 삼촌이 살아계셔도 아버지가 장자라면, 적장자 우선원칙에 따라 손자가 상주를 맡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