牢
語源
牢자의 본뜻은 ‘우리 안에서 기르는 가축을 지칭한다. 갑골문의 牢자는 한 마리의 소(혹은 양, 말)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형상이며, 소전의 牢에는 울타리의 출구 쪽에 울타리 문을 나타내는 가로 한 획이 추가되었다. 처음에 牢는 제사에 사용되는 가축을 전문적으로 기르는 곳이었기 때문에 갑골문과 금문에는 이 울타리 안에 소와 양 심지어는 말도 그려져 있었다.
牢는 회의자로, 宀(집 면)과 牛(소 우)로 이루어져, 소(牛)를 우리(宀)에 가두어 둔 모습을 그렸으며, 이로부터 '우리'를 지칭하였고, '집'이나 '죄인을 가두는 감옥'의 뜻까지 나왔다. 또 제사에 쓰고자 우리에 가두어 놓고 기른 희생을 지칭하기도 하였다.[1] 이 외에도, 牢자는 형용사로 사용되어, 견고하다(坚固)의 의미를 함축하기도 한다.
文化
牢의 뜻 중에는 ‘희생(犧牲)’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제사와 관련된 단어에도 이 글자가 쓰였음을 볼 수 있다. 은, 주대에는 소․양․돼지를 삼생(三牲)이라 하고 삼생을 다 갖춘 융숭한 제사를 태뢰(太牢)라고 한 반면, 소를 빼고 양․돼지의 희생만으로 올린 제사를 소뢰(小牢)라고 하였다.[2] 이처럼 소와 관련된 글자가 제사의식을 나타내는 글자에 쓰였고, 게다가 소를 사용하지 않는 제사에서도 사용했던 것을 보면 오늘날처럼 농업 생산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제사에서 가장 중히 여긴 동물이었음을 다시 한 번 알 수 있다. 그리고 갑골문과 금문의 초기 형태에서는 양과 말 등 다양한 동물의 형상이 그려졌지만 나중에는 ‘소’가 우리에 들어간 형상이 오늘날의 牢로 변형되어 우리, 울타리의 뜻을 나타내는 것을 보면 고대부터 다른 어떤 동물들보다 소가 중요시 여겨졌음 또한 알 수 있다. 또한 이 글자를 통해 ‘宀(집 면)’이 어떤 집이나 사당 뿐 만 아니라 우리나 울타리를 뜻하는 글자에도 쓰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牢는 제물이 특별한 방법으로, 또는 특정한 지역에서 길러졌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제물로 쓰여질 때의 소나 양의 수적인 차이를 가리키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가 않다. 글자의 구조로 보아 제물로 사육된 동물은 특별한 방법으로 보호되었다는 것이 그 글자의 본의인 듯하다. 아마 그 동물이 아무 곳에서나 자유롭게 풀을 뜯어먹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 동물이 특별하고 신성한 목적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했을 것이다. 소의 우리는 동물이 밖으로 뛰쳐나가지 못하도록 튼튼하게 지어졌으므로, '굳은', '견고한' ,'감옥'이라는 인신의를 갖게 되었다.[3]
이를 통해 본래‘宀’은 소나 양, 말과 같은 가축, 특히 희생제물을 기르고 가두기 위해 사방을 나무로 막아 놓은 우리를 가리켰다. 이러한 집에서 집, 나아가 다시 사방을 두루 막아 도망가지 못하도록 범죄를 가둔 곳, 즉 '감옥'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으며, 이는 나아가 '굳은, 견고한'이라는 특성을 드러내는 단어로서 광범위 하게 쓰였으리라 유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