具
語源
”具” 본래 술과 안주, 식사를 준비하고 두는 것을 의미한다. <설문> : “具는 한군데에 같이 두는 것을 의미한다” 갑골문 (1, 2)에서는 () 라고 썼다. 마치 양손에 식기 “鼎” 을 들고있는 모양인데, 이것이 밥이 갖추어졌음을 의미한다. 금문 (1, 2, 3) () 라고 쓰는데, 점차 “鼎”의 발을 버려 “贝” 가 된다. <석고문>, 소전에서는 () 라고 쓴다. “贝”를 줄여서 “目”로 쓴다. 예서에서는 직필로 꺾어서 라고 쓴다. 이 자는 고문자를 벗어나 지금 글자의 형태가 되었다. 이 글자의 진화의 흔적이 분명하다.
한자왕국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마노조개는 최초의 몇몇 왕조에서 화폐로 사용됐다. 갑골문에서의 “貝”(패)자는 작은 마노조개의 모습을 매우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하나의 조개에 두 손이 더해지면 ‘획득하다, 마련하다, 도구, 기구’등의 뜻을 가진 “具”(구)자가 된다.[1]
한자어원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갑골문에서 鼎(솥 정)과 廾(두 손 마주잡을 공)으로 구성되어, 가장 대표적인 음식 그릇(鼎)을 갖추었음(具備구비)을 그렸고, 이로부터 갖추다, 완비하다, 옷 등을 갖추어 입다, 기물, 기구 등의 뜻이 나왔다. 이후 鼎이 모습이 유사한 貝(조개 패)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는데, 재산(貝)을 갖추다는 의미를 부각시켰다.[2]
文化
"具"의 본래 뜻은 "술과 음식을 제공하다"이다. 이 의미에서 ‘준비하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준비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具备(구비)"등이 있다. "具" 가 동사로 사용될 때는 가지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독특한 매력이 있다"를 나타내는 "别具一格(별구일격) “등이 있다. "具"는 "棺(관)"이나 시체를 세는 단위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