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

ChineseWiki
Morethan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6월 9일 (목) 20:54 판 (진한시대(秦汉时期))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대운하는 수당대운하(隋唐大運河),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 절동대운하(浙東大運河)의 총칭이다.

수당대운하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

대운하의 전신(前身) 즉 최초의 대운하는 춘추(春秋)시기 초(楚)나라 손숙오(孙叔敖)로 비롯해 기원전 613년에 개척된 장강(長江), 한수(汉水) 수계(水系)을 연결한 경한운하(荆汉运河)및 기원전 578년에 개척한 장강(長江), 회수(淮水) 양대수계(兩大水系)를 통하게 된 비수운하(巢肥运河)이다. 한편 전국(战国)시에 위(魏)나라가 개척한 홍구(鸿沟)로 비롯한 중원지역 운하의 총칭인 홍구 수계(기원전360-339년)를 비교적 체계적으로 형성시켰다.

진한(秦汉)시대

진의 시황제(始皇帝)는 고강남(古江南) 운하 및 백척독을 준설하여 강남운하의 기본구조 형성기반을 마련시켰다. 서한(西汉)시기에 기원전 129년에 장안(长安)으로 동관(潼关)까지 조거(漕渠)를 건설하였다. 그 후 삼국시대(三国时代)에 하북(河北)에서 여러 수운 통로를 건설하였으며, 특히 204년에 공사를 시작한 배구(白溝)는 오랫동안 하북지역의 주요 운송 통로로 되었다. 이처럼 운하건설을 통해 조운이 강화되면서 조거(漕渠), 황하(黄河), 변거(汴渠) 및 한구(邗沟)로 형성된 동서 수운통로의 수로교통망을 구축되었을 뿐더러 운하체계 형성에 따라 도성(都城)으로 확대시켜 주변도시까지 발전되어 지역발전을 촉진 시켰다.

수(隋)나라

수나라는 낙양(洛阳)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장안(长安)까지, 북쪽으로는 탁군(涿郡)까지, 남쪽으로는 여항(余杭)까지 연결되는 총연장 약 2700km의 대운하를 건설하여 황하(黄河), 해하(海河), 회하(淮河), 장강(长江), 첸탕강(钱塘江), 오대수계 (五大水系)를 개통하게 되었다.

당(唐)나라

당나라는 수(隋)나라 운하 운영체계의 운영 장점을 계승하고 나라의 기본 건설 공사로 삼았다. 당나라의 운하체계는 수나라 대운하를 기초로 일정한 수리공사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당나라의 조운(漕运)은 주로 강남운하, 통제거와 양주조구를 이용하여, 양주(扬州), 회안(淮安), 변주(금 개봉) 지역의 좁쌀을 도성 장안으로 운송하였으며, 이로 인해 운하가 회남(淮南)지역 경제의 발전을 촉진시켜 회남은 당나라 전국 교통허브이자 경제중심지로 육성되었다.

송(宋)나라

북송왕조는 운하를 “건국지본(建国之本)”이라고 하였다. 송나라는 운하인접지역인 변양(汴梁, 현 개봉-开封)을 수도로 정하여 운하를 건설하였다. 이처럼 북송(北宋)시기의 국가 경제중심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강회(江淮)-장강(长江) 중하류와 회하(淮河) 유역과 연결시킨 변하(汴河)는 조운, 경제의 활성화, 문화교류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큰 운송 수익을 얻었다.


경항대운하

원(元)나라

원나라 때 중국을 통일하고 수도를 대도(현 베이징-北京)로 지정하면서 필요한 모든 물자는 강남의 조량(漕糧)으로 조달되었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수하(濟州河), 회통하(會通河)와 통혜하(通惠河)를 개통함으로 베이하, 여하 및 황하, 강남운하를 연결하여 베이징에서 항주까지 경항대운하의 기본구조를 형성하였다.

명(明)나라

명나라 때에는 황허, 대청하(大清河), 소청하(小清河) 등을 통한 하류운송이 발달되었다. 따라서 명나라의 운하는 상품경제의 발달로 인한 일반 상품의 유통이 활발히 이루어져 운하 연안에 있는 린칭, 제녕, 덕주와 같은 상업 도시는 모두 상인이 운집하여 수공업의 발달함에 따라 중국자본주의 맹아로 성장되는 계기를 되었다.

청(清)나라

청대(清代)에 형성된 남북대운하는 <그림 2>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저우 장가만(通州張家灣)에서 항주까지 직례(直隸)운하, 산동운하, 중운하, 리운하, 강남운하 구성되어 남북방의 양식이나 화물, 승객을 운송하는 노선이다. 이처럼 청나라 시기 때 운하 노선을 통하여 중국운하는 청대까지 종합관리 단계로 발전한 정도로 성숙되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절동대운하(浙东大运河)

절동운하는 최초 춘추(春秋) 월(越)나라 때부터 건축되기 시작해 지금까지 여전히 중요한 수상 운송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수나라와 원나라 대규모의 개척 공사와 달리 절동운하는 용강(甬江), 차오어강(曹娥江), 첸탕강(錢塘江)의 수위가 달라 갑문 설치로 각 구간별로 해운의 기능을 실행해 왔다.


참고문헌

傅崇蘭, 「운하시화 (運河史話)」,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