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개혁

ChineseWiki
11 지창근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6월 20일 (월) 15:5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민주개혁과 라사봉기

1950년 중국 공산당 인민해방군은 신정상층부와 봉건영주의 압제로부터 농로를 해방한다는 ‘화평해방’과 중국의 분열을 획책하는 제국주의 세력을 추방한다는 미명으로 티베트에 진입하였다.[1] 그리고 중국 정부와 티베트 간의 ‘17개조 합의’라 불리는 ‘서장의 평화적 해방 방법에 관한 협의’를 체결하게 된다. 이는 중국의 티베트 정책에 관한 최초의 문건으로 주된 의도는 티베트의 자치보장과 달라이 라마, 판첸 라마 등의 통치지위를 승인하는 것을 조건으로 중국군의 티베트 주둔과 귀속을 확보하려는 것이다.[2] 하지만 당시 이 조약은 불평등한 관계에서 맺어진 조약이었고, 이후 중국 정부와 티베트 간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도화선이 된다. 중국정부에 티베트 진입에 대한 티베트 주민들의 저항은 거셌고, 50년대 중반 이후에는 무력충돌까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무력충돌 속에 1959년 3월 10일 라사주둔 인민해방군 사령관이 달라이 라마를 가무단 공연에 초대가 그를 납치하려는 것으로 의심하고 티베트인들이 노블링카 궁전을 에워싸고 달라이 라마를 보호했으며, 포탈라궁에서는 민중회의를 소집하여 티베트 독립을 선언했다. [3] 결국 티베트의 중심지인 라사에서 대규모 봉기가 일어났고, 중국은 무력으로 1963년까지 진압작전을 펼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달라이 라마와 자치정부 관리 및 일부 추종자들은 인도로 넘어가 망명정부를 세운다. 이 사건을 계기로 티베트의 기존의 전통과 사회질서는 완전히 뒤바뀌는데, 중국 중앙정부는 봉기를 진압함으로써 티베트의 봉건제도가 무너지고, 수많은 농민들을 해방시켰다는 것을 강조하여 1959년 라사사건을 ‘민주개혁’이라고 불렀다. [4] 1959년 이전의 티베트는 정치와 종교가 합쳐진 ‘제정일치’ 사회였다. 게다가 승려와 사원들은 막대한 토지와 수많은 농노들을 소유하고 있어서 경제적인 힘까지 가지고 있었다. 즉, 티베트의 정치, 종교, 문화, 사회, 경제 등 모든 부문을 일부 승려와 사원들이 주도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중국 정부의 ‘민주개혁’의 의해 무너지게 되고, 티베트는 사회주의의 체제 속에 종속되게 된다.

문화대혁명 시기 티베트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를 떠나면서 티베트는 완전히 중국정부의 지배아래 놓이게 된다. 이제 그들이 없는 티베트는 상층부와 협의할 필요 없이 사회주의 개혁을 실시할 수 있었다. 계급의식과 투쟁을 선동하여 과거 지방정부의 관료, 귀족, 사원들로부터 토지를 몰수하여 농노와 소작인들에게 나누어주었으며, 농민조직을 통해 집단 농장화를 추진하였다. 그런데 대약진 운동의 실패와 기근으로 중국인들이 티베트를 더욱 착취하게 만들어 티베트 주민들의 많은 불만을 낳게 한다. [5] 1966년 문화대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중국 정부의 티베트 탄압은 더욱 거세졌다. 티베트 인민들의 종교활동은 엄격히 제한 되었고, 많은 라마들이 환속을 강요받았다. 사원 역시 많이 철거되었는데 문혁 이전 3천 7백여 채의 사원이 있었으나 문혁이우 남은 사원은 10여 채 뿐이었다. 이처럼 강압적인 통치 아래 티베트 분리독립 운동의 모습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개혁개방 시기 티베트의 독립운동

마오의 시대가 끝나고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부가 들어서면서 중국 정부는 티베트에 대한 자유화 조치를 시행한다. 생산책임제 등의 자유로운 경제정책을 실시하고, 외국기업의 투자를 확대했으며 티베트 인민들의 종교활동을 보장하고, 종교 문물의 보수 및 보호작업을 전개했다. 또 서장에 머무르고 있더 많은 한족간부들을 내륙으로 불러들였으며, 달라이 마를 귀환시키기 위한 조치도 취하였다. [6]
하지만 이러한 자유화 조치는 오히려 중국 정부와 티베트 간의 갈등을 재점화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티베트 인민들은 이전보다 자유롭게 자신들의 민족주의적 감정을 표출시켰고, 사원의 부활은 이들의 단결력을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게다가 1985년 이후로는 티베트와 중국정부 간의 대화가 단절되었고, 1987년 9월 21일에 달라이 라마가 미국 의회에서 ‘평화 5조안’을 발표한 것이 계기가 되어 티베트에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게 된다. 이 당시 정부와 티베트 인민들의 무력충돌로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수 천명의 시위자가 검거되었다. 이밖에 1988년 3월 조캉 사원의 승려들을 중심으로 시위가 발생하는 등 티베트 곳곳에서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소규모 시위가 계속 일어났다.
1989년 1월 27일 판첸 라마의 장례식을 기점으로 대규모 무력시위가 일어난다. 라사 봉기 30주년에 맞춰 일어난 이 시위는 1959년 이래 최대규모의 봉기로 수많은 티베트의 인민들이 중국 정부에 저항하였고, 잠시나마 승리하는 양상을 띠기도 했다. 결국 중국 정부는 같은 해 3월 8일 계엄령을 선포하고, 특수부대를 투입시켜 강력진압을 하였다. 잠시 수그러든 시위의 열기는 같은 해 10월 달라이라마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면서 다시 거세졌고, 또 한번 중국의 무력진압이 자행되었다.
  1.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13집 3호, 2006년 : 27-53, p39 인용
  2.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13집 3호, 2006년 : 27-53,, p41 인용
  3.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13집 3호, 2006년 : 27-53, p43 인용
  4. 이민자, 「티벳독립운동의 경제적 배경」, 『東亞 硏究』Vol.36 No.- [1998], 1998년, p217 참고
  5.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13집 3호, 2006년 : 27-53, p44 인용
  6.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13집 3호, 2006년 : 27-53, p45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