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커시리
6세대 영화
6세대는 1960년대생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 사이에 대학을 졸업하고 영화 활동을 시작한 젊은 영화인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은 1989년 천안문 운동을 직접 경험한 세대로 상업주의 문화, 탈이념화, 탈정치화 조류 속에서 개인의 생존 체험과 불안정한 심리 상황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은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제도권 밖에서 작업하는 '지하영화' 혹은 5세대에 맞서는 6세대 감독으로 불렸다 이후 상당수가 제도권으로 편입되었고, 최근에는 '포스트 천안문 세대' 혹은 '신생대(新生代)'라고 불린다.대표적 감독으로는 장위엔(張元), 왕샤오솨이(王小帥), 로우예(婁燁), 루쉬에창(路學長), 지아장커(賈樟柯)등이 있다.
논란
그러나, 이러한 중국영화 세대 구분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특히 5세대 이후 세대론은 더 이상 의미를 잃었다는 의견이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왜냐하면 과거의 '세대' 구분은 대체로 그 시대의 주류 관념이나 조류를 반영할 수 있었던 반면 '6세대'는 5세대 이후 출현한 영화들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아우르기에는 부족하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시간이 지나며 5세대 이후에 활동한 감독 대부분을 6세대로 편입시키는 것이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여전히 '6세대'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할 것이냐에 대한 견해는 분분하다.
6세대 영화의 특징
평범한 주인공
6세대 영화에서는 소도시의 주변인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움으로써 '현실의 삶'을 영화 서술의 중심에 놓는다. 주인공 대부분은 직업이 없고, 구체적인 내력을 알 수 없으며, 이들을 둘러싼 배경도 모호하다. 영웅이나 악당이 등장하지도 않으며 주인공들이 어떤 신분이며 어떤 직업을 갖고 있는지보다 중요하게 그려지는 것은 그들의 일상적 인생과 체험, 일상 속에서의 환락과 고통이다. 이러한 면모는 관중들로 하여금 영화의 주변적 요인에 관심을 갖기보다 개체 인물 자체의 심리 변화나 상황에 초점을 맞추는 데도 도움을 준다.
전통적으로 아름다운 장면들의 배제
흔히 전통적으로 아름답지 않은 장면들이 많이 등장한다. 5세대 감독들이 "어떻게 하면 타인들이 중국을 아름답게 볼 것인가"라는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면, 6세대 감독들은 그들이 영화 속에서 그리고 있는 추함과 지저분함이 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아름다움을 환기시킬 수 있다고 본다. 즉, 이들은 "아름다운 것이 진실()"이 아니라 "진실이 아름다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