爭
語源
고문자의 爭은 위아래 두 개의 손이 동시에 하나의 물체의 형태를 빼앗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 본래 의미는 ‘빼앗다’인데, ‘싸우다’, ‘다투다’, ‘경쟁하다’, ‘논쟁하다’, ‘쟁취하다’ 등의 새로운 의미가 파생되었다.
[爭端] 소송의 근거. 후에 양 쪽의 논쟁의 구실을 야기하는 것을 가리킨다.
[爭執] 논쟁 중 각자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는 것, 서로 양보하지 않다.
[爭风吃醋] 동일한 이성에게 구애함으로써 질투, 시기하고 말다툼하다.[1]
文化
爭은 ‘쟁탈하다’, ‘쟁취하다’, ‘싸우다’, ‘경쟁하다’이다. 『설문해자』에서는 “爭은 당기다(引)”라고 말한다. 갑골문을 보면 위아래로 두 개의 손이 한 물체를 당기며 다투는 것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때에는 爰, 寽과 같은 글자였는데, 후에 분화되었다. 금문은 갑골문의 형태, 의미와 동일하다. 소전에서 爭, 爰, 寽 세 글자로 나뉘면서, 갑골・금문과 달라졌다. 예서의 형태로써 금문이 되었다.[2]
爭에서 두 사람이 서로 차지하려고 잡아당기고 있는 물건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이를 두고 쇠뿔이라 하기도 하고, 무기인 창 혹은 몽둥이라고도 한다. 만약 이것이 창이라면 다투는 정도가 아닌, 생사를 건 결투가 되는 셈이다.[3] 혹자는 이를 소의 형태로 보고 소를 서로 잡아끌어 빼앗아 가려는 모습, 소소한 싸움 모습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4] 마지막으로 尹과 관련지어 해석하는 설이 있다. ‘다스리다’라는 의미를 가진 尹은 손으로 지팡이 같은 것을 쥐고 있는 모양이다. 설문해자에서 “尹은 治(다스리다)이다. 일을 쥐고 있는 사람”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옛날에 尹은 신을 섬기는 사람의 호칭으로써 그가 가지고 있는 것은 ‘신의 지팡이’, 즉 신을 대신하는 물건이었다고 한다. 한 사람이 이것을 쥐면 尹이 되어 다스려지는 것이고, 두 사람이 이것을 쥐면 爭이 되어 서로 패권을 다툰다는 뜻이 된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