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옷을짓다재.JPG

형성문자로, 마름질할 제(制)가 음의 역할을 한다. 옷감을 마름질하는 데서 ‘짓다, 만들다’의 뜻이 나왔다. 재(才)는 ‘자르다’의 뜻으로, 창 과(戈)를 붙여 ‘끊다’의 의미로 쓰였다. 그리고 옷을 만들기 위해 ‘비단이나 베를 자르다’라는 裁가 되었다. '옷이 마르다'가 기본의미이고, ‘어느 한쪽으로 마음을 자르다’라는 데서 '결단하다'의 의미가 생겨났고, ‘나쁜 것을 잘라낸다’는 데서 '분별하다'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 자유롭게 옷을 만드는 것은 裁, 일정한 규격으로 옷을 만드는 것은 制로, 서로 기본 의미는 같지만 차이가 있다.

文化

은나라 때 귀족들은 크게 두 가지 옷을 입곤 하였는데, 위에 입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옷을 '의(衣)'라 불렀고, 아래에 입는 치마를 '상(裳)'이라 불렀다. 중국복식의 기본적인 형태는 은, 주 때에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의복의 기본형은 신자의 두 배의 옷감을 반으로 접어 중간에 구멍을 뚫어 머리를 넣고 앞과 뒤를 매어서 입는 것으로, 이때는 원시적인 무술과 토템의 숭배로 공리효용을 가치의 원리로 하는 사고방식과 자연에 대한 정복의 신념이 비교적 높았으며, 중국후세복식의 자연적인 영향을 주었다. 중국은 광활한 대륙과 유구한 역사, 다양한 민족 구성으로 인하여 각 민족의 풍습이나 사상, 관습이 복식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고, 각 시대나 민족에 따라 같은 명칭의 복식이라도 색채나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특징적인 미의식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옷을 만드는 재단의 일도, 옷의 변화와 함께 발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