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왕莊王
초 장왕(楚 莊王, ? ~ 기원전 591년, 재위 : 기원전 614년 ~ 기원전 591년)은 초나라의 제 23대 왕으로 춘추오패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불비불명不飛不鳴
초나라 장왕은 즉위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명령도 내리지 않고 밤낮으로 가무음곡(歌舞音曲)만을 즐기며 나라 정사를 돌볼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다. 모든 사무를 두극과 공자 섭에게 맡겼고 그러면서 자신에게 간언을 하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어명을 내렸다.
“감히 누구든 내게 간하려는 자가 있다면 오직 죽음을 내릴 뿐이다.”
공자 섭과 공자 의(儀)가 이 기회를 이용해 반란을 일으켰으나 다행히도 조정에 충신 여집(廬戢)과 숙균(叔麏)이 있어서 공자의 난을 제때에 평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때 주변국인 진(陳), 정(鄭), 송(宋) 등 작은 나라들은 모두 진(晉)나라에 복종하고 있었기 때문에 초나라는 그야말로 위험한 지경에 처해 있었다. 어느 날 그런 상황을 보고만 있을 수 없었던 대신 성공가(成公賈)가 장왕을 알현하러 궁으로 들어갔다.
“ 수수께끼를 올리겠습니다. 언덕 위에 새가 있는데, 삼 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습니다. 이 새는 무슨 새입니까? ”
장왕이 대답했다.
“ 삼 년을 날지 않았으니 한 번 날아오르면 하늘을 찌를 것이고, 삼 년을 울지 않았으니 한 번 울면 사람들을 놀라게 할 것이다. 물러가라. 나는 수수께끼를 맞혔다. ”
여러 달이 지나고 장왕은 더욱 방탕해졌다. 이에 대부 소종(蘇從)이 간언하니, 장왕이 말했다.
“ 내가 영을 내렸던 것을 듣지 못했는가? ”
소종이 대답했다.
“ 이 한 몸 죽어 임금을 깨우치는 것이 신이 바라는 바입니다. ”
그 말을 들은 장왕은 즉시 일어나 술자리를 파한 후 정사를 처리하기 시작하였다. 자신의 과오를 지적하는 대신 그 틈을 이용해 권력을 농단(壟斷)한 자들을 색출하여 벌하고 유능한 인재들을 찾아 등용하였으며, 정사를 오거와 소종에게 맡겨 바르게 처리토록 하였다. 이 사건에서 불비불명(不飛不鳴)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