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강동우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11일 (금) 17:17 판 (語源)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벼도.JPG

禾가 의미부이며 舀가 소리부인 형성자다. 여기서의 벼는 벼 중에서도 특히 일년생 초본식물인 벼를 의미하는데, 절구에 찧어 껍질을 벗겨서 얻어지는 벼를 표현한 것이다. 손으로 벼벼갑골.jpg를 잡아서 절구 안에 넣은 후에절구안에넣은후.jpg, 벼를 빻아 쌀알을 분리해내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다. 중국인에게 쌀은 없어서는 안 될 주식이기 때문에, ‘필수품’이라는 뜻도 파생되었다.

稻는 벼과의 농작물이다. 통상적으로 쌀의 논벼에서 껍데기를 벗긴 것을 가리킨다. 갑골문에서 稻는 쌀이 항아리 안에 들어 있는 모습과 닮았는데, 이는 그 당시 쌀 비축 방식이었다. 금문에서는 촌락 안에서 타작마당을 하는 풍경을 보여준다. 윗부분은 마당 위에 꽂힌 부족 깃발을 가리키고, 아랫부분은 절구에 쌀이 들어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금문과 소전의 글자는 상당히 흡사한데, 이 둘의 왼쪽은 禾를 가리키고, 오른쪽은 절구를 다루고 있는 손을 가리킨다. 예서에서 쓰인 글자가 금문으로 발전했다.[1]

文化

벼를 절구에 넣어 찧는 모습은 금문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주시기 이전부터도 절구통에 벼를 넣고 찧어 쌀알을 분리하는 문화가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벼농사 유적지는 신석기 시대의 유적이 있는 절강성의 “河姆渡 유적”이며, 이 곳에 많은 양의 낟알과 짚이 퇴적되어 있었다고 한다.

[2][3][4]

  1. 허진웅(許進雄), 《图释古汉字》, 46쪽
  2.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150
  3. 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p106
  4. 阿辻哲次, 『漢字의 수수께끼』, 이기형, 학민사, 1994, p4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