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상형자로 여러가지 관으로 된 다관(多管)악기를 나타한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피리약.png|500픽셀|오른쪽]]
+
[[파일:기다릴등.png|500픽셀|오른쪽]]
상형자로 여러가지 관으로 된 다관(多管)악기를 나타한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갑골문의 약(龠)는 2개의 관을 한데 묶은 관악기의 형태이다. 문자에서 2개의 관은 많은 관을 상징하였기 때문이다. 또 약(龠)의 형태 중 거꾸로 된 삼각형 모양의 것이 있는데, 이는 부는 구멍을 나타낸다. <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 홍희 역, 동문선, 2003, p.409.</ref>
+
죽간(竹簡)을 손으로 잡고 정리하는 모습이다. 죽간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따라 등급을 정하였기 때문에 ‘등급’이나 ‘무리’등의 뜻이 파생되었다. 또한 정리된 죽간은 후에 글을 쓸 때의 재료가 되기를 기다린다는 점에서 기다린다는 뜻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다른 한편으로는 죽간 책을 만드는 모습이라는 해석이 있다. 죽간 책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었으므로 ‘기다리다’라는 뜻이 생겼고, 매 죽간의 길이를 맞추는 점에서 ‘상등하다’라는 뜻이, 완성된 질에 따라 등급을 매겼다는 점에서 ‘등급’의 뜻이 파생되었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ref>
 
 
 
==文化==
 
==文化==
관악기는 간편하면서도 많은 음정의 악곡을 연주할 있어서 고대사회에서 주요한 악기였다. 갑골문에서는 관악기인 약자에 화禾를 성부로 삼거나, 언言을 의부로 삼아 여러 소리가 ‘조화롭다’는 뜻으로 龢를 만들었는데, 그 이유는 관악이 다른 악기들의 비해 상대적으로 중심 가락이 되기 때문이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 홍희 역, 동문선, 2003, p.409.</ref> 갑골문에서 龠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은대에도 대(竹)를 엮어 만든 관악기가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증거가 된다. <ref>이돈주,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93.</ref>
+
대나무는 돌과 목재와 더불어 쉽게 얻을 있는 재료이다. 오늘날 대나무는 주로 화남지방에서 볼 수 있으나, 고대문명 초기에는 지금보다 기후가 따뜻했기 때문에 화북 지방에서도 대나무가 잘 생장할 수 있었다. 대나무는 쉽게 쪼개져 가늘고 긴 평면이 되기 때문에 세로로 글씨를 쓰기에 유리하였다. 또한 대나무를 서사 재료로 사용하면 가격이 저렴하였기 때문에, 고대 중국의 주요한 서사재료는 죽간이었다. 중국 특유의 서사 습관인 종서(縱書) 습관이 바로 이런 문화적 배경에서 유래한 것이다. <ref>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홍희 역, 동문선, 2003, p.199.</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6년 12월 25일 (일) 20:38 기준 최신판

語源

기다릴등.png

죽간(竹簡)을 손으로 잡고 정리하는 모습이다. 죽간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따라 등급을 정하였기 때문에 ‘등급’이나 ‘무리’등의 뜻이 파생되었다. 또한 정리된 죽간은 후에 글을 쓸 때의 재료가 되기를 기다린다는 점에서 기다린다는 뜻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1] 다른 한편으로는 죽간 책을 만드는 모습이라는 해석이 있다. 죽간 책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었으므로 ‘기다리다’라는 뜻이 생겼고, 매 죽간의 길이를 맞추는 점에서 ‘상등하다’라는 뜻이, 완성된 질에 따라 등급을 매겼다는 점에서 ‘등급’의 뜻이 파생되었다. [2]

文化

대나무는 돌과 목재와 더불어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이다. 오늘날 대나무는 주로 화남지방에서 볼 수 있으나, 고대문명 초기에는 지금보다 기후가 따뜻했기 때문에 화북 지방에서도 대나무가 잘 생장할 수 있었다. 대나무는 쉽게 쪼개져 가늘고 긴 평면이 되기 때문에 세로로 글씨를 쓰기에 유리하였다. 또한 대나무를 서사 재료로 사용하면 가격이 저렴하였기 때문에, 고대 중국의 주요한 서사재료는 죽간이었다. 중국 특유의 서사 습관인 종서(縱書) 습관이 바로 이런 문화적 배경에서 유래한 것이다. [3]

  1.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2. 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3.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홍희 역, 동문선, 2003, p.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