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고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번째 줄: 10번째 줄:
 
===문자형태===
 
===문자형태===
 
== 의의<br> ==
 
== 의의<br> ==
==참고문헌==
+
석고문은 주문을 계승하여 전서 정립에 기여한 중국 현재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각석문자(석각문자) 이다.<ref>https://zh.wikipedia.org/wiki/%E7%9F%B3%E9%BC%93%E6%96%87<br>
 +
吳濟仲, 「 籒文과 石鼓文의 관계 考察」,『中國語文學論集』제66호, 2011, p.21.</ref><br> 소전으로 넘어가기 전 자형의 변천을 볼 수 있어 고문자 자형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또한 석고문 서법의 풍격은 고대서법사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다.<ref>서재선, 「 石鼓文의 특색과 기타 秦系文字 와의 비교」,『동아시아고대학 』제24집, 2011, pp.383-384.</ref>
 +
==각주==

2022년 12월 22일 (목) 15:12 판

개요

석고문은 당나라 때 발견된 석각 자료의 일종이다. 북처럼 생긴 큰 돌에 주문/대전 등으로 4언시가 새겨져 있다. 각석연대와 관한 보편적 견해는 진나라 시기의 문자라는 것이다. 석고문은 소전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로 고문자 자형 연구에 귀한 자료가 되는 등의 의의가 있다.

발견

당나라 초 천흥현(지금의 섬서성 봉상현) 총 10개의 흑청색의 단단한 화강암이 발견되었고 현재는 북경의 고궁박물원에 보관되고 있다. 이 돌은 북과 같이 생겼기에 ‘석고(石鼓)’라고 부르게 되었고, 거기에 새겨진 문자를 석고문(石鼓文)이라고 부르게 되었다.[1]

특징

석고는 1미터 남짓의 높이의 돌 겉면에 각각 60~70자로 된 총 600여 자의 4언시가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많이 손상되어 약 2~3백여 글자만 알아볼 수 있고 전해지고 있다. 석고에 새겨진 내용은 주 왕이 수렵을 즐기는 것 등이다.[2]

연대

‘석고문’이 새겨진 연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크게 주(周)의 선왕(宣王) 때로 보는 견해와 진(秦)나라 때로 보는 견해가 있다. 서주 시기의 선왕(宣王) 때의 것으로 보는 것은 석고문의 일부 자형이 주문(籒文)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진(秦)때로 보는 것은 송나라의 한 역사학자(정초鄭樵)이 진나라 계통의 문자와 석고문을 비교한 뒤에 석고문이 진나라의 전서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여러 학자들이 따랐고 여러 연구 성과로 이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며 보편적인 견해가 되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진나라의 어느 시기인지에 대해서는 통일된 의견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부분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3]

문자형태

의의

석고문은 주문을 계승하여 전서 정립에 기여한 중국 현재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각석문자(석각문자) 이다.[4]
소전으로 넘어가기 전 자형의 변천을 볼 수 있어 고문자 자형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또한 석고문 서법의 풍격은 고대서법사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다.[5]

각주

  1. 하영삼, 『한자의 세계_기원에서 미래까지』, 신아사, 2013, p.160.
    吳濟仲, 「 籒文과 石鼓文의 관계 考察」,『中國語文學論集』제66호, 2011, p.10.
  2. 하영삼, 『한자의 세계_기원에서 미래까지』, 신아사, 2013, p.160, pp.317-318.
  3. 하영삼, 『한자의 세계_기원에서 미래까지』, 신아사, 2013, p.318.
    吳濟仲, 「 籒文과 石鼓文의 관계 考察」,『中國語文學論集』제66호, 2011, p.12.
  4. https://zh.wikipedia.org/wiki/%E7%9F%B3%E9%BC%93%E6%96%87
    吳濟仲, 「 籒文과 石鼓文의 관계 考察」,『中國語文學論集』제66호, 2011, p.21.
  5. 서재선, 「 石鼓文의 특색과 기타 秦系文字 와의 비교」,『동아시아고대학 』제24집, 2011, pp.383-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