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궈펑

ChineseWiki
오희진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6일 (목) 19:3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궈펑(華國鋒)

출생 1921년 2월 16일
산서성(山西省) 자오청(交城县)
사망 2008년 8월 20일(87세)
경력 국무원 총리(2대) 1974년 2월 2일 ~ 1980년 8월 20일,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2대) 1974년 4월 7일 ~ 1981년 6월 28일
직업 군인, 정치가

요약

1976년 마오쩌둥 사후 중국의 최고지도자가 된 화궈펑(華國鋒)은 짧은 통치 기간으로 인하여 과도기적 지도자로 불렸다. 화궈펑은 마오쩌둥이 가지고 있던 당 주석과 중앙군사위원회 주석뿐만 아니라 국무원 총리까지 겸직하였기 때문에 공식적 직위로 보았을 때는 중화인민공화국 역사상 어느 누구보다도 강력한 지도자였다. 더구나 당시에는 중국에서 지도자의 종신제가 유지되었다. 화궈펑은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마오쩌둥 사후 발생한 문화대혁명 4인방과의 권력투쟁을 성공적으로 진압하였으며, 마오쩌둥의 후계자라는 점을 활용하여 지지세력을 확보하기도 했다. 화궈펑은 자신이 문혁 시기 급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오쩌둥이 지명한 계승자라는 점에서 문혁의 수혜자이자 계승자였으나 동시에 사인방의 감금을 통해 문혁을 끝낸 문혁의 종결자였다.[1] 그렇기에 화궈펑은 이후 ‘마오쩌둥의 결정과 지시가 모두 옳다’는 이른바 양개범시론(兩個凡是論)을 내세워 문화대혁명을 옹호하며 덩샤오핑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덩샤오핑은 문화대혁명 이후 해방된 간부, 군 원로 및 지방의 군 실력자 등 복권을 지지하는 인사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화궈펑과 덩샤오핑의 직접적인 대결은 필연적 결과였다. 덩샤오핑은 이에 대해 실사구시론 등을 내세웠는데, 이들의 일련의 대립은 '진리투쟁토론'이라고 불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궈펑은 무리한 신약진정책을 추진하였고 투자 대비 최악의 결과를 낳은 1978년의 경제 실적에 따라 전면적인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반대로 덩샤오핑은 실사구시에 입각한 현대화 과제를 제기하며 지지세력을 확산해 나가기 시작했다. 결국 1980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화궈펑은 1980년 국무원 총리직, 1981년에는 당 중앙 주석직과 중앙군사위 주석직에서 사임하였다.[2] 총리직은 자오쯔양, 당 주석직은 후야오방, 중앙군사위 주석직은 덩샤오핑이 각각 승계하였다. 화궈펑은 이후 1992년 중국 공산당 대표, 중국 공산당 중앙당학교 교장, 중국 공산당 군사위원회 주석을 역임하는 등 당에서 활동을 이어갔지만, 이전과 같은 위치를 회복하기는 어려웠다.

생애

집권 이전

건국 이전

화궈펑은 산서성 교성현 출신이며 1920년생이다. 중일전쟁 발발 후에 혁명에 참가하여 산서성 綏遠의 中共黨 根據地인 晋綏에서 활약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많은 군사작전에 참여하여 무장공작대와 민병조직을 통한 게릴라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중공당의 정규군을 도왔다. 뤄양(呂梁)의 싸움이나 타이위안(太原)의 싸움에도 참가했으며, 연대의 정치위원을 역임해 胡宗南이 되었고 閭錫山의 군대와도 싸웠다. 화궈펑은 교성현 당위원회를 주재하면서 한편으로는 지방의 행정관리에도 손을 댔다. 1947년 10월 중공당은 中共土地法大綱을 공포하여 화북과 진수에서 토지개혁 운동을 전개하고 그 뒤 당 조직 재건을 획책했다. 또한 교성현에서 토지개혁 운동을 지도하고 몰수한 지주의 토지를 농민에게 분배함과 동시에 교성현 당 조직의 재건을 추진해 나갔다.

공산당 생활

1949년 여름, 그는 華北老解放區南下工作團에 참가하여 호남성으로 갔다. 초대 湘陰縣 唐書記 겸 人民武裝部 政治委員을 역임했다. 또 당시 연대의 정치위원이라는 직책도 맡았다고 생각된다. 湘陰縣은 洞庭湖地區, 즉 浜湖區에 속해 있다. 浜湖區는 호남성의 토지개혁 중심지구로 지정되었다.中共黨 호남성위원회 政策硏究室에서는 상은현 和豊鄕을 浜湖區의 모델로 해서 농촌의 토지 소유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에 따른 모든 조사보고서는 화궈펑의 협력을 근간으로 해서 정리되었다. 이것이 湖南省에 있어서의 그의 현지조사 활동의 시초였다. 상음현에서의 2년간 화궈펑은 토지개혁을 진행하였는데, ‘계급의 적을 제거한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지주들에게 통렬한 타격을 가했다. 1951년 여름과 가을에 걸쳐 화궈펑은 湘漂縣 黨서기로 있었던 2년여 동안 湖南의 ‘농업합작화운동’은 아직 ‘相助組’의 단계였다. 화궈펑은 相助組에 전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반혁명제거운동’, ‘계급의 적은 제거한다’는 中共黨의 정책을 철저히 행하여 周小舟(1953년부터 湖南省의 黨서기로 근무)에게 인정을 받아 누구보다도 빨리 지방위원회 서기로 발탁되었다. 그는 1954년 초부터 1963년까지 12년간 湘潭地區委員會 서기로 있었는데 1957년까지는 專任이었고 그후로는 겸임이었다.
湘潭地區는 湖南의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북부의 몇 개 縣은 洞庭湖 평야의 일부를 이루고 있어 湖南省의 중요한 농산지였다. 湘陰縣 이남도 농업이 주된 생산수단이었기 때문에 ‘農業合作化運動’의 추진이 가장 긴급하고도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되었다. 화궈펑이 黨專任 서기로서 黨위원회를 주재한 3년동안(1954~1956)은 중공의 농업합작화운동의 격변기었다. 1953년은 중공이 제1차 5개년계획을 시작하는 해로써 과도기의 총노선을 농업합작화운동에 집약시켰으며 그중에서도 농업의 사회주의적 改造의 실현을 모토로 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中共黨 中央委가 ‘농업생산합작사의 발전에 관한 결의’를 발표했고 다음 해에는 相助組를 병합하여 초급농업합작사를 조직했다.
1955년 2월 화궈펑은 湘陰縣 洞庭園에 湘潭地區委員會 工作組를 파견하여 湖南省에서 최초로 고급 농업생산합작사를 설립시켰다. 1956년까지에는 고급 농업합작사에는 아직 실험단계로써 숫자상으로는 적은 편이었다. 화궈펑은 타지방 간부들처럼 초급 농업합작사의 설립에 역점을 두었고 그 설립 템포는 상당히 빨랐다. 1953년 湘潭地區에는 75개의 농업생산합작사밖에 없었지만 1954년 겨울부터 1955년 초에 걸쳐 4,500개社 이상으로 확대되었고 55년 가을에는 이미 6,400으로 늘어났다. 1955년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편집된 ‘중공농촌에서의 사회주의 提高’라는 논문집 3권이 출판되었다. 이 책에는 湖南省 관계의 조사보고 6편이 수록되었는데 그 가운데 4편은 湘潭地區 간부들이 쓴 것이며, 또 하나는 中共黨 中央書記處 湖南工作組에 의해 쓰여진 湘潭地區와 長沙縣 및 寧鄕縣에 관한 조사보고서였다. 6편의 조사보고서 가운데 湘潭縣에 관한 것이 5편이나 차지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湘潭地區의 간부들이 쓴 4편의 조사보고 가운데 3편은 화궈펑에 의해 정리되었던 것이며, 이들 보고서에는 한결같이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일관되어 있었다. ‘중국 농촌에서의 사회주의 提高’가 정식으로 출판되기 이전에 중앙당 발행잡지 <學習>은 1955년 12월호에 농업합작화 특집으로 마오쩌둥의 ‘농업합작에 관한 諸문제’ 및 中央黨의 관계자료와 3편의 地區黨 書記 조사보고를 수록했다. 이 3편의 조사보고는 中共黨 山東省 膠州地張釣 및 화궈펑이었다. 화궈펑의 조사보고는 ‘농촌 각계층의 동향을 충분히 연구하자’라는 題下에 농촌합작화운동으로 貧農들의 곤란한 현실을 타개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中農에 의지하여 農業合作社를 설립하는 방법을 비판함과 아울러 일부 간부들의 ‘자본주의적 타락 경향’을 비난했다. 이때부터 마오쩌둥이 3인의 地區委 書記를 농촌합작화운동의 모범적 인물로 삼았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1957년부터 화궈펑은 湖南省의 黨과 정부기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루산회의(1959년 9월)까지는 湖南省黨委員會 書記 후보, 湖南省文敎辨公室 主任 및 과학공작위원회 副主任을 역임하여 湖南省의 문화교육부문을 장악하고 있었다. 文敎辨公室은 문화국·교육청·위생청 및 제육운동위원회를 총괄하고 있었던 관계로 화궈펑의 역량은 위의 각 부문에 미치고 있었다. 화궈펑이 호남성의 省 레벨의 기관에 부임한 것은 바로 마오쩌둥이 '반우파운동', 즉 지식인에 대한 대규모적인 숙청운동을 전개하고 있던 때였다. 화궈펑은 중앙당의 정책을 철저히 실행하여 湖南師節學院·湖南醫學院·中南鑛山治金學院 및 文藝科學 부문에서 적극적으로 '반우파운동'을 전개했다.[3]

마오쩌둥의 후계자

湘潭縣 韶出沖은 마오쩌둥의 고향이었던 만큼 위와 같은 화궈펑의 성공적인 업적은 마오쩌둥의 주목을 끌게 되었고 화궈펑이 출세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화궈펑이 마오쩌둥을 직접 만난 것은 1959년 6월 마오쩌둥의 첫 고향방문 때였는데, 당시 그는 샤오산이 속한 샹탄현 제1서기였다. 마오쩌둥의 주치의였던 리즈수이는 <마오쩌둥의 사생>에서 화궈펑과의 첫 대면장면을 기록해 놓았다.

… 샹탄현 당 지방위원회 제1서기인 화궈펑이 주석 일행을 맞이했다. 내가 18년 후에 마오의 후계자가 될 그를 만난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우리는 상탄에서 화궈펑과 이야기하며 잠시 쉬었다. 그러나 그는 샤오산에는 동행하지 않았다. 마오는 샤오산의 농부들이 그가 근처에 있으면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못할 것 같아 걱정했던 것이다.

 
— 서명선, 후난 마오로드

화궈펑 본인이나 마오쩌둥은 물론 누구도 그가 마오쩌둥 사후 마오의 정치적 위상을 이어받게 될 후계자가 되리라고 상상하지 못했다. 당시 화궈펑의 나이는 38세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마오쩌둥이 화궈펑을 본격적으로 중용하기 시작한 것은 그가 권력기반을 잃을 수도 있었던 1962년 ‘7천인대회’ 직후였다. 이 회의에서 화궈펑은 “1958~1960년의 위대한 과업수행 이후 인민들은 야위었고 가축도 야위었으며 심지어는 땅조차 메말라 버렸다. 우리는 더 이상 이 위대한 과업을 시행할 수 없다. 농촌 지역이 이러한 어려움을 이기고자 한다면 사회주의의 길로 계속해서 전진해야 하며, 호별 농업경작제와 농지청부제도는 과감하게 거부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결국엔 모두를 파멸로 이끌게 될 것이다.” 라면서 마오쩌둥의 대약진운동에 대한 지지입장을 표명했다. 마오쩌둥은 이때부터 “화궈펑은 정직한 사람이다. 국가의 다른 많은 지도자보다 훌륭한 사람이지!”라며 챙기기 시작했다. 7천인대회 직후 후난성 당서기였던 저우샤오저우와 주변 세력들이 숙청되자 화궈펑은 후난성 당위원회 상무서기로 승격했다. 마오의 직접 지시에 따른 파격적인 발탁이었다. 그의 업무는 후난성의 행정업무를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였다. 화궈펑은 샤오산의 마오쩌둥 기념관 건설을 총지휘했고, 샤오산 지역의 철도와 수로 공정 등 대형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 마오의 환심을 샀다. 문화대혁명 기간인 1968년 후난성 혁명위원회가 출범하자 제2부주임이 되었고, 1969년 당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문혁 이후 1969년 중국공산당 제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70년 후난 성 제1서기가 되었다.[4]
화궈펑에게 후계자로서의 본격적인 기회가 주어진 것은 린뱌오 사건으로 인한 것이었다. 문혁 이후 마오쩌둥의 새로운 후계자가 된 린뱌오가 쿠데타 음모를 꾸미다 실패한 후 소련으로 망명하다 몽골에서 비행기가 추락하여 사망한 사건으로, 중국에서 공식 발표한 린뱌오 사건은 마오쩌둥의 후계 체제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계기가 되었다. 린뱌오 사건 후 한편으로는 문혁 시기 숙청되었던 덩샤오핑 등 원로 간부들을 복귀시켰을 뿐만 아니라 왕홍원, 화궈펑, 우더 등 젊은 간부들을 예비 후계자군으로 선발하여 시험을 하였다. 마오쩌둥은 1973년 중국공산당 제10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왕홍원을, 그리고 1975년에는 덩샤오핑을 각각 자신의 후계자로 시험하였지만 전자는 능력문제로 후자는 노선문제로 탈락하게 되었고, 마지막까지 마오쩌둥에게 선택된 것이 화궈펑이었다. 저우언라이 총리의 추도회가 끝난 지 6일이 지난 1976년 1월 21일, 마오쩌둥은 조카인 마오위안신(毛遠新)에게 저우언라이 후임으로 장춘차오와 화궈펑 중에서 누가 더 나을 것인지를 물었다. 조카는 장춘차오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화궈펑에 대해서는 충실하고 정이 두터우며 매우 성실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마오쩌둥도 "화궈펑이 멋은 없지만 소박하고 진실된 데다 묵직하다."는 말로 조카의 평판에 동의하면서 화궈펑을 선택했다. 이에 화궈펑은 베이징으로 상경, 국무원 공작조 부조장, 조장을 맡아 린뱌오 사건을 처리했다. 그는 1972년 공안부장으로 승진, 중국의 공안과 정부망을 총괄하는 역할을 했고, 1973년 중앙정치국 위원이 되면서 공안부장을 겸했고, 1975년에는 국무원 부총리로 고속출세의 길을 달렸다. 저우언라이 사망 후인 1976년 2월 국무원 총리가 되었으며 천안문 사건 직후인 1976년 4월 당의 제1부주석이 됨으로써 중국공산당의 2인자이자 마오쩌둥의 공식적인 후계자가 되었다.[5]

집권과 실각

1976년 9월 9일 중국의 절대 권력자 마오쩌둥이 사망한 후 10월 6일 화궈펑과 예젠잉, 왕동싱 등이 궁정쿠데타인 화이런탕사변을 통하여 문화대혁명의 주도세력인 사인방을 구금하고, 그날 밤 예젠잉의 집에서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화궈펑이 당 주석과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취임함으로써 화궈펑으로의 승계가 완료되었다.

4인방 숙청

진리 투쟁 논쟁

실각

화궈펑의 실각은 1980년 11월부터 12월까지 9차에 걸쳐 개최된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결정되었지만, 화궈펑의 실각 문제가 최초로 제기된 것은 1980년 8월의 정치국확대 회의였다. 1980년 정치국확대 회의는 「당과 국가 영도제도의 개혁」이라는 정치개혁에 대한 덩샤오핑의 저명한 연설이 행해진 회의이기도 하다. 덩샤오핑은 이 연설에서 화궈펑이 더 이상 국무총리를 겸직하지 않고 리센니엔, 천윈, 쉬샹첸, 완전 등은 부총리를 겸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덩샤오핑의 연설은 직접적으로는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과도한 겸직을 막기 위한 것과 관련되지만 이때부터 화궈펑의 실각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6]

평가:실각의 원인

중국 공산당

중국공산당이 공식적으로 천명하는 화궈펑 실각의 원인은 마르크스 주의에 위배되는 양개범시를 견지하고 개인 숭배를 하였으며, 경제 문제에서 좌경적 구호를 제기하여 국가 경제의 손실과 곤란을 초래하였으며, 중앙의 주석으로서 필요한 정치 능력과 조직 능력이 부족하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감당할 능력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공개되는 자료에서 경제 문제와 관련해서는 덩샤오핑이 화궈펑보다는 훨신 높은 지표를 말하였다는 점이 보여주는 것은 공식적 비판에는 실각의 정당화를 위한 과장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화궈펑은 자신의 정당성의 원천인 마오쩌둥의 권위를 옹호함으로써 자신의 권력을 공고화하기 위하여 ‘양개범시’를 주창하였다. 그러나 화궈펑은 주어진 권위만으로는 권력을 공고화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 계승의 정당성은 주어진 것이지만 성과를 통하여 자신의 정당성을 확인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것을 위하여 화궈펑은 적극적으로 대외 개방과 개혁을 추진했다. 소위 좌경적 구호는 높은 쥐표와 과도한 서방의 자본과 기술 도입을 말하는데, 앞서 말한바와 같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오히려 덩샤오핑이 가장 좌경적이었다. 그러한 좌경적 구호를 제기했다는 비판은 역설적으로 화궈펑이 대외 개방에 적극적이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화궈펑 승계의 모순

화궈펑 승계 정당성의 두 가지 원천의 모순으로 인해 화궈펑이 실각했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화궈펑의 승계는 마오쩌둥이 선택한 결과였다. 다시 말해서 절대 권력자 마오쩌둥의 권위가 화궈펑 승계 정당성의 제일의 원천이었다. 그와 동시에 화궈펑은 사인방을 감금함으로써 자신의 승계를 완성했다. 그런데 사인방은 문혁의 주도자였으며 문혁은 마오쩌둥의 필생의 사업이었다. 화궈펑은 자신이 문혁 시기 급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오쩌둥이 지명한 계승자라는 점에서 문혁의 수혜자이자 계승자였으나 동시에 사인방의 감금을 통해 문혁을 끝낸 문혁의 종결자였다. 마오쩌둥의 계승자로서 자신의 정당성의 원천인 마오쩌둥을 옹호해야 했으며 그것을 위하여 ‘양개범시’를 주창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문혁의 종결자로서 문혁을, 따라서 그것의 최종적인 책임자인 마오쩌둥을 부정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모리스 마이스너의 표현대로 마오주의의 유산은 화궈펑에게는 그것을 유지하고도 존속할 수 없고 그것을 버리고도 존속할 수 없는 치명적인 약점이 되었던 것이다.[7] 그 결과가 문혁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제로서 ‘양개범시’를 부정하는 진리표준토론이었다. 진리표준토론의 결과 중앙공작회의와 11기 3중전회의에서 화궈펑 자신이 자아비판을 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권력 기반의 중요한 축의 하나였던 문혁 기간 중에 성장한 소위 ‘양개범시’를 주창한 범시파들이 실각하였던 것이다.

능력의 한계 및 도전세력의 존재

화궈펑은 개인적 능력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강한 도전 세력이 있었기 때문에 실각으로 이어졌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문혁 중에 실각되거나 숙청당한 원로 간부들이 그들이다. 덩샤오핑이 복권될 경우 화궈펑의 권력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자신이 덩샤오핑의 복권을 막았다고 한 왕동싱의 말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소위 문혁 피해자 원로 간부세력들은 화궈펑 체제에 대한 강력한 잠재적인 도전 세력이었다. 그들은 혁명과 국가 건설 과정에서 화궈펑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경력을 쌓았으며 넓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문제는 문혁의 종결자로서 화궈펑이 이들의 복권을 막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화궈펑 체제를 형성했던 권력 기반은 크게 두 축으로 형성되어 있었는데 하나는 화궈펑과 같이 문혁 시기에 승진한 문혁 수혜자 세력이었다. 이들은 문혁 이전에는 대체로 중견 세력이라고 할 수 있는 성급간부였지만 문혁 시기 최고지도부에 진입한 세력이다. 이들이 대체로 ‘양개범시’를 옹호한 범시파라고 할 수 있는데, 앞서 말한 바와 같은 진리표준의 결과 실각이 시작되었다. 다른 한 세력은 예젠잉, 린센니엔 등을 위시한 원로 간부 세력이었다. 이들은 예젠잉의 자아비판에서도 알 수 있듯 "자신이 봉건적인 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화궈펑에 대해 제갈량이 후주를 섬기듯 했다". 마오쩌둥에 대한 충성을 그가 지명한 후계자에게 지속한 경우였다. 그런데 이들은 한편으로는 화궈펑에 대한 충성을 유지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혁 피해자 세력과는 혁명 시기 생사를 같이 한 동료였다는 점에서 그들과 적극적으로 대립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외려 복권을 응원했다.
다시 말해, 이들은 화궈펑 체제의 한 축이기는 했지만 화궈펑의 잠재적 도전자들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할 필요성도 의지도 가지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권력의 중심이 11기 3중전회 이후 점차 문혁 피해자 원로 간부 세력으로 이전해 가며 화궈펑 체제는 점진적으로 붕괴해 갔던 것이다. 종합하자면 화궈펑 체제는 권력의 원천에서 가지는 모순과 강력한 도전 세력의 존재와 그와 대비되는 상대적으로 일천한 화궈펑의 개인적 경력과 능력이 화궈펑 실각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서적

1. 중국 최고 정치지도자들의 리더십, 이승익, 2011.
2. 후난 마오로드, 서명선, 2015.

논문

1. 모호한 전환점, 안치영, 2008.
2. 중공의 정치현실과 화국봉 노선, 황현봉, 1977.
3. 중국공산당의 범시파와 개혁파의 노선비교, 전병곤, 1990.
4. 중국공산당 3중전회(全會) 성격 고찰 -11기 3중전회(全會) 이후 집단지도체제 교체기의 3중전회(全會)를 중심으로-, 최경식, 2015.
5. 중국 '사상해방' 논쟁에 관한 연구, 공봉진, 2009.
6. 중국 화궈펑과 소련 흐루시초프를 보자, 이동훈, 2012.
7. 화국봉의 숨겨진 이력, 정망, 1997.
8. 화궈펑 체제의 승계와 실각을 통해 본 김정은 체제의 딜레마, 안치영, 2012.

각주

  1. 화궈펑 체제의 승계와 실각을 통해 본 김정은 체제의 딜레마, 안치영, 2012.
  2. 중국 화궈펑과 소련 흐루시초프를 보자, 이동훈, 2012.
  3. 화국봉의 숨겨진 이력, 정망, 1997.
  4. 후난 마오로드, 서명선, 2015.
  5. 앞의 논문, 안치영, 2012.
  6. 앞의 논문, 안치영, 2012.
  7. Maurice Meisner, The Deng Xiaoping Era : An Inquiry into the Fate of Chinese Socialism, 1978-1993, Hill and Wang,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