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가로왈.png

고문자의 曰자는 입 속에 가로획 혹은 하나의 굽은 획을 더한 형상이고, 입 안에서 소리가 나오는 것을 따른다. 즉 ‘말하다’의 뜻이다. 曰의 본래 뜻은 ‘말하다’이고 뜻이 확장되어 ‘부르다, ~라고 불린다.’이다. 또 뜻이 확장되어 ‘맞다, 옳다’라는 판단의 의미를 포함하게 된다.

文化

위의 해석과 다르게 ‘시라카와 시즈카’는 왈(曰)을 그릇 속에 축문을 봉납해둔 형태라고 일관되게 주장한다. 그는 이와 관련된 글자들을 많이 나열하며, 왈(曰)은 그릇 속에 축문을 봉납해둔 형태라고 설명한다. 축문을 넣어두는 그릇은 가늘고 긴 나무에 매달아 신에게 바치기도 했다고 한다. 그 형태가 사(史)이다. 卜辭에 보면 ‘대을(大乙 : 조상 이름)에게 사(史 : 제사)하나니 왕은 그것을 흠향할 것인가?’와 같은 식으로 나와 있다. 史는 조상 신령을 받드는 제사 이름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산천의 성소로 나아가서 제사지낼 때는 축문 그릇을 커다란 나무에 매달고 수실을 늘어뜨려 장식하고 그것을 받들고 떠났다.[1] 바로 書처럼 축문 그릇을 흙 속에 감춰두는 경우도 있었지만 告나 史처럼 신간(神桿 : 솟대)에 붙여서 신의 뜻을 묻는 일도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某(꾀할 모)이다. 곧 謨의 처음 글자다. 지금의 해서자 자형은 윗부분을 甘의 형태로 적지만 금문에서의 자형은 분명히 曰로 하였다. 글자의 이미지는 告와 같다고 보아도 좋다. 曰(왈)의 주술 능력을 더럽히려고 거기다 물을 쏟아 붓기도 하였다. 沓(겹칠 답)이 그 글자다. 또 발로 밟는[踏] 일도 있었을 것이다. 또 잠(簪 : 비녀)도 주술 도구로 사용할 수 있었다. 또 참(朁 : 비방하다)은 사람을 비방할 때 사용하는 주술 방법이다. 또 그는 尋(찾을 심)자를 사람을 찾는다든가 죄인을 심문하다든가 하는 뜻의 글자가 아니었다고 말한다. 본래는 숨어계신 신의 소재를 찾는 일을 가리켰다고 한다. 또 그는 工(장인 공)이라는 글자를 주술도구로 보고 있다. 사실 이는 그 자형을 포함하는 巫한(무당무), 隱편(숨길 은), 恐(두려울 공)의 자의로부터 알 수 있다. 또 그는 巫자는 工을 좌우의 손으로 바치는 형태라고 말한다. 巫祝(무당과 주술사)은 이것을 주술도구로 이용해 신파 접하였다는 것이다. 祝書(빌 축)도 글자의 처음 형태는 兄(맏 형)이었으니 그것은 축문을 봉납해둔 그릇을 받드는 사람의 모습[2]이라고 말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이처럼 많은 글자들과 같이 신적인 것과 관련된 글자, 曰(왈)이 그릇 속에 축문을 봉납해둔 형태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曰이란 신이 자신을 말씀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그래서 ‘曰’을 일본에서는 ‘고하시길’이라고 읽는다. 그것이 그 글자의 본의다.[3]

  1. 시라카와 시즈카, 《漢字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56
  2. 시라카와 시즈카, 《漢字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59
  3. 시라카와 시즈카, 《漢字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 p.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