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어질 량.png

良(량)은 廊(곽)의 본래 글자이다. 갑골문의 良자는 집에 회랑이 있는 형태를 상형하였다. 중간의 ‘口’는 방을 나타내고, 위아래 두 개의 구불구불한 통로는 방과 방 사이에 연결된 회랑이다. 그래서 良자의 본래 의미는 회랑을 가리킨다. 이 글자는 그 후에 좋다, 착하다 등의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 본래 의미는 廊자가 대체하였다.

良은 廊의 본래 글자이다. 인류의 반혈거시대 때 출구로 복도를 통과하는 집의 형태가 있었다. 갑골문에서 중간의 네모 형태는 원뿔형의 집 꼭대기와 동굴집이다. 위아래의 구불구불한 길은 복도이다. 금문에서도 갑골문과 서로 비슷한 부분을 여전히 발견할 수 있다. '설문고문'은 세 개의 쓰기법이 있다. 그 중 두개는 갑골, 금문에 부합되지 않는데, 아마 이것은 진 이외의 육국의 이체자 일 것이다. 良은 집 건축물을 표현하기 위해서 소전에서는 널찍한 막사 형식의 가옥인 广자와 사람이 거주하는 것을 표시하는 邑자를 별도로 더하여 廊를 완성하였다. 이 글자에 따라 의미가 나뉘었다. 《설문》에서 말하기를, "良은 좋아한다는 것이다." "廊은 동서의 곁채이다." 예서부터는 良과廊을 구분하여 썼다.

文化

수, 당, 오대의 주택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없다. 당시의 문헌이 기술하는 귀족의 택제는 단지 돈황의 벽화와 그 밖에 남아 있는 회화 등에서 약간의 방증자료를 얻을 수 있을 뿐이다. 어떤 귀족의 택제 대문은 오두문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주택의 내에는 두 개의 주요한 건물 사이에 직령창이 있는 회랑을 이용하여 연결한 사합원이있으나, 건축물의 위치가 완전히 대칭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회랑을 이용하여 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여전히 일치하고 있다.[1] 따라서 중국 고대 건축물 특히 지위가 높은 사람의 집의 경우에는 회랑의 모습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良은 상형 문자로, 良의 자원에 대해서는 풀이가 다양하지만, 갑골문에서 원형이나 네모꼴로 된 (동굴)집과 그 아래위로 길이 난 모습이어서, 집으로 통하는 길을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집으로 가는 길은 흡족함의 상징이기에 良에 ‘좋다’는 뜻이 생겼고, 원래 뜻은 阜(언덕 부)가 더해져 郞(사나이 랑)이 되었다. 하지만 郞도 궁궐의 회랑(郞)에서 일을 보는 최측근을 郞中(낭중)이라 했던 것처럼 ‘훌륭하고 뛰어난’ 신하를 뜻하게 되자, 다시 广(집 엄)을 더한 廊(복도 랑, 사랑채 랑)으로 발전했다.[2]

  1. 유돈정․정옥근, 중국 고대건축사, p.210
  2. 하영삼, 한자어원사전(도서출판3, 2014), 173-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