逮
語原
“逮”자는 금문, 《석고문》과 소전에서 오른쪽 부분은 모두 한 손""을 뻗어 동물의 큰 꼬리"
"를 쥐는 모양으로, 이는 동물을 붙잡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隶”자(dài)이다. 왼쪽에는 “辵”(chuò)로, ‘걷다’,‘행동하다’라는 뜻의 부호이다. 부수로써는 “책받침”이라고 일컫는다. 隶”자와 결합하여 “逮”자가 되었는데, 이는 “逮”이 손의 행동을 통해 완성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예서에서는 전서의 “
”를 “辶”이라고 간략히 표기하였으며, 이는 고문에서 오늘날의 문자를 향한 일보전진이었다.[1]
'隶'는 따라잡는다는 뜻이다. '又(우)'와 '尾(미)'의 생략형으로 구성되었다. 손으로 꼬리를 잡고 있는 것은 뒤에서 따라잡는다는 뜻이다. 隶부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隶의 의미를 따른다. 이 글자와 '辵(착)'부의 '逮(체)'는 발음과 의미가 모두 같다. '逮'가 주로 유행하면서 '隶'자는 없어졌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