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황의 치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황의 치(開皇之治, 581~604년)란 수나라의 1대 황제 수 문제 양견의 치세를 일컫는 말이다.

문제의 치적

수나라를 창건한 문제 양견은 지금까지의 악정에 단호한 개혁 조치를 취하는 등 정치에 정진함으로써 유능한 군주로서의 자질을 발휘했다. 그는 먼저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함과 아울러 지방 행정의 간소화를 단행했다. 또한 군사제도의 개혁을 단행하여 병농일치(兵農一致)의 원칙을 마련하였다.
관리의 임용에 있어서도 지방의 호족이 관리 후보자를 중앙에 추천하던 이전의 과거제도를 지양하고 학과시험을 치러 선발하는 방법으로 전환했다. 이 방법은 후에 단계적으로 정비되어 과거제도의 효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중소 지주 계층도 정치에 참여하는 기회가 주어져 지배층의 저변이 확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남북조 시대 때는 구품관인법(九品官人法)에 의해 관리 임명권이 귀족 세력의 손에 있었는데, 과거제도의 개편을 통해 관리 임명권을 황제의 손으로 돌려받게 된 것이다.
관리제도도 대개혁을 시행해, 최고기관으로써 상서성(尚書省), 문하성(門下省), 내사성(内史省)의 3성을 설치하고, 상서성 아래에 문서행정기관인 6부(六部), 말하자면 인사담당인 이부(吏部), 재정담당인 도지부(度支部), 의례(儀禮)담당인 예부(禮部), 군사담당인 병부(兵部), 법무담당인 도관부(都官部), 토목담당인 공부(工部) 등 6개였다. 그 아래에 실무기관인 9시(寺), 또 이것을 별도로 감찰하고 감독하는 기관인 어사대(御史台)를 설치했다. 지방에 대해서도 이때까지 쓰여오던 주(州), 군(郡), 현(縣)이란 3단계 구분을 없애고, 주, 현의 2단계 구분으로 재편성하였다.
경제면에서는 부역의 경감, 세금의 감소와 농상(農桑) 장려 정책을 취함으로써 생산력의 향상과 국력의 신장을 기했다. 또한 생산의 발전을 중시함과 아울러 절약을 강조하였다. 먼저 문제 자신이 솔선하여 검소한 생활을 하고 궁중에서 사용하는 물건도 아껴 썼으며 황후의 복장도 사치를 금했다. 관리와 귀족들도 검약을 자랑으로 삼고 금과 옥으로 화려하게 꾸미는 것을 수치스럽게 생각하는 풍토를 조성하는 데 힘썼다. 문제는 관리의 비행사실에 대하여는 항시 엄벌주의를 택하여 때로는 너무 지나치다고 비판받을 정도로 단호한 조처를 취했으나 민생 문제에 대해서는 특별한 배려를 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 선정이 20여 년간 계속되자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하여 서민의 생활도 풍족해져 태평성대의 분위기가 넘쳐흘렀다. 창고가 꽉 차 더 이상 곡식과 피륙을 쌓을 곳이 없게 되자 문제는 각 군현에 조서를 내려 부를 백성에게 돌리도록 하고 조세를 면제하도록 하기도 했다.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함에 따라 인구도 급격히 증가했다. 수나라 초기 북조에는 약 360만 호, 남조에는 약 50여만 호로 모두 4백여만 호에 지나지 않았으나 그로부터 20년 후에는 전국의 호수가 890여만 호, 인구가 4천 6백여만 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렇게 문제에 의해 정비된 여러 제도는 거의 대부분이 후에 당나라가 물려받아, 당나라 300년의 역사를 지탱하게 되는 기초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치세를 당시 연호에 의거해 개황의 치 라고 불렀다.


참고문헌

김희영,『이야기중국사 2』(청아출판사, 2006)
박덕규, 『중국역사이야기 8』(일송북,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