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ukyeongv v (토론 | 기여) |
Jukyeongv v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작을미.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작을미.png|500픽셀|오른쪽]] | ||
− | 회의자 이다. | + | 회의자 이다. 원래 산발을 한 노인과 攵(칠 복)으로 이루어져 노인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후 彳(조금 걸을 척) 이 더해져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 | 원래 산발을 한 노인과 攵(칠 복)으로 이루어져 노인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후 彳(조금 걸을 척) 이 더해져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 + | ==文化== |
+ | 원시 시절 찌를 통해 영혼이 육신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죽음이라 생각했던 탓에 아직 죽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생산력이 부족했던 터라 노인은 어떤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원의 생존에 부담을 주는 존재였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타살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나이가 든 노인에서 ‘미약함’의 뜻이 나왔고, 이후 彳이 더해져 이러한 행위가 길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사회의 발달로 이러한 습속은 숨겨진 곳에서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미약하다, 작다, 쇠락하다, 숨다, 은밀하다, 몰래 등의 뜻이 나왔다. 또 단위로 쓰여 1백만분의 일을 지칭하기도 한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
+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
+ | |||
+ | |||
− |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16년 12월 25일 (일) 22:37 판
語源
회의자 이다. 원래 산발을 한 노인과 攵(칠 복)으로 이루어져 노인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후 彳(조금 걸을 척) 이 더해져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1]
文化
원시 시절 찌를 통해 영혼이 육신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죽음이라 생각했던 탓에 아직 죽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생산력이 부족했던 터라 노인은 어떤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원의 생존에 부담을 주는 존재였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타살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나이가 든 노인에서 ‘미약함’의 뜻이 나왔고, 이후 彳이 더해져 이러한 행위가 길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사회의 발달로 이러한 습속은 숨겨진 곳에서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미약하다, 작다, 쇠락하다, 숨다, 은밀하다, 몰래 등의 뜻이 나왔다. 또 단위로 쓰여 1백만분의 일을 지칭하기도 한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