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야연도이원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원문== <center><big><big><big><big>'''春夜宴桃李園序'''</big></big></big></big>(춘야연도리원서)</center> <center><big><big><big>李白</big></big></big>(이백)</cen...)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center><big><big>不有佳作, 何伸雅懷.</big></big>(불유가작, 하신아회)</center> | <center><big><big>不有佳作, 何伸雅懷.</big></big>(불유가작, 하신아회)</center> | ||
<center><big><big>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big></big>(여시불성, 벌의금곡주수)</center> | <center><big><big>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big></big>(여시불성, 벌의금곡주수)</center> | ||
+ | ==주석== | ||
+ | 1) '''역려(逆旅)''': 객사와 같으며 여관을 의미한다. ‘역’은 마중하다, 곧 나그네를 맞이하는 곳.<br> | ||
+ | 2) '''광음(光陰)''': ‘광’은 일, ‘음’은 월, 곧 세월을 말한다.<br> | ||
+ | 3) '''부생(浮生)''': 인생을 가리키는 말인데, 인간 세상이 헛되고 안정됨이 없는 것을 부생이라고 한다.<br> | ||
+ | 4) '''위환(爲歡)''': 즐겁게 노는 것을 가리킨다.<br> | ||
+ | 5) '''병촉야유(秉燭夜遊)''': 촛불을 가지고 밤에 노는 것을 말한다. ‘병’은 잡다, 들다.<br> | ||
+ | 6) '''양유이(良有以)''': 진실로 매우 까닭이 있다는 것이다. ‘양’은 진실로, 틀림없이. ‘이’는 원인, 근거.<br> | ||
+ | 7) '''연경(煙景)''': 아지랑이 낀 봄날의 경관.<br> | ||
+ | 8) '''대괴(大塊)''': 천지, 대자연을 의미한다. 《장자ㆍ제물론(莊子ㆍ齊物論)》에 “대자연이 트림한다”라 하였다<br>. | ||
+ | 9) '''가(假)''': 차(借)와 같은 의미로 ‘빌려주다’라는 뜻이다.<br> | ||
+ | 10) '''문장(文章)''': 아름다운 색깔 혹은 무늬인데, 여기에서는 봄날의 아름다운 경치를 가리킨다.<br> | ||
+ | 11) '''방원(芳園)''': 꽃이 핀 정원.<br> | ||
+ | 12) '''군계(群季)''': 여러 동생이란 뜻이다. 옛 사람들은 백(伯)ㆍ중(仲)ㆍ숙(叔)ㆍ계(季)로 형제간의 장유(長幼)의 순서를 의미하였다.<br> | ||
+ | 13) '''혜련(惠連)''': 사혜련(謝惠連)을 말한다. 남조 송나라 진군(陳群) 양하(陽夏) 사람으로, 사령운(謝靈運)과 더불어 시를 잘 지었다.<br> | ||
+ | 14) '''강락(康樂)''': 사령운을 말한다. 강락공(康樂公)에 봉해졌으므로 사강락이라고 한다.<br> | ||
+ | 15) '''경연(瓊筵)''': 구슬방석. 화려한 연회 자리를 비유한다.<br> | ||
+ | 16) '''좌화(坐花)''': 사방이 꽃으로 둘러싸인 곳에 앉는다.<br> | ||
+ | 17) '''우상(羽觴)''': 두 개의 귀가 달린 참새 모양의 술잔이다.<br> | ||
+ | 18) '''취월(醉月)''': 달 아래에서 술에 취한다는 뜻.<br> | ||
+ | 19) '''신(伸)''': 토로하다.<br> | ||
+ | 20) '''금곡주수(金谷酒數)''': 진(晉)나라 석숭(石崇)이 금곡원(金谷園)에 손님들을 초대하여 주연을 베풀고 이 자리에서 시를 짓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벌로 술 세 말을 마시게 하였다고 한다. |
2016년 12월 30일 (금) 17:37 판
원문
주석
1) 역려(逆旅): 객사와 같으며 여관을 의미한다. ‘역’은 마중하다, 곧 나그네를 맞이하는 곳.
2) 광음(光陰): ‘광’은 일, ‘음’은 월, 곧 세월을 말한다.
3) 부생(浮生): 인생을 가리키는 말인데, 인간 세상이 헛되고 안정됨이 없는 것을 부생이라고 한다.
4) 위환(爲歡): 즐겁게 노는 것을 가리킨다.
5) 병촉야유(秉燭夜遊): 촛불을 가지고 밤에 노는 것을 말한다. ‘병’은 잡다, 들다.
6) 양유이(良有以): 진실로 매우 까닭이 있다는 것이다. ‘양’은 진실로, 틀림없이. ‘이’는 원인, 근거.
7) 연경(煙景): 아지랑이 낀 봄날의 경관.
8) 대괴(大塊): 천지, 대자연을 의미한다. 《장자ㆍ제물론(莊子ㆍ齊物論)》에 “대자연이 트림한다”라 하였다
.
9) 가(假): 차(借)와 같은 의미로 ‘빌려주다’라는 뜻이다.
10) 문장(文章): 아름다운 색깔 혹은 무늬인데, 여기에서는 봄날의 아름다운 경치를 가리킨다.
11) 방원(芳園): 꽃이 핀 정원.
12) 군계(群季): 여러 동생이란 뜻이다. 옛 사람들은 백(伯)ㆍ중(仲)ㆍ숙(叔)ㆍ계(季)로 형제간의 장유(長幼)의 순서를 의미하였다.
13) 혜련(惠連): 사혜련(謝惠連)을 말한다. 남조 송나라 진군(陳群) 양하(陽夏) 사람으로, 사령운(謝靈運)과 더불어 시를 잘 지었다.
14) 강락(康樂): 사령운을 말한다. 강락공(康樂公)에 봉해졌으므로 사강락이라고 한다.
15) 경연(瓊筵): 구슬방석. 화려한 연회 자리를 비유한다.
16) 좌화(坐花): 사방이 꽃으로 둘러싸인 곳에 앉는다.
17) 우상(羽觴): 두 개의 귀가 달린 참새 모양의 술잔이다.
18) 취월(醉月): 달 아래에서 술에 취한다는 뜻.
19) 신(伸): 토로하다.
20) 금곡주수(金谷酒數): 진(晉)나라 석숭(石崇)이 금곡원(金谷園)에 손님들을 초대하여 주연을 베풀고 이 자리에서 시를 짓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벌로 술 세 말을 마시게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