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Flowerman8922 (토론 | 기여)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이름 = 동탁[董卓] | |이름 = 동탁[董卓] | ||
− | |그림 = | + | |그림 = |
|출생일 = ? | |출생일 = ? | ||
|출생지 = 농서군(隴西郡) 임조현(臨洮縣, 지금의 甘肅省 岷縣) | |출생지 = 농서군(隴西郡) 임조현(臨洮縣, 지금의 甘肅省 岷縣)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초기 생애== | ==초기 생애== | ||
− | 태어난 곳은 농서군(隴西郡) 임조현(臨洮縣)이지만 얼마 후에 양주 부친을 따라 양주(凉州)로 갔기 때문에, 동탁은 어린시절 줄곧 강인(羌人, 강족을 일컫는 말)들과 어울려 지냈다. (당시에는 강인이 이미 양주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다) 천성이 싸우기를 좋아하고 힘도 좋았으며, 말을 잘 탔고 활도 양손으로 쏠 줄 알았다고 한다. 싸움을 잘해 군관이 될 재능은 있었지만, 장수의 재목은 아니었다. 병법을 배우기는 했어도 익혀서 자기 것으로 만들 줄 몰랐고 정치적으로 뛰어난 점이 있었으나, 권모술수에 능했을 뿐 사리에 밝은 것은 아니었다.<br>환제의 말년인 167년(영강 원년), 동탁은 자기 고장에서 병마연(兵馬掾)을 역임해 무기와 군마를 관장했으며 중앙에서는 우림랑(羽林郞)으로 뽑혀, [[흉노]] 중랑장 장환(張奐) 밑에서 사마로 종군하여 한양(漢陽, 천수군)에서 강족과의 전투에서 작은 공을 세워 낭중(郎中)으로 진급한다. 그리고 서역의 무기교위(戊己校尉), 병주(幷州, 지금의 산시(山西)성 타이위안(太原)) 자사를 거치는 과정에서 관직을 잃기도 하지만, 탁월한 수완을 발휘하여 곧 직위를 회복해 하동태수(河東太守)로 승진한다. | + | 태어난 곳은 농서군(隴西郡) 임조현(臨洮縣)이지만 얼마 후에 양주 부친을 따라 양주(凉州)로 갔기 때문에, 동탁은 어린시절 줄곧 강인(羌人, 강족을 일컫는 말)들과 어울려 지냈다. (당시에는 강인이 이미 양주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다) 천성이 싸우기를 좋아하고 힘도 좋았으며, 말을 잘 탔고 활도 양손으로 쏠 줄 알았다고 한다. 싸움을 잘해 군관이 될 재능은 있었지만, 장수의 재목은 아니었다. 병법을 배우기는 했어도 익혀서 자기 것으로 만들 줄 몰랐고 정치적으로 뛰어난 점이 있었으나, 권모술수에 능했을 뿐 사리에 밝은 것은 아니었다.<br><br>환제의 말년인 167년(영강 원년), 동탁은 자기 고장에서 병마연(兵馬掾)을 역임해 무기와 군마를 관장했으며 중앙에서는 우림랑(羽林郞)으로 뽑혀, [[흉노]] 중랑장 장환(張奐) 밑에서 사마로 종군하여 한양(漢陽, 천수군)에서 강족과의 전투에서 작은 공을 세워 낭중(郎中)으로 진급한다. 그리고 서역의 무기교위(戊己校尉), 병주(幷州, 지금의 산시(山西)성 타이위안(太原)) 자사를 거치는 과정에서 관직을 잃기도 하지만, 탁월한 수완을 발휘하여 곧 직위를 회복해 하동태수(河東太守)로 승진한다. |
==세력을 키우고, 낙양에 입성하다== | ==세력을 키우고, 낙양에 입성하다== | ||
− | 영제 중평(中平) 원년인 184년에 [[황건적의 난]]이 터지자 북방에서 먼저 강족 · 황(湟)족의 의종호와 금성(金城)에 살던 변장(邊章) · 한수(韓遂)라는 이들이 군대를 일으켰다. 동탁은 동중랑장(東中郞將), 중랑장(中郞將), 파로장군(破虜將軍), 전장군(前將軍)의 신분을 잇달아 거치면서 이들을 진압하였다. 이 때 동탁은 전투에서 번번이 지고도 관직이 높아졌는데, 이는 그가 '정치'를 잘 알았기 때문이다. 그는 예물을 보내는 일의 중요성을 잘 알았고,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누구에게 보내야 하는지도 잘 알았다.<br>[[황보숭]]과함께 반란을 진압하게 된 동탁은 이후로 조정으로부터 군대를 반납하고 황보숭의 지휘에 따르라는 명을 받지만, 그는 부하들이 자기를 너무 좋아해 보내주지 않는다는 핑계를 대며 명령에 따르지 않고 그대로 병사들을 이끈 채 하동(河東)에 머물며 때를 기다린다. 그해 영제가 죽자 대장군 [[하진]]과 [[원소]]가 환관을 제거하고자 모의하여 조정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은밀하게 동탁을 불러들였다. 그러나 이 계획을 미리 눈치챈 환관들에게 하진은 피살되었고, 이에 분노한 원소 등에게 환관들도 제거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동탁은 낙양에 진격하여 어린 황제 [[소제]](少帝)와 [[진유왕]](陳留王)의 신변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동탁의 군사는 3천 남짓한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어 원소 등 다른 경쟁자들에 비하면 크게 유리한 점이 없었지만, 동탁이 꾀를 내서 한밤 중 어둠을 틈타 몰래 낙양성을 빠져나갔다가 다음 날 한낮에 깃발을 펄럭이고 북을 치며 입성하곤 하면서 서쪽에서 대군이 계속 도착하는 것 처럼 보이게 했다. 이에 주인이 없던 하진, 하묘 형제의 군사들과 정원의 군사들은 동탁쪽으로 붙게 되고 결국 수도의 군사 대부분을 장악하는데 성공하였다. | + | 영제 중평(中平) 원년인 184년에 [[황건적의 난]]이 터지자 북방에서 먼저 강족 · 황(湟)족의 의종호와 금성(金城)에 살던 변장(邊章) · 한수(韓遂)라는 이들이 군대를 일으켰다. 동탁은 동중랑장(東中郞將), 중랑장(中郞將), 파로장군(破虜將軍), 전장군(前將軍)의 신분을 잇달아 거치면서 이들을 진압하였다. 이 때 동탁은 전투에서 번번이 지고도 관직이 높아졌는데, 이는 그가 '정치'를 잘 알았기 때문이다. 그는 예물을 보내는 일의 중요성을 잘 알았고,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누구에게 보내야 하는지도 잘 알았다.<br><br>[[황보숭]]과함께 반란을 진압하게 된 동탁은 이후로 조정으로부터 군대를 반납하고 황보숭의 지휘에 따르라는 명을 받지만, 그는 부하들이 자기를 너무 좋아해 보내주지 않는다는 핑계를 대며 명령에 따르지 않고 그대로 병사들을 이끈 채 하동(河東)에 머물며 때를 기다린다. 그해 영제가 죽자 대장군 [[하진]]과 [[원소]]가 환관을 제거하고자 모의하여 조정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은밀하게 동탁을 불러들였다. 그러나 이 계획을 미리 눈치챈 환관들에게 하진은 피살되었고, 이에 분노한 원소 등에게 환관들도 제거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동탁은 낙양에 진격하여 어린 황제 [[소제]](少帝)와 [[진유왕]](陳留王)의 신변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동탁의 군사는 3천 남짓한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어 원소 등 다른 경쟁자들에 비하면 크게 유리한 점이 없었지만, 동탁이 꾀를 내서 한밤 중 어둠을 틈타 몰래 낙양성을 빠져나갔다가 다음 날 한낮에 깃발을 펄럭이고 북을 치며 입성하곤 하면서 서쪽에서 대군이 계속 도착하는 것 처럼 보이게 했다. 이에 주인이 없던 하진, 하묘 형제의 군사들과 정원의 군사들은 동탁쪽으로 붙게 되고 결국 수도의 군사 대부분을 장악하는데 성공하였다. |
==소제 폐위와 폭정의 시작== | ==소제 폐위와 폭정의 시작== | ||
− | 정권을 장악하자마자 동탁은 사공(司空) 유굉을 면직시키고 대신 자신이 그 자리에 앉고 문무백관을 불러 모아 소제의 폐위와 진류왕의 즉위를 논의하는 동시에 책봉 문서를 반포하도록 하태후를 핍박한다. 이유(李儒)를 시켜 [[하태후]]를 시후하고 태부 원외에게 지시를 하여 소제를 대전에서 끌어내린 뒤 차고 있던 황제의 옥쇄 인끈을 풀어, 아홉 살의 진류왕에게 넘겨주고, 그를 부축해 대전으로 올라가게 한다. 이로써 황제의 폐위와 즉위에 따르는 모든 의식을 마무리하고 이 때부터 동탁은 폭정을 시작한다. 군대를 이끌고 순찰 중에 춘절을 즐기고 있는 사람들을 보자 비위가 상해 자신에게 예를 갖추지 않는다고 하여 그 사람들을 학살하고, 여자들은 병사들에게 첩으로 주고 재산 또한 몰수했다. 심지어 궁녀나 공주도 희롱하였으며, 함부로 폭행하거나 강간까지 일삼았다.<br> | + | 정권을 장악하자마자 동탁은 사공(司空) 유굉을 면직시키고 대신 자신이 그 자리에 앉고 문무백관을 불러 모아 소제의 폐위와 진류왕의 즉위를 논의하는 동시에 책봉 문서를 반포하도록 하태후를 핍박한다. [[이유]](李儒)를 시켜 [[하태후]]를 시후하고 태부 원외에게 지시를 하여 소제를 대전에서 끌어내린 뒤 차고 있던 황제의 옥쇄 인끈을 풀어, 아홉 살의 진류왕에게 넘겨주고, 그를 부축해 대전으로 올라가게 한다. 이로써 황제의 폐위와 즉위에 따르는 모든 의식을 마무리하고 이 때부터 동탁은 폭정을 시작한다. 군대를 이끌고 순찰 중에 춘절을 즐기고 있는 사람들을 보자 비위가 상해 자신에게 예를 갖추지 않는다고 하여 그 사람들을 학살하고, 여자들은 병사들에게 첩으로 주고 재산 또한 몰수했다. 심지어 궁녀나 공주도 희롱하였으며, 함부로 폭행하거나 강간까지 일삼았다. 이와 같은 만행들을 참다 못한 [[오부]]가 동탁을 살해하려는 계획을 꾸몄지만, 실패하여 처형되고 [[조조]] 또한 동탁을 암살을 모의하지만 실패하여 달아나고 만다. |
+ | <br><br> | ||
역사학자 여사면(呂思勉)의 동탁에 대한 평(評)<br>: "나라를 위해 좋은 황제를 뽑았으니 동탁은 용서받을 만하다. 그러나 그에게는 그럴 권리가 없었고, 그럴 만한 명성이나 인망도 없었다. | 역사학자 여사면(呂思勉)의 동탁에 대한 평(評)<br>: "나라를 위해 좋은 황제를 뽑았으니 동탁은 용서받을 만하다. 그러나 그에게는 그럴 권리가 없었고, 그럴 만한 명성이나 인망도 없었다. | ||
제위를 찬탈하거나 권력을 남용하기 위한 포석이었다면, 동탁 스스로 골칫거리를 만든 것이나 다름이 없다. 어리석고 우둔한 소제가 총명한 진류왕보다 부리기도 쉬웠을 것이다. | 제위를 찬탈하거나 권력을 남용하기 위한 포석이었다면, 동탁 스스로 골칫거리를 만든 것이나 다름이 없다. 어리석고 우둔한 소제가 총명한 진류왕보다 부리기도 쉬웠을 것이다. | ||
동탁은 먼저 중앙정부부터 갈무리해야했다. 폐위를 하고 싶었다면 나중에 해도 늦지 않았을 것이다." | 동탁은 먼저 중앙정부부터 갈무리해야했다. 폐위를 하고 싶었다면 나중에 해도 늦지 않았을 것이다." | ||
− | |||
==반동탁 연합군 그리고 장안으로의 천도== | ==반동탁 연합군 그리고 장안으로의 천도== | ||
동탁에 폭정과 사사로운 원한에 반발하여 헌제 초평(初平) 원년인 190년에 기주 자사 [[손복]]과 원소 그리고 [[손견]] 등이 반동탁 연합군을 조성한다. 마침 황건적의 잔당이었던 곽태(郭太) 등의 서하군(西河郡)에서 봉기하여 그 규모가 10여만 명이었는데 반동탁 연합군까지 일어나자 난감해진 동탁은 이유를 시켜서 소제를 독살하고(190년 1월 25일) 태위 황완·사도 양표의 반대를 내치면서 장안(지금의 시안) 천도를 강행했다. 도읍을 옮기면서 낙양의 궁궐과 관청은 물론 민가까지 모조리 불을 지르고 수백만의 인구를 강제로 이주시킨다. 손견이 동탁군을 크게 이기고 낙양에 입성했지만 낙양은 이미 황폐화 된 이후였다. 장안에 간 동탁은 자신을 태사(太師, 황제의 스승)에 임명하여 제후왕들의 위에 올랐고, 마치 황제처럼 행동했다. 그리고 측근들만 골라 요직에 임명했다. | 동탁에 폭정과 사사로운 원한에 반발하여 헌제 초평(初平) 원년인 190년에 기주 자사 [[손복]]과 원소 그리고 [[손견]] 등이 반동탁 연합군을 조성한다. 마침 황건적의 잔당이었던 곽태(郭太) 등의 서하군(西河郡)에서 봉기하여 그 규모가 10여만 명이었는데 반동탁 연합군까지 일어나자 난감해진 동탁은 이유를 시켜서 소제를 독살하고(190년 1월 25일) 태위 황완·사도 양표의 반대를 내치면서 장안(지금의 시안) 천도를 강행했다. 도읍을 옮기면서 낙양의 궁궐과 관청은 물론 민가까지 모조리 불을 지르고 수백만의 인구를 강제로 이주시킨다. 손견이 동탁군을 크게 이기고 낙양에 입성했지만 낙양은 이미 황폐화 된 이후였다. 장안에 간 동탁은 자신을 태사(太師, 황제의 스승)에 임명하여 제후왕들의 위에 올랐고, 마치 황제처럼 행동했다. 그리고 측근들만 골라 요직에 임명했다.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이를 보다못한 [[왕윤]]과 [[사손서]]는 동탁의 시해를 모의하게 되는데, 동탁이 가장 신임하는 부하인 여포를 이용하게 된다. 어느날 사소한 일로 여포와 마찰이 생긴 동탁은 여포에게 수극을 던지게 되는데, 여포는 이 수극에 하마터면 맞아 죽을 뻔한 일이 있었다. 왕윤과 사손서는 이 일을 빌미로 여포를 회유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동탁의 시녀와 밀통했다가 들킬까 봐 불안해하고 있는 여포를 회유했다는 이야기도 있다.(이 이야기는 삼국지연의에선 [[초선]]과 여포에 대한 이야기로 각색된다) 이렇게 여포를 회유하게 된 왕윤과 사손서는 회의를 핑계로 동탁을 궁궐로 불러들였고, 동탁은 미리 암살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호위병들에게 둘러 쌓인다. 옆에 있던 여포를 불러 자신을 살리라고 하지만, 생각지도 못한 배신을 당하게 되고, 자치통감에 따르면 "개 같은 놈(用狗), 네가 어떻게 이럴 수 있으냐?!"라는 말을 남기고 여포에게 최후를 맞게 된다. 동탁의 시체는 저잣거리에 내걸렸는데, 누군가가 뚱뚱한 동탁의 배꼽에 심지를 꼽고 불을 놓자 몇날 몇일 씩이나 계속 타올랐다고 한다. 이 때문에 살아서는 장안을 통치하던 동탁이 죽어서는 장안의 등불이 되어 며칠 동안 장안의 불을 밝혔다고 하는 농담이 있다. | 이를 보다못한 [[왕윤]]과 [[사손서]]는 동탁의 시해를 모의하게 되는데, 동탁이 가장 신임하는 부하인 여포를 이용하게 된다. 어느날 사소한 일로 여포와 마찰이 생긴 동탁은 여포에게 수극을 던지게 되는데, 여포는 이 수극에 하마터면 맞아 죽을 뻔한 일이 있었다. 왕윤과 사손서는 이 일을 빌미로 여포를 회유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동탁의 시녀와 밀통했다가 들킬까 봐 불안해하고 있는 여포를 회유했다는 이야기도 있다.(이 이야기는 삼국지연의에선 [[초선]]과 여포에 대한 이야기로 각색된다) 이렇게 여포를 회유하게 된 왕윤과 사손서는 회의를 핑계로 동탁을 궁궐로 불러들였고, 동탁은 미리 암살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호위병들에게 둘러 쌓인다. 옆에 있던 여포를 불러 자신을 살리라고 하지만, 생각지도 못한 배신을 당하게 되고, 자치통감에 따르면 "개 같은 놈(用狗), 네가 어떻게 이럴 수 있으냐?!"라는 말을 남기고 여포에게 최후를 맞게 된다. 동탁의 시체는 저잣거리에 내걸렸는데, 누군가가 뚱뚱한 동탁의 배꼽에 심지를 꼽고 불을 놓자 몇날 몇일 씩이나 계속 타올랐다고 한다. 이 때문에 살아서는 장안을 통치하던 동탁이 죽어서는 장안의 등불이 되어 며칠 동안 장안의 불을 밝혔다고 하는 농담이 있다. | ||
==동탁의 대한 평가== | ==동탁의 대한 평가== | ||
− | 중국사에서 손꼽히는 악인으로 유명한 동탁은 수없이 많은 악행을 저질렀다. 자기 마음대로 황제를 바꾸어 왕조의 정통성을 훼손하였으며, 사사로이 관직을 임명하여 관직의 권위를 붕괴시켰을 뿐만 아니라 무고한 무많은 사람들을 개인적인 감정으로 학살했다. 그리고 백성들에게도 큰 고통을 주었는데 화폐를 마구 찍어내어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였고 이 찍어낸 화폐마저도 제대로 찍어내지 못해 위조화폐가 판치는 세상을 만들었다. 또한 전쟁중에 수도를 옮김을 강행함으로서 중앙 권력의 붕괴를 초래하였다.<br>역사책에서 성격이 거칠고 사나울 뿐만 아니라 굉장히 뚱뚱한 모습으로 묘사되었기에 이 동탁의 모습이 어느 순간 부터 미디어에 전형적인 악인의 형상화로 등장하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서북 변방의 장수라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조정의 권위와 힘을 알고 이것을 이용하여 최고의 권력자에 오른 교활하지만 굉장히 정치에 밝은 사람이라고도 볼 수 있다. 비록 지위를 확립하고 타락하여 악인이 되었으나, 그 과정 자체는 동탁의 능력을 높이 평가할 만 하다. 허나 권력을 잡을줄만 알았지 이를 제대로 쓸 줄 몰랐던 동탁은 가장 믿었던 부하에게도 배신당하며 최후를 맞게 되는 어리석은 인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동탁의 삶은 오늘날 우리들이 타산지석으로 교훈을 삼기에 좋은 것 같다. 동탁과 비슷한 사례로 독재 권력을 잡게된 아시아 각국의 군사통치자들은 결국 몰락을 맞게되는 것처럼 말이다. | + | 중국사에서 손꼽히는 악인으로 유명한 동탁은 수없이 많은 악행을 저질렀다. 자기 마음대로 황제를 바꾸어 왕조의 정통성을 훼손하였으며, 사사로이 관직을 임명하여 관직의 권위를 붕괴시켰을 뿐만 아니라 무고한 무많은 사람들을 개인적인 감정으로 학살했다. 그리고 백성들에게도 큰 고통을 주었는데 화폐를 마구 찍어내어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였고 이 찍어낸 화폐마저도 제대로 찍어내지 못해 위조화폐가 판치는 세상을 만들었다. 또한 전쟁중에 수도를 옮김을 강행함으로서 중앙 권력의 붕괴를 초래하였다.<br><br>역사책에서 성격이 거칠고 사나울 뿐만 아니라 굉장히 뚱뚱한 모습으로 묘사되었기에 이 동탁의 모습이 어느 순간 부터 미디어에 전형적인 악인의 형상화로 등장하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서북 변방의 장수라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조정의 권위와 힘을 알고 이것을 이용하여 최고의 권력자에 오른 교활하지만 굉장히 정치에 밝은 사람이라고도 볼 수 있다. 비록 지위를 확립하고 타락하여 악인이 되었으나, 그 과정 자체는 동탁의 능력을 높이 평가할 만 하다. 허나 권력을 잡을줄만 알았지 이를 제대로 쓸 줄 몰랐던 동탁은 가장 믿었던 부하에게도 배신당하며 최후를 맞게 되는 어리석은 인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동탁의 삶은 오늘날 우리들이 타산지석으로 교훈을 삼기에 좋은 것 같다. 동탁과 비슷한 사례로 독재 권력을 잡게된 아시아 각국의 군사통치자들은 결국 몰락을 맞게되는 것처럼 말이다.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뤄지푸 저, 강주연 역, 『삼국지 인물과 계략을 말하다』 , 아리샘, 2007<br> | 뤄지푸 저, 강주연 역, 『삼국지 인물과 계략을 말하다』 , 아리샘, 2007<br> | ||
리둥팡 저, 문현선 역, 『삼국지 교양강의』, 돌베개, 2010<br> | 리둥팡 저, 문현선 역, 『삼국지 교양강의』, 돌베개, 2010<br> | ||
이나미 리츠코 저, 김석희 역, 『인물 삼국지』, 2005 | 이나미 리츠코 저, 김석희 역, 『인물 삼국지』, 2005 |
2018년 6월 27일 (수) 19:26 기준 최신판
동탁[董卓] | |
---|---|
출생 |
? 농서군(隴西郡) 임조현(臨洮縣, 지금의 甘肅省 岷縣) |
사망 |
192년 5월 22일 |
생존시기 | 후한 |
관련 활동 | 정치, 군벌 |
목차
개요
중국 후한 말기의 무장이자 정치가이다. 자(字)는 중영(仲穎)이며, 농서(隴西) 임조(臨洮, 지금의 간쑤성 민(岷)현) 출신이다. 영제 사후 십상시의 난 등의 정치적 혼란을 틈타 정권을 잡았으며 흉포하고 잔인하고 탐욕스러운 정치를 펼친 것으로 유명하다. 초평 3년(192년) 양자로 삼은 여포의 변심으로 동탁은 죽음을 맞이하는데, 이때부터 동탁을 토벌하기 위해 협력했던 군웅들 사이에 치열한 주도권 다툼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 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알고있는 삼국지의 시작이다.
초기 생애
태어난 곳은 농서군(隴西郡) 임조현(臨洮縣)이지만 얼마 후에 양주 부친을 따라 양주(凉州)로 갔기 때문에, 동탁은 어린시절 줄곧 강인(羌人, 강족을 일컫는 말)들과 어울려 지냈다. (당시에는 강인이 이미 양주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다) 천성이 싸우기를 좋아하고 힘도 좋았으며, 말을 잘 탔고 활도 양손으로 쏠 줄 알았다고 한다. 싸움을 잘해 군관이 될 재능은 있었지만, 장수의 재목은 아니었다. 병법을 배우기는 했어도 익혀서 자기 것으로 만들 줄 몰랐고 정치적으로 뛰어난 점이 있었으나, 권모술수에 능했을 뿐 사리에 밝은 것은 아니었다.
환제의 말년인 167년(영강 원년), 동탁은 자기 고장에서 병마연(兵馬掾)을 역임해 무기와 군마를 관장했으며 중앙에서는 우림랑(羽林郞)으로 뽑혀, 흉노 중랑장 장환(張奐) 밑에서 사마로 종군하여 한양(漢陽, 천수군)에서 강족과의 전투에서 작은 공을 세워 낭중(郎中)으로 진급한다. 그리고 서역의 무기교위(戊己校尉), 병주(幷州, 지금의 산시(山西)성 타이위안(太原)) 자사를 거치는 과정에서 관직을 잃기도 하지만, 탁월한 수완을 발휘하여 곧 직위를 회복해 하동태수(河東太守)로 승진한다.
세력을 키우고, 낙양에 입성하다
영제 중평(中平) 원년인 184년에 황건적의 난이 터지자 북방에서 먼저 강족 · 황(湟)족의 의종호와 금성(金城)에 살던 변장(邊章) · 한수(韓遂)라는 이들이 군대를 일으켰다. 동탁은 동중랑장(東中郞將), 중랑장(中郞將), 파로장군(破虜將軍), 전장군(前將軍)의 신분을 잇달아 거치면서 이들을 진압하였다. 이 때 동탁은 전투에서 번번이 지고도 관직이 높아졌는데, 이는 그가 '정치'를 잘 알았기 때문이다. 그는 예물을 보내는 일의 중요성을 잘 알았고,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누구에게 보내야 하는지도 잘 알았다.
황보숭과함께 반란을 진압하게 된 동탁은 이후로 조정으로부터 군대를 반납하고 황보숭의 지휘에 따르라는 명을 받지만, 그는 부하들이 자기를 너무 좋아해 보내주지 않는다는 핑계를 대며 명령에 따르지 않고 그대로 병사들을 이끈 채 하동(河東)에 머물며 때를 기다린다. 그해 영제가 죽자 대장군 하진과 원소가 환관을 제거하고자 모의하여 조정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은밀하게 동탁을 불러들였다. 그러나 이 계획을 미리 눈치챈 환관들에게 하진은 피살되었고, 이에 분노한 원소 등에게 환관들도 제거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동탁은 낙양에 진격하여 어린 황제 소제(少帝)와 진유왕(陳留王)의 신변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동탁의 군사는 3천 남짓한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어 원소 등 다른 경쟁자들에 비하면 크게 유리한 점이 없었지만, 동탁이 꾀를 내서 한밤 중 어둠을 틈타 몰래 낙양성을 빠져나갔다가 다음 날 한낮에 깃발을 펄럭이고 북을 치며 입성하곤 하면서 서쪽에서 대군이 계속 도착하는 것 처럼 보이게 했다. 이에 주인이 없던 하진, 하묘 형제의 군사들과 정원의 군사들은 동탁쪽으로 붙게 되고 결국 수도의 군사 대부분을 장악하는데 성공하였다.
소제 폐위와 폭정의 시작
정권을 장악하자마자 동탁은 사공(司空) 유굉을 면직시키고 대신 자신이 그 자리에 앉고 문무백관을 불러 모아 소제의 폐위와 진류왕의 즉위를 논의하는 동시에 책봉 문서를 반포하도록 하태후를 핍박한다. 이유(李儒)를 시켜 하태후를 시후하고 태부 원외에게 지시를 하여 소제를 대전에서 끌어내린 뒤 차고 있던 황제의 옥쇄 인끈을 풀어, 아홉 살의 진류왕에게 넘겨주고, 그를 부축해 대전으로 올라가게 한다. 이로써 황제의 폐위와 즉위에 따르는 모든 의식을 마무리하고 이 때부터 동탁은 폭정을 시작한다. 군대를 이끌고 순찰 중에 춘절을 즐기고 있는 사람들을 보자 비위가 상해 자신에게 예를 갖추지 않는다고 하여 그 사람들을 학살하고, 여자들은 병사들에게 첩으로 주고 재산 또한 몰수했다. 심지어 궁녀나 공주도 희롱하였으며, 함부로 폭행하거나 강간까지 일삼았다. 이와 같은 만행들을 참다 못한 오부가 동탁을 살해하려는 계획을 꾸몄지만, 실패하여 처형되고 조조 또한 동탁을 암살을 모의하지만 실패하여 달아나고 만다.
역사학자 여사면(呂思勉)의 동탁에 대한 평(評)
: "나라를 위해 좋은 황제를 뽑았으니 동탁은 용서받을 만하다. 그러나 그에게는 그럴 권리가 없었고, 그럴 만한 명성이나 인망도 없었다. 제위를 찬탈하거나 권력을 남용하기 위한 포석이었다면, 동탁 스스로 골칫거리를 만든 것이나 다름이 없다. 어리석고 우둔한 소제가 총명한 진류왕보다 부리기도 쉬웠을 것이다. 동탁은 먼저 중앙정부부터 갈무리해야했다. 폐위를 하고 싶었다면 나중에 해도 늦지 않았을 것이다."
반동탁 연합군 그리고 장안으로의 천도
동탁에 폭정과 사사로운 원한에 반발하여 헌제 초평(初平) 원년인 190년에 기주 자사 손복과 원소 그리고 손견 등이 반동탁 연합군을 조성한다. 마침 황건적의 잔당이었던 곽태(郭太) 등의 서하군(西河郡)에서 봉기하여 그 규모가 10여만 명이었는데 반동탁 연합군까지 일어나자 난감해진 동탁은 이유를 시켜서 소제를 독살하고(190년 1월 25일) 태위 황완·사도 양표의 반대를 내치면서 장안(지금의 시안) 천도를 강행했다. 도읍을 옮기면서 낙양의 궁궐과 관청은 물론 민가까지 모조리 불을 지르고 수백만의 인구를 강제로 이주시킨다. 손견이 동탁군을 크게 이기고 낙양에 입성했지만 낙양은 이미 황폐화 된 이후였다. 장안에 간 동탁은 자신을 태사(太師, 황제의 스승)에 임명하여 제후왕들의 위에 올랐고, 마치 황제처럼 행동했다. 그리고 측근들만 골라 요직에 임명했다.
여포의 배신과 동탁의 최후
이를 보다못한 왕윤과 사손서는 동탁의 시해를 모의하게 되는데, 동탁이 가장 신임하는 부하인 여포를 이용하게 된다. 어느날 사소한 일로 여포와 마찰이 생긴 동탁은 여포에게 수극을 던지게 되는데, 여포는 이 수극에 하마터면 맞아 죽을 뻔한 일이 있었다. 왕윤과 사손서는 이 일을 빌미로 여포를 회유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동탁의 시녀와 밀통했다가 들킬까 봐 불안해하고 있는 여포를 회유했다는 이야기도 있다.(이 이야기는 삼국지연의에선 초선과 여포에 대한 이야기로 각색된다) 이렇게 여포를 회유하게 된 왕윤과 사손서는 회의를 핑계로 동탁을 궁궐로 불러들였고, 동탁은 미리 암살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호위병들에게 둘러 쌓인다. 옆에 있던 여포를 불러 자신을 살리라고 하지만, 생각지도 못한 배신을 당하게 되고, 자치통감에 따르면 "개 같은 놈(用狗), 네가 어떻게 이럴 수 있으냐?!"라는 말을 남기고 여포에게 최후를 맞게 된다. 동탁의 시체는 저잣거리에 내걸렸는데, 누군가가 뚱뚱한 동탁의 배꼽에 심지를 꼽고 불을 놓자 몇날 몇일 씩이나 계속 타올랐다고 한다. 이 때문에 살아서는 장안을 통치하던 동탁이 죽어서는 장안의 등불이 되어 며칠 동안 장안의 불을 밝혔다고 하는 농담이 있다.
동탁의 대한 평가
중국사에서 손꼽히는 악인으로 유명한 동탁은 수없이 많은 악행을 저질렀다. 자기 마음대로 황제를 바꾸어 왕조의 정통성을 훼손하였으며, 사사로이 관직을 임명하여 관직의 권위를 붕괴시켰을 뿐만 아니라 무고한 무많은 사람들을 개인적인 감정으로 학살했다. 그리고 백성들에게도 큰 고통을 주었는데 화폐를 마구 찍어내어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였고 이 찍어낸 화폐마저도 제대로 찍어내지 못해 위조화폐가 판치는 세상을 만들었다. 또한 전쟁중에 수도를 옮김을 강행함으로서 중앙 권력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역사책에서 성격이 거칠고 사나울 뿐만 아니라 굉장히 뚱뚱한 모습으로 묘사되었기에 이 동탁의 모습이 어느 순간 부터 미디어에 전형적인 악인의 형상화로 등장하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서북 변방의 장수라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조정의 권위와 힘을 알고 이것을 이용하여 최고의 권력자에 오른 교활하지만 굉장히 정치에 밝은 사람이라고도 볼 수 있다. 비록 지위를 확립하고 타락하여 악인이 되었으나, 그 과정 자체는 동탁의 능력을 높이 평가할 만 하다. 허나 권력을 잡을줄만 알았지 이를 제대로 쓸 줄 몰랐던 동탁은 가장 믿었던 부하에게도 배신당하며 최후를 맞게 되는 어리석은 인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동탁의 삶은 오늘날 우리들이 타산지석으로 교훈을 삼기에 좋은 것 같다. 동탁과 비슷한 사례로 독재 권력을 잡게된 아시아 각국의 군사통치자들은 결국 몰락을 맞게되는 것처럼 말이다.
참고문헌
뤄지푸 저, 강주연 역, 『삼국지 인물과 계략을 말하다』 , 아리샘, 2007
리둥팡 저, 문현선 역, 『삼국지 교양강의』, 돌베개, 2010
이나미 리츠코 저, 김석희 역, 『인물 삼국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