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稟"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 | [[파일:여쭐품.PNG| | + | [[파일:여쭐품.PNG|500픽셀|오른쪽]] |
− | 곡식 창고를 의미하는 | + | 곡식 창고를 의미하는 [[㐭]]과 벼를 의미하는 [[禾]]가 합쳐져서 만들어 진 단어. 이체자로 禀가 쓰이기도 한다. <br> |
+ | 하지만 [[갑골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보일 시[[示]]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설문해자]]에는 "賜穀也(곡식을 하사하는 것이다)"로 해석되어 있다. | ||
+ | |||
==文化== | ==文化== | ||
− | 중국은 | + | 중국은 [[상]]나라 시기 대규모의 창고가 생겨났다. <[[사기]]>에는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의 주왕을 토벌한 이후, 거대한 거교(상나라 주왕의 창고)를 열어 이재민들을 구제하여 백성들의 민심을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이처럼 禀의 원래 의미는 양식을 방출하는 의미였으나 그 의미가 '주다'의 의미까지 확대되었다.<ref>廖文豪,『汉字树5 : 汉字中的建筑与器皿』,中国商业出版社</ref> 연관된 단어는 보고하다, 천성(하늘이 하사한 재능)등이 있다. |
− | == | + | ==주석== |
− |
2018년 12월 25일 (화) 22:48 기준 최신판
語源
곡식 창고를 의미하는 㐭과 벼를 의미하는 禾가 합쳐져서 만들어 진 단어. 이체자로 禀가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갑골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보일 시示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설문해자에는 "賜穀也(곡식을 하사하는 것이다)"로 해석되어 있다.
文化
중국은 상나라 시기 대규모의 창고가 생겨났다. <사기>에는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의 주왕을 토벌한 이후, 거대한 거교(상나라 주왕의 창고)를 열어 이재민들을 구제하여 백성들의 민심을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이처럼 禀의 원래 의미는 양식을 방출하는 의미였으나 그 의미가 '주다'의 의미까지 확대되었다.[1] 연관된 단어는 보고하다, 천성(하늘이 하사한 재능)등이 있다.
주석
- ↑ 廖文豪,『汉字树5 : 汉字中的建筑与器皿』,中国商业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