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文化) |
(→文化)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갑골문의 典은 회의자인데, 典은 죽간에 등 없는 의자나 작은 탁자를 더하여 ‘법령’, ‘법전’ 등의 뜻을 가지고, '경전', '사전' 등 같이 중요한 문헌과 서적을 가리킨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p.305.</ref> 典의 다른 필사법에서는 책을 들고 있는 두 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책을 보고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두 손으로 간책을 받들고 있는 모습은 간책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ref> 스딩궈, 『한자와 중국문화』, 역락, p.284.</ref> | 갑골문의 典은 회의자인데, 典은 죽간에 등 없는 의자나 작은 탁자를 더하여 ‘법령’, ‘법전’ 등의 뜻을 가지고, '경전', '사전' 등 같이 중요한 문헌과 서적을 가리킨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p.305.</ref> 典의 다른 필사법에서는 책을 들고 있는 두 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책을 보고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두 손으로 간책을 받들고 있는 모습은 간책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ref> 스딩궈, 『한자와 중국문화』, 역락, p.284.</ref> | ||
− | 《상서》에 은나라의 선조들이 典과 冊을 갖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전과 책은 죽간을 엮어 만든 것이다. 갑골문 典은 길이가 일정치 않은 죽간을 끈으로 엮어 만든 책의 형상이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p.21.</ref> 한편, 책은 종이가 나오기 전부터 보편적 필사 재료로 사용되었던 대나무를 끈으로 엮어 놓은 형태로 남아 있다. 보통은 새끼줄을 사용해 책을 엮었으며 중요한 책은 가죽 끈으로 묶기도 했다. 그래서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공자가 | + | 《상서》에 은나라의 선조들이 典과 冊을 갖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전과 책은 죽간을 엮어 만든 것이다. 갑골문 典은 길이가 일정치 않은 죽간을 끈으로 엮어 만든 책의 형상이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p.21.</ref> 한편, 책은 종이가 나오기 전부터 보편적 필사 재료로 사용되었던 대나무를 끈으로 엮어 놓은 형태로 남아 있다. 보통은 새끼줄을 사용해 책을 엮었으며 중요한 책은 가죽 끈으로 묶기도 했다. 그래서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공자가 《역경》을 열심히 보았다는 위편삼절(韋編三絶)이라는 고사성어는 바로 여기서 연유한 것이다.<ref>하영삼, 『연상한자』, 예담차이나, 2004, p.256.</ref> |
중국은 고대의 전적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이다. 대량의 죽간책 혹은 목간책과 백서, 필사본, 인쇄본 등의 서적들이 중국 전통문화의 풍부한 성과를 기록 보존하고 있다. | 중국은 고대의 전적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이다. 대량의 죽간책 혹은 목간책과 백서, 필사본, 인쇄본 등의 서적들이 중국 전통문화의 풍부한 성과를 기록 보존하고 있다.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0년 12월 21일 (월) 13:33 판
語源
《說文》에 따르면 '典'은 중요한 경서(经籍)와 문헌이다.[1] 갑골문에서 典은 두 손에 책(冊)이 들려 있는 형상으로 귀중함을 나타낸다. 금문과 후기 전서에서 탁자 위에 책이 놓여 있는 것으로 글자의 구조가 바뀌었다. 하지만 典이 법과 법규를 기록한 책이라는 본래의 의미는 변하지 않았다. 이 외에도 이 책들 속의 법 조항과 법, 사회적 통칙을 의미하기도 한다. 동사로서는 ‘책임, 담당하다’, ‘열중하다’, ‘저당잡히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
文化
갑골문의 典은 회의자인데, 典은 죽간에 등 없는 의자나 작은 탁자를 더하여 ‘법령’, ‘법전’ 등의 뜻을 가지고, '경전', '사전' 등 같이 중요한 문헌과 서적을 가리킨다.[2] 典의 다른 필사법에서는 책을 들고 있는 두 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책을 보고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두 손으로 간책을 받들고 있는 모습은 간책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3]
《상서》에 은나라의 선조들이 典과 冊을 갖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전과 책은 죽간을 엮어 만든 것이다. 갑골문 典은 길이가 일정치 않은 죽간을 끈으로 엮어 만든 책의 형상이다.[4] 한편, 책은 종이가 나오기 전부터 보편적 필사 재료로 사용되었던 대나무를 끈으로 엮어 놓은 형태로 남아 있다. 보통은 새끼줄을 사용해 책을 엮었으며 중요한 책은 가죽 끈으로 묶기도 했다. 그래서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로 공자가 《역경》을 열심히 보았다는 위편삼절(韋編三絶)이라는 고사성어는 바로 여기서 연유한 것이다.[5]
중국은 고대의 전적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이다. 대량의 죽간책 혹은 목간책과 백서, 필사본, 인쇄본 등의 서적들이 중국 전통문화의 풍부한 성과를 기록 보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