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糞’자의 처음 뜻은 청소였다. ‘糞’자는 두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서 세 점 즉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과 한...)
 
(첨고 문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糞’자의 처음 뜻은 청소였다. ‘糞’자는 두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서 세 점 즉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과 한 손에 빗자루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 위의 더러운 물건을 치우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 있다. [[소전체]]에서는 [[갑골문]] 윗부분의 세 점이 소전체에서는 ‘[[米]]’자와 비슷한 모양으로 변했다. 이후 대소변을 의미하게 되었다. <br>
+
==語源==
《[[설문해자]]》에는, “‘포기하다’ ‘제거하다’는 뜻이다. 두 손으로 키에 담긴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관부(官溥)는「‘米’자 같으나 ‘米’자가 아닌 저 글자는 ‘[[矢]]([[屎]])’자이다.」라고 설명하였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br>
+
[[파일:糞_표제어.png|500픽셀|오른쪽]]
갑골문에서 ‘糞’자는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貞:狩勿至于糞?九月.” “□子王卜……出于糞?”<br>
+
‘糞’자의 처음 뜻은 청소였다. ‘糞’자는 두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서 세 점 즉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 이다. 또한 어떤 갑골문은 한 손에 빗자루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 위의 더러운 물건을 치우는 모양을 본뜨고 있다. [[소전체]]에서는 [[갑골문]] 윗부분의 세 점이 소전체에서는 ‘[[米]]’자와 비슷한 모양으로 변했다. 이후 대소변을 의미하게 되었다. <br>
 +
《[[설문해자]]》에는, “‘포기하다’ ‘제거하다’는 뜻이다. 두 손으로 키에 담긴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관부(官溥)는「‘米’자 같으나 ‘米’자가 아닌 저 글자는 ‘[[矢]]([[屎]])’자이다.」라고 설명하였다.”라고 풀이되어 있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71.</ref> <br>
 +
갑골문에서 ‘糞’자는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貞:狩勿至于糞?九月.” “□子王卜……出于糞?”<ref>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195</ref><br>
 +
==첨고 문헌==
 +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2006.
 +
 
 +
==각주==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2일 (화) 16:54 기준 최신판

語源

糞 표제어.png

‘糞’자의 처음 뜻은 청소였다. ‘糞’자는 두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서 세 점 즉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 이다. 또한 어떤 갑골문은 한 손에 빗자루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쓰레받기를 들고 위의 더러운 물건을 치우는 모양을 본뜨고 있다. 소전체에서는 갑골문 윗부분의 세 점이 소전체에서는 ‘’자와 비슷한 모양으로 변했다. 이후 대소변을 의미하게 되었다.
설문해자》에는, “‘포기하다’ ‘제거하다’는 뜻이다. 두 손으로 키에 담긴 더러운 물건을 내다버리는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관부(官溥)는「‘米’자 같으나 ‘米’자가 아닌 저 글자는 ‘()’자이다.」라고 설명하였다.”라고 풀이되어 있다.[1]
갑골문에서 ‘糞’자는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貞:狩勿至于糞?九月.” “□子王卜……出于糞?”[2]

첨고 문헌

  1.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2.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2006.

각주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71.
  2.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