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文化==
 
==文化==
처음에 ‘배후(등뒤)’라는 의미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북쪽’이라는 의미도 갖게 되었는데, 이는 중국인들의 거주지가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보통 남향으로 집을 짓던 송나라 사람들이 북쪽이 등쪽의 방향이라는 생각에서 북(北)을 착안했다는 것이다.<ref>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ref> 또한, 암흑과 추위를 뜻하는 북쪽은 뒤쪽, 즉 등 뒤를 뜻한다.<ref>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6</ref>
+
처음에 ‘배후(등뒤)’라는 의미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북쪽’이라는 의미도 갖게 되었는데, 이는 중원(中原) 이북 중국인들의 거주지가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보통 남향으로 집을 짓던 송나라 사람들이 북쪽이 등쪽의 방향이라는 생각에서 북(北)을 착안했다는 것이다.<ref>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ref> 또한, 암흑과 추위를 뜻하는 북쪽은 뒤쪽, 즉 등 뒤를 뜻한다.<ref>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6</ref>
 
특히, 고대 상나라 시절 천체를 통해 방향을 가리키기도 했다.  
 
특히, 고대 상나라 시절 천체를 통해 방향을 가리키기도 했다.  
 
  "새벽이면 동쪽에 계명성 뜨고, 저녁이면 서녘에 장경성 돋네... 남쪽 하늘의 저 기성은 키라고 하지만 나락을 까불 수가 없고, 북녘의 북두성은 국자같아서 술을 떠 마실 수는 없네" 《시경》<대동>편 발췌<ref>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ref>   
 
  "새벽이면 동쪽에 계명성 뜨고, 저녁이면 서녘에 장경성 돋네... 남쪽 하늘의 저 기성은 키라고 하지만 나락을 까불 수가 없고, 북녘의 북두성은 국자같아서 술을 떠 마실 수는 없네" 《시경》<대동>편 발췌<ref>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ref>   
 
항해에도 흔히 별로서 방향을 결정했다.  
 
항해에도 흔히 별로서 방향을 결정했다.  
 
  "무릇 배를 타고 길을 잃어 사방을 구분 못하면 북두칠성과 북극성을 보면 알 수 있다" 《희남자》<제속>편 발췌<ref>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ref>  
 
  "무릇 배를 타고 길을 잃어 사방을 구분 못하면 북두칠성과 북극성을 보면 알 수 있다" 《희남자》<제속>편 발췌<ref>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ref>  
 +
 
음양오행설에서는 南은 火,  赤, 明, 陽을, 北은 水, 黑, 暗, 陰을 각각 상징한다. 고대인들은 남방이 생산지라면 북방은 죽음의 방위로서 만물을 수렴하여 깊숙이 갈무리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그래서 고대에 사람이 죽으면 거주지역의 북쪽에 머리를 두게 하는 것은 하은주 삼대에서 통용한 예이다. 그윽하고 어두운 곳(저승의 세계)으로 가기 때문이다(葬於北方北首, 三代之達禮也. 之幽之故也.)“라는 기록이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한족들은 전통적으로 방위에도 존비(尊卑)의 관념이 강하였다. 동방은 해가 솟는 곳이므로 높이고, 서방은 해가 지는 곳이므로 비하하였다. 또 남북은 산으로 경계를 삼았는데, 산의 남쪽은 햇볕이 좋아서 양(陽)이므로 높이고, 북쪽은 음지가 많으므로 음(陰)으로 간주하여 폄하하였던 것이다.
 
음양오행설에서는 南은 火,  赤, 明, 陽을, 北은 水, 黑, 暗, 陰을 각각 상징한다. 고대인들은 남방이 생산지라면 북방은 죽음의 방위로서 만물을 수렴하여 깊숙이 갈무리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그래서 고대에 사람이 죽으면 거주지역의 북쪽에 머리를 두게 하는 것은 하은주 삼대에서 통용한 예이다. 그윽하고 어두운 곳(저승의 세계)으로 가기 때문이다(葬於北方北首, 三代之達禮也. 之幽之故也.)“라는 기록이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한족들은 전통적으로 방위에도 존비(尊卑)의 관념이 강하였다. 동방은 해가 솟는 곳이므로 높이고, 서방은 해가 지는 곳이므로 비하하였다. 또 남북은 산으로 경계를 삼았는데, 산의 남쪽은 햇볕이 좋아서 양(陽)이므로 높이고, 북쪽은 음지가 많으므로 음(陰)으로 간주하여 폄하하였던 것이다.
  
15번째 줄: 16번째 줄:
 
사방에는 각 방향을 상징하는 방향신이 있는데, 북쪽에 상응하는 방향신은 거북이다. 거북은 겨울을 상징하며, 태초의 혼돈 상태를 나타내는 검은색이 바로 거북의 상징색이다. 거북 구/귀(龜)는 거북의 측면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거북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껍데기를 가지고 있고 완만한 호흡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체내에 보존해 둘 수 있는 속성 때문에 줄곧 <장수>나 <불사>의 상징이 되어 왔다.<ref>문화로 읽는 한자, 하영삼, 동방미디어, P.284</ref>
 
사방에는 각 방향을 상징하는 방향신이 있는데, 북쪽에 상응하는 방향신은 거북이다. 거북은 겨울을 상징하며, 태초의 혼돈 상태를 나타내는 검은색이 바로 거북의 상징색이다. 거북 구/귀(龜)는 거북의 측면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거북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껍데기를 가지고 있고 완만한 호흡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체내에 보존해 둘 수 있는 속성 때문에 줄곧 <장수>나 <불사>의 상징이 되어 왔다.<ref>문화로 읽는 한자, 하영삼, 동방미디어, P.284</ref>
  
패할 패의 쓰임은 다음 고전에서 찾을 수 있다.
+
패할 패의 쓰임은 다음 고전에서 찾을 수 있다.
 
  "적들이 패배하여 도망가는 것을 흉내내어도 맹목적으로 뒤쫓지 말라(佯北勿从)" 손자병법:군사
 
  "적들이 패배하여 도망가는 것을 흉내내어도 맹목적으로 뒤쫓지 말라(佯北勿从)" 손자병법:군사
  "패배해 도망가는 적군을 추격 사살하리.(追杀败逃的敌军)" 과진론
+
또한, 과진론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구를 찾을 수 있다.
 +
"패배해 도망가는 적군을 추격 사살하리.(追杀败逃的敌军)" 과진론
 +
 
 +
이후 北이 방향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등 뒤, 등지다라는 뜻은 北에 [[肉]](고기 육) 변을 더한 [[背]]가 되었다.<ref>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3일 (수) 19:17 기준 최신판

북녘 북.png

語源

고문자의 北자는 두 사람이 서로 등지고 선 모양이다. 그 본래 뜻은 ‘서로 등지다’, ‘위배하다’는 의미이다. 군대가 패배하여 사병이 서로 등지고 사방으로 흩어져서 도망가는 것이다. 그래서 北자는 또 ‘패하다’와 ‘패하여 도망가다’는 뜻이 있다. 이밖에 北은 또 방위명사로 많이 차용되어, ‘북방’을 가리키고, 남방과 서로 반대이다.

文化

처음에 ‘배후(등뒤)’라는 의미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북쪽’이라는 의미도 갖게 되었는데, 이는 중원(中原) 이북 중국인들의 거주지가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보통 남향으로 집을 짓던 송나라 사람들이 북쪽이 등쪽의 방향이라는 생각에서 북(北)을 착안했다는 것이다.[1] 또한, 암흑과 추위를 뜻하는 북쪽은 뒤쪽, 즉 등 뒤를 뜻한다.[2] 특히, 고대 상나라 시절 천체를 통해 방향을 가리키기도 했다.

"새벽이면 동쪽에 계명성 뜨고, 저녁이면 서녘에 장경성 돋네... 남쪽 하늘의 저 기성은 키라고 하지만 나락을 까불 수가 없고, 북녘의 북두성은 국자같아서 술을 떠 마실 수는 없네" 《시경》<대동>편 발췌[3]  

항해에도 흔히 별로서 방향을 결정했다.

"무릇 배를 타고 길을 잃어 사방을 구분 못하면 북두칠성과 북극성을 보면 알 수 있다" 《희남자》<제속>편 발췌[4] 

음양오행설에서는 南은 火, 赤, 明, 陽을, 北은 水, 黑, 暗, 陰을 각각 상징한다. 고대인들은 남방이 생산지라면 북방은 죽음의 방위로서 만물을 수렴하여 깊숙이 갈무리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그래서 고대에 사람이 죽으면 거주지역의 북쪽에 머리를 두게 하는 것은 하은주 삼대에서 통용한 예이다. 그윽하고 어두운 곳(저승의 세계)으로 가기 때문이다(葬於北方北首, 三代之達禮也. 之幽之故也.)“라는 기록이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한족들은 전통적으로 방위에도 존비(尊卑)의 관념이 강하였다. 동방은 해가 솟는 곳이므로 높이고, 서방은 해가 지는 곳이므로 비하하였다. 또 남북은 산으로 경계를 삼았는데, 산의 남쪽은 햇볕이 좋아서 양(陽)이므로 높이고, 북쪽은 음지가 많으므로 음(陰)으로 간주하여 폄하하였던 것이다.

관련된 단어로 ‘北面(신하 혹은 아랫사람이 바라보는 방향. 사람을 향하여 신하가 된다는 것)’, ‘北堂 ((중국 고대 건축에서)몸채의 북쪽에 있는 부녀자들이 거처한 별당→’어머니’)’가 있다.[5]

사방에는 각 방향을 상징하는 방향신이 있는데, 북쪽에 상응하는 방향신은 거북이다. 거북은 겨울을 상징하며, 태초의 혼돈 상태를 나타내는 검은색이 바로 거북의 상징색이다. 거북 구/귀(龜)는 거북의 측면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거북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껍데기를 가지고 있고 완만한 호흡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체내에 보존해 둘 수 있는 속성 때문에 줄곧 <장수>나 <불사>의 상징이 되어 왔다.[6]

패할 패의 쓰임은 다음 고전에서 찾을 수 있다.

"적들이 패배하여 도망가는 것을 흉내내어도 맹목적으로 뒤쫓지 말라(佯北勿从)" 손자병법:군사

또한, 과진론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구를 찾을 수 있다.

"패배해 도망가는 적군을 추격 사살하리.(追杀败逃的敌军)" 과진론

이후 北이 방향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등 뒤, 등지다라는 뜻은 北에 (고기 육) 변을 더한 가 되었다.[7]

  1.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
  2.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6
  3.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
  4. 중국 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허진웅, p.520
  5.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이돈주, 태학사, p.300~301
  6. 문화로 읽는 한자, 하영삼, 동방미디어, P.284
  7. 손예철, 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