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입 구.png|500픽셀|오른쪽]]
 
[[파일:입 구.png|500픽셀|오른쪽]]
口의 형상은 사람 혹은 동물의 입의 형상이고 그 본래 뜻은 입이다. 입은 사람 혹은 동물이 음식을 먹고, 발성하는 기관이다. 그래서 口을 가지고 편방 되는 글자는 대부분 먹고 마시고 말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口자는 口舌, 口角 등과 같이 언어의 대명사로 쓰일 수 있다.
+
口의 형상은 사람 혹은 동물의 입의 형상이고 그 본래 뜻은 입이다. 입은 사람 혹은 동물이 음식을 먹고, 발성하는 기관이다. 그래서 口을 가지고 편방 되는 글자는 대부분 먹고 마시고 말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口자는 口舌, 口角 등과 같이 언어의 대명사로 쓰일 수 있다. 또 문, 구멍, 창문 등과 같이 口형의 물체를 비유하기도 하며, 고대부터 지금까지의 문자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거친 자형 중 하나이다.
  
 
口의 형상은 가운데가 뚫려있다. 그래서 대체로 형상이 (가운데가 뚫려있는) 口의 물상을 닮은 것은 모두 口자에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어귀(山口), 바다의 입구(海口), 동굴의 입구(洞口), 관문의 입구―중요한 길목(关口), 병의 입구(甁口), 사발그릇의 입구(碗口), 종기의 터진 자리(疮口), 제방이 홍수로 터진 곳(决口) 등이 그것이다.
 
口의 형상은 가운데가 뚫려있다. 그래서 대체로 형상이 (가운데가 뚫려있는) 口의 물상을 닮은 것은 모두 口자에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어귀(山口), 바다의 입구(海口), 동굴의 입구(洞口), 관문의 입구―중요한 길목(关口), 병의 입구(甁口), 사발그릇의 입구(碗口), 종기의 터진 자리(疮口), 제방이 홍수로 터진 곳(决口) 등이 그것이다.
 +
일본에서는 '口'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방법이 있는데 인원수를 센 人口(인구), 입으로 논하는 것인 口論(구론), 입에서 입으로 전달하는 것을 口伝(구전), 입으로 설득하는 것을 口説(구설), 취직하는 입구를 就職口(취직구)라고 한다. <ref>漢字「口」の部首・画数・読み方・筆順・意味など (jitenon.jp)</ref>
  
 
==文化==
 
==文化==
고대사회의 경우, 모든 사람의 배고픔을 해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아이들은 종종 한 자리에 서서, 굶주림에 지친 입을 벌린 채 먹을 것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음식을 입 안 가득 넣은 그들의 모습을 자연스레 떠올릴 수 있도록 말이다. 언어에는 이런 기억이 남겨져 있다. 중국인들에게 식구가 몇이냐고 물으면, 그들은 ‘입이 넷이지요(四口)’라는 식으로 대답한다. 여기서 아이들이 굶주린 배를 안은 채 집으로 누군가 돌아와 밥을 지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ref>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34</ref>
+
고대사회의 경우, 모든 사람의 배고픔을 해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아이들은 종종 한 자리에 서서, 굶주림에 지친 입을 벌린 채 먹을 것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음식을 입 안 가득 넣은 그들의 모습을 자연스레 떠올릴 수 있도록 말이다. 언어에는 이런 기억이 남겨져 있다. 중국인들에게 식구가 몇이냐고 물으면, 그들은 ‘입이 넷이지요(四口)’라는 식으로 대답한다. 여기서 아이들이 굶주린 배를 안은 채 집으로 누군가 돌아와 밥을 지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람의 총수를 셀 때 ‘人口’라는 표현을 쓴다. 현재 중국 인구는 10억이 넘는다. ‘人口’는 10억이 넘는 인구가 입을 벌리고 밥 먹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ref>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34</ref>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람의 총수를 셀 때 ‘人口’라는 표현을 쓴다. 현재 중국 인구는 10억이 넘는다. ‘人口’는 10억이 넘는 인구가 입을 벌리고 밥 먹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ref>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34</ref>
  
[[시라카와 시즈카]]는 《漢字 백가지 이야기》에서 口(구)에는 세 계열의 글자가 있다고 했다.
+
[[시라카와 시즈카]]는 《漢字 백가지 이야기》에서 口(구)에는 세 계열의 글자가 있다고 했다.<br>
 
+
이는 바로 口耳(구이)의 口(구), 축문 그릇, 또 일정한 구역을 표시하는 口(위)이다. <br>
이는 바로 口耳(구이)의 口(구), 축문 그릇, 또 일정한 구역을 표시하는 口(위)이다. 口耳의 口로 사용되는 글자는 갑골문과 금문에는 그 예가 없다. 다만 舌(설)처럼 혀의 형태까지도 포함해서 입 전체를 형상하는 글자가 있었을 뿐이다. 갑골 복사에는 혀를 앓고 있어서 점복을 한 예가 있다. 그때의 글자는 口舌(구설)의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그 경우 혀끝이 뱀처럼 갈라져 있었다. 口는 축문의 그릇이며 고대의 제사의례는 신에 대한 고축을 주로 행했다. 따라서 고대 문자에 그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말한다.<ref>시라카와 시즈카, 『漢子 백가지 이야기』, 심경호 역, 황소자리, 2005, pp.104</ref>
+
口耳의 口로 사용되는 글자는 갑골문과 금문에는 그 예가 없다. 다만 舌(설)처럼 혀의 형태까지도 포함해서 입 전체를 형상하는 글자가 있었을 뿐이다. <br>
 +
갑골 복사에는 혀를 앓고 있어서 점복을 한 예가 있다. 그때의 글자는 口舌(구설)의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그 경우 혀끝이 뱀처럼 갈라져 있었다. <br>
 +
口는 축문의 그릇이며 고대의 제사의례는 신에 대한 고축을 주로 행했다. 따라서 고대 문자에 그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말한다.<ref>시라카와 시즈카, 『漢子 백가지 이야기』, 심경호 역, 황소자리, 2005, p.104</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3년 12월 16일 (토) 15:11 기준 최신판

語源

입 구.png

口의 형상은 사람 혹은 동물의 입의 형상이고 그 본래 뜻은 입이다. 입은 사람 혹은 동물이 음식을 먹고, 발성하는 기관이다. 그래서 口을 가지고 편방 되는 글자는 대부분 먹고 마시고 말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口자는 口舌, 口角 등과 같이 언어의 대명사로 쓰일 수 있다. 또 문, 구멍, 창문 등과 같이 口형의 물체를 비유하기도 하며, 고대부터 지금까지의 문자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거친 자형 중 하나이다.

口의 형상은 가운데가 뚫려있다. 그래서 대체로 형상이 (가운데가 뚫려있는) 口의 물상을 닮은 것은 모두 口자에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어귀(山口), 바다의 입구(海口), 동굴의 입구(洞口), 관문의 입구―중요한 길목(关口), 병의 입구(甁口), 사발그릇의 입구(碗口), 종기의 터진 자리(疮口), 제방이 홍수로 터진 곳(决口) 등이 그것이다. 일본에서는 '口'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방법이 있는데 인원수를 센 人口(인구), 입으로 논하는 것인 口論(구론), 입에서 입으로 전달하는 것을 口伝(구전), 입으로 설득하는 것을 口説(구설), 취직하는 입구를 就職口(취직구)라고 한다. [1]

文化

고대사회의 경우, 모든 사람의 배고픔을 해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아이들은 종종 한 자리에 서서, 굶주림에 지친 입을 벌린 채 먹을 것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음식을 입 안 가득 넣은 그들의 모습을 자연스레 떠올릴 수 있도록 말이다. 언어에는 이런 기억이 남겨져 있다. 중국인들에게 식구가 몇이냐고 물으면, 그들은 ‘입이 넷이지요(四口)’라는 식으로 대답한다. 여기서 아이들이 굶주린 배를 안은 채 집으로 누군가 돌아와 밥을 지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람의 총수를 셀 때 ‘人口’라는 표현을 쓴다. 현재 중국 인구는 10억이 넘는다. ‘人口’는 10억이 넘는 인구가 입을 벌리고 밥 먹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2]

시라카와 시즈카는 《漢字 백가지 이야기》에서 口(구)에는 세 계열의 글자가 있다고 했다.
이는 바로 口耳(구이)의 口(구), 축문 그릇, 또 일정한 구역을 표시하는 口(위)이다.
口耳의 口로 사용되는 글자는 갑골문과 금문에는 그 예가 없다. 다만 舌(설)처럼 혀의 형태까지도 포함해서 입 전체를 형상하는 글자가 있었을 뿐이다.
갑골 복사에는 혀를 앓고 있어서 점복을 한 예가 있다. 그때의 글자는 口舌(구설)의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그 경우 혀끝이 뱀처럼 갈라져 있었다.

口는 축문의 그릇이며 고대의 제사의례는 신에 대한 고축을 주로 행했다. 따라서 고대 문자에 그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말한다.[3]

  1. 漢字「口」の部首・画数・読み方・筆順・意味など (jitenon.jp)
  2.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34
  3. 시라카와 시즈카, 『漢子 백가지 이야기』, 심경호 역, 황소자리, 2005, p.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