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nyukang2011 (토론 | 기여) (새 문서: ==語源== 벼가 성숙해져서 불과 같은 색을 나타낸다.<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p113</ref> ==각주==)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가을 추.png|500픽셀|오른쪽]] | ||
==語源== | ==語源== | ||
− | + | [[갑골문]]과 [[금문]]의 秋자는 귀뚜라미의 모습이다. <br> | |
+ | 秋자가 익은 곡식([[禾]])이 불(火)처럼 타오르는 색으로 들판에 가득한 모습을 표현하게 된 것은 원래 글자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된 것이다. <[[설문해자]]>에서는 '秋는 곡식이 익은 모습'이라고 설명한다. | ||
− | == | + | ==文化== |
+ | 상나라 때의 [[갑골문]]에는 계절을 나타내는 단어 가운데 [[夏]]와 [[冬]]자가 없다. 오로지 春秋로 계절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당시 사람들에게 계절의 의미는 농사와 관계되는 시기적 구분에 불과했을 수 있다. 날씨가 따뜻해진다는 것은 씨앗을 파종할 시기가 왔다는 의미이며, 바람이 차가워지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는 것은 여문 곡식을 수확해야할 시기인 것이다. 온도와 기온의 차이는 곡식을 파종하거나 수확하는 기준과 직결되는 것으로 생존에 핵심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파종의 시기를 의미하는 춘과, 수확을 의미하는 추 두 개의 계절만이 의미있는 것이었다. <br> | ||
+ | |||
+ | 우리에게 여름이라는 단어로 정의되는 시기는 단지 春 가운데 좀더 덥고 습한 시기일 뿐이며, 겨울이라는 기간은 秋 가운데 좀더 춥고 건조한 시기에 불과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春秋는 일 년 전체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래서 나중에 공자가 편찬한 역사서도 춘추라고 했다. <묵자>에는 四時를 나타내는 단어가 춘하추동이 아닌 춘추하동으로 기록되어 있다. |
2021년 3월 23일 (화) 16:46 기준 최신판
語源
갑골문과 금문의 秋자는 귀뚜라미의 모습이다.
秋자가 익은 곡식(禾)이 불(火)처럼 타오르는 색으로 들판에 가득한 모습을 표현하게 된 것은 원래 글자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된 것이다. <설문해자>에서는 '秋는 곡식이 익은 모습'이라고 설명한다.
文化
상나라 때의 갑골문에는 계절을 나타내는 단어 가운데 夏와 冬자가 없다. 오로지 春秋로 계절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당시 사람들에게 계절의 의미는 농사와 관계되는 시기적 구분에 불과했을 수 있다. 날씨가 따뜻해진다는 것은 씨앗을 파종할 시기가 왔다는 의미이며, 바람이 차가워지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는 것은 여문 곡식을 수확해야할 시기인 것이다. 온도와 기온의 차이는 곡식을 파종하거나 수확하는 기준과 직결되는 것으로 생존에 핵심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파종의 시기를 의미하는 춘과, 수확을 의미하는 추 두 개의 계절만이 의미있는 것이었다.
우리에게 여름이라는 단어로 정의되는 시기는 단지 春 가운데 좀더 덥고 습한 시기일 뿐이며, 겨울이라는 기간은 秋 가운데 좀더 춥고 건조한 시기에 불과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春秋는 일 년 전체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래서 나중에 공자가 편찬한 역사서도 춘추라고 했다. <묵자>에는 四時를 나타내는 단어가 춘하추동이 아닌 춘추하동으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