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北京奥运会开幕式的主题词之一,让全世界人民都看到中国人热爱“和谐、和睦、和平”。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의 키워드 중의 하나로...)
 
(語源)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北京奥运会开幕式的主题词之一,让全世界人民都看到中国人热爱“和谐、和睦、和平”。
+
==語源==
 +
[[파일:화할 화.png|500픽셀|오른쪽]]
 +
和의 고문자는 ‘화([[龢]])’자로 왼쪽으로 여러 가닥의 죽관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퉁소 형태의 관악기를 상형한 것이다. 오른쪽의 ‘禾’는 음부로 독음을 나타낸다. 현재는 ‘龢'보다는 음이 같은 和로 많이 쓰이고 있다. ‘화’자의 원래 뜻은 악기의 소리를 알맞게 배합하거나 조화롭게 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며, ‘온화하다(温和)’, ‘온유하다(柔和)’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의 키워드 중의 하나로 전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중국인이 “조화로움, 화목함, 평화”를 매우 사랑한다는 것을 직접 보여 주었다.
+
==文化==
 +
龢의 왼쪽에는 龠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龠은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로 구멍이 3개 있다. 여러 악기의 소리를 조화롭게 한다.”<ref>허신(許愼), 《設文解字》</ref> 龠은 이미 여러 악기의 소리를 조화롭게 해주는 악기였던 것이다. 龠은 취약(吹龠)과 무약(舞籥)의 두 종류가 있다. 취약은 길이가 비교적 짧고 구멍이 3개이다. 무약은 구멍이 6개이며 춤을 추면서 연주하였다. <br>
  
 +
龠자의 [[갑골문]]과 [[금문]]이 관(管)을 여러 개 나열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소(簫)의 전신으로 보기도 한다.<ref> 왕닝·시에똥위엔·리우팡 저, 김은희 역, 《설문해자와 중국 고대문화》, p.154-155</ref> <br>
  
 +
이는 길이가 서로 다른 대나무 관을 연결시킨 것으로, 가장 중국적인 악기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악기로서, 서남쪽 소수민족에 의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p.312</ref>
  
[[중국어 유행어 사전|{{색|blue|중국어 유행어 사전으로 돌아가기}}]]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1년 9월 8일 (수) 22:19 기준 최신판

語源

화할 화.png

和의 고문자는 ‘화()’자로 왼쪽으로 여러 가닥의 죽관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퉁소 형태의 관악기를 상형한 것이다. 오른쪽의 ‘禾’는 음부로 독음을 나타낸다. 현재는 ‘龢'보다는 음이 같은 和로 많이 쓰이고 있다. ‘화’자의 원래 뜻은 악기의 소리를 알맞게 배합하거나 조화롭게 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며, ‘온화하다(温和)’, ‘온유하다(柔和)’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文化

龢의 왼쪽에는 龠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龠은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로 구멍이 3개 있다. 여러 악기의 소리를 조화롭게 한다.”[1] 龠은 이미 여러 악기의 소리를 조화롭게 해주는 악기였던 것이다. 龠은 취약(吹龠)과 무약(舞籥)의 두 종류가 있다. 취약은 길이가 비교적 짧고 구멍이 3개이다. 무약은 구멍이 6개이며 춤을 추면서 연주하였다.

龠자의 갑골문금문이 관(管)을 여러 개 나열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소(簫)의 전신으로 보기도 한다.[2]

이는 길이가 서로 다른 대나무 관을 연결시킨 것으로, 가장 중국적인 악기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악기로서, 서남쪽 소수민족에 의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3]

  1. 허신(許愼), 《設文解字》
  2. 왕닝·시에똥위엔·리우팡 저, 김은희 역, 《설문해자와 중국 고대문화》, p.154-155
  3.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p.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