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角"의 두 판 사이의 차이
(→語源) |
(→文化)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뿔 각.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뿔 각.png|500픽셀|오른쪽]] | ||
− | + | [[갑골문]]과 금문의 '''角'''는, 소뿔, 양뿔, 사슴 뿔 등과 같은 짐승의 뿔 모양이다. 소, 양류의 뿔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체력을 겨루는 데 쓰는 일종의 무기였다. 그래서 시합과 결투승부를 “각력(角力)”이라 불렀다. | |
− | 이외에, 뿔은 상고시대(상~한)에 일찍이 술 마시는데 쓰는 그릇으로 쓰였다. 후에 단위를 계량하는 데 쓰였다. 예를 들어 “술 양 각”이라 하면 바로 “술 두 잔”에 해당했다. 그래서 뿔을 편방으로 둔 것은 대부분 술그릇 혹은 계량 기구와 연관되어있다. 예로 觚(술잔 고), 觴(잔 상), 斛(휘(용량 단위) 곡) 등이다. | + | 이외에, 뿔은 상고시대(상~한)에 일찍이 술 마시는데 쓰는 그릇으로 쓰였다. 후에 단위를 계량하는 데 쓰였다. 예를 들어 “술 양 각”이라 하면 바로 “술 두 잔”에 해당했다. 그래서 뿔을 편방으로 둔 것은 대부분 술그릇 혹은 계량 기구와 연관되어있다. 예로 '''觚'''(술잔 고),'''觴'''(잔 상), '''斛'''(휘(용량 단위) 곡) 등이다. '''角'''는 경쟁, 희극 배역(戲角)인물의 뜻으로 쓰일 땐 jué(배우 각) 로 읽는다. |
− | 角(뿔 각) 한자의 갑골문 형태를 보았을 때 동물(동물 중에서도 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에 달려있는 ‘뿔’을 상징한다. 또한 뿔을 통해서 만들어진 악기나 장식 등에서도 사용되는 한자이다. | + | |
+ | '''角'''(뿔 각) 한자의 갑골문 형태를 보았을 때 동물(동물 중에서도 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에 달려있는 ‘뿔’을 상징한다. 《설문》에서는 "角(각)은 짐승의 뿔을 나타내며 상형자이라고 나와있다. 옛날 사람들이 동물에 대해 자세히 알 | ||
+ | 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뿔을 통해서 만들어진 악기나 장식 등에서도 사용되는 한자이다. [[갑골문]]과 [[금문자]]의 자형이 비슷하고 모두 동물의 뿔을 닮았으며 가운데는 결(무늬)이 있다. | ||
[각축(角逐)] 쟁탈, 경쟁에서 승리하다. | [각축(角逐)] 쟁탈, 경쟁에서 승리하다. | ||
12번째 줄: | 14번째 줄: | ||
==文化== | ==文化== | ||
'''角'''은 동물 머리 위에 난 뼈의 모양이 볼록 튀어나온 물건이다. [[설문해자]]에선 “角, 짐승의 뿔이다. 상형자다.”라고 해석했다. | '''角'''은 동물 머리 위에 난 뼈의 모양이 볼록 튀어나온 물건이다. [[설문해자]]에선 “角, 짐승의 뿔이다. 상형자다.”라고 해석했다. | ||
− | |||
아래 그림에서 갑골문 금문의 자형은 비슷하다. 모두 동물 뿔의 모양인데, 중간에 있는 것은 무늬다. 고대인들의 동물의 이해에 관한 세밀한 부분을 알 수 있다. 석고문에서 소전까지 모두 진 본토 문자에 속한다. | 아래 그림에서 갑골문 금문의 자형은 비슷하다. 모두 동물 뿔의 모양인데, 중간에 있는 것은 무늬다. 고대인들의 동물의 이해에 관한 세밀한 부분을 알 수 있다. 석고문에서 소전까지 모두 진 본토 문자에 속한다. | ||
− | [[갑골문]] | + | |
+ | [[갑골문]]에서는 짐승의 뿔을 그렸는데, 무늬가 든 것이 특징이며, 모양으로 보아 소뿔로 볼 수 있다. 뿔은 머리에 달렸기 때문에 頭'''角'''(두각)에서처럼 ‘머리’를, 뾰족하거나 모난 모습 때문에 '''角'''度(각도)를, 머리를 뿔 모양으로 맸다는 뜻에서 總'''角'''(총각)을, 뿔피리로 쓰였기 때문에 五音(오음) 즉 [[宮]](집 궁), [[商]](장사 상), [[角]](뿔 각), [[徵]](음률 이름 치), [[羽]](깃 우)의 하나를 지칭하게 되었다. 뿔은 겉은 단단하지만 속은 부드러워 속을 파내면 잔이나 악기는 물론 다양한 장식물로 쓸 수 있기에 그런 것들을 지칭하기도 한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8, p8</ref> | ||
+ | |||
‘뿔’이라는 뜻의 '''角'''(뿔 각)자는 홈이 많이 파인 넓은 뿔의 현상이다. 이 글자는 다른 의미로 파생된 후 해각(새 뿔이 나려고 묵은 뿔이 빠짐), 첨각(물건의 뾰족한 모서리나 삐죽 나온 부분) 등처럼 다른 형상을 가진 것들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한다. 그래서 '''角'''(뿔 각)자는 중국에서 아프리카의 각, 희망각 등과 같은 지명 속에 자주 등장한다.<ref>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136</ref> | ‘뿔’이라는 뜻의 '''角'''(뿔 각)자는 홈이 많이 파인 넓은 뿔의 현상이다. 이 글자는 다른 의미로 파생된 후 해각(새 뿔이 나려고 묵은 뿔이 빠짐), 첨각(물건의 뾰족한 모서리나 삐죽 나온 부분) 등처럼 다른 형상을 가진 것들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한다. 그래서 '''角'''(뿔 각)자는 중국에서 아프리카의 각, 희망각 등과 같은 지명 속에 자주 등장한다.<ref>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136</ref> | ||
+ | |||
'''角'''(뿔 각)자는 구부러진 삼각형의 뿔 모양을 나타낸다. 소는 [[상나라]] 때에 가장 보편적인 동물이었으므로 이 글자가 나타내고 있는 것은 쇠뿔의 모양인 것 같다. 이것은 두 손으로 소의 뿔을 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갑골문 解(풀 해)자에 알 수가 있다. 쇠뿔은 [[상나라]] 때에 보편적으로 사용된 재료여서 쇠뿔을 뽑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ref>許進雄,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p175</ref> | '''角'''(뿔 각)자는 구부러진 삼각형의 뿔 모양을 나타낸다. 소는 [[상나라]] 때에 가장 보편적인 동물이었으므로 이 글자가 나타내고 있는 것은 쇠뿔의 모양인 것 같다. 이것은 두 손으로 소의 뿔을 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갑골문 解(풀 해)자에 알 수가 있다. 쇠뿔은 [[상나라]] 때에 보편적으로 사용된 재료여서 쇠뿔을 뽑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ref>許進雄,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p175</ref> | ||
− | 동물의 뿔을 그린 | + | |
+ | 일본에서는 동물의 뿔을 그린 상형문자이며, 뿔, 구석, 귀퉁이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 되어 있다. 세 개의 모퉁이에서 三'''角'''(삼각), 모서리를 찌르는 듯한 힘겨루기가 '''角'''力(각력), 도로의 모퉁이가 道'''角'''(도각), '''角'''度(각도)라고 한다.<ref>風船あられの漢字ブログ, 2016.06, {http://huusennarare.cocolog-nifty.com/blog/2016/06/post-80d5.html]</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2년 12월 18일 (일) 17:18 기준 최신판
語源
갑골문과 금문의 角는, 소뿔, 양뿔, 사슴 뿔 등과 같은 짐승의 뿔 모양이다. 소, 양류의 뿔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체력을 겨루는 데 쓰는 일종의 무기였다. 그래서 시합과 결투승부를 “각력(角力)”이라 불렀다.
이외에, 뿔은 상고시대(상~한)에 일찍이 술 마시는데 쓰는 그릇으로 쓰였다. 후에 단위를 계량하는 데 쓰였다. 예를 들어 “술 양 각”이라 하면 바로 “술 두 잔”에 해당했다. 그래서 뿔을 편방으로 둔 것은 대부분 술그릇 혹은 계량 기구와 연관되어있다. 예로 觚(술잔 고),觴(잔 상), 斛(휘(용량 단위) 곡) 등이다. 角는 경쟁, 희극 배역(戲角)인물의 뜻으로 쓰일 땐 jué(배우 각) 로 읽는다.
角(뿔 각) 한자의 갑골문 형태를 보았을 때 동물(동물 중에서도 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에 달려있는 ‘뿔’을 상징한다. 《설문》에서는 "角(각)은 짐승의 뿔을 나타내며 상형자이라고 나와있다. 옛날 사람들이 동물에 대해 자세히 알
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뿔을 통해서 만들어진 악기나 장식 등에서도 사용되는 한자이다. 갑골문과 금문자의 자형이 비슷하고 모두 동물의 뿔을 닮았으며 가운데는 결(무늬)이 있다.
[각축(角逐)] 쟁탈, 경쟁에서 승리하다. [각색(角色)] 전통 희극 연기자의 유형
文化
角은 동물 머리 위에 난 뼈의 모양이 볼록 튀어나온 물건이다. 설문해자에선 “角, 짐승의 뿔이다. 상형자다.”라고 해석했다. 아래 그림에서 갑골문 금문의 자형은 비슷하다. 모두 동물 뿔의 모양인데, 중간에 있는 것은 무늬다. 고대인들의 동물의 이해에 관한 세밀한 부분을 알 수 있다. 석고문에서 소전까지 모두 진 본토 문자에 속한다.
갑골문에서는 짐승의 뿔을 그렸는데, 무늬가 든 것이 특징이며, 모양으로 보아 소뿔로 볼 수 있다. 뿔은 머리에 달렸기 때문에 頭角(두각)에서처럼 ‘머리’를, 뾰족하거나 모난 모습 때문에 角度(각도)를, 머리를 뿔 모양으로 맸다는 뜻에서 總角(총각)을, 뿔피리로 쓰였기 때문에 五音(오음) 즉 宮(집 궁), 商(장사 상), 角(뿔 각), 徵(음률 이름 치), 羽(깃 우)의 하나를 지칭하게 되었다. 뿔은 겉은 단단하지만 속은 부드러워 속을 파내면 잔이나 악기는 물론 다양한 장식물로 쓸 수 있기에 그런 것들을 지칭하기도 한다.[1]
‘뿔’이라는 뜻의 角(뿔 각)자는 홈이 많이 파인 넓은 뿔의 현상이다. 이 글자는 다른 의미로 파생된 후 해각(새 뿔이 나려고 묵은 뿔이 빠짐), 첨각(물건의 뾰족한 모서리나 삐죽 나온 부분) 등처럼 다른 형상을 가진 것들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한다. 그래서 角(뿔 각)자는 중국에서 아프리카의 각, 희망각 등과 같은 지명 속에 자주 등장한다.[2]
角(뿔 각)자는 구부러진 삼각형의 뿔 모양을 나타낸다. 소는 상나라 때에 가장 보편적인 동물이었으므로 이 글자가 나타내고 있는 것은 쇠뿔의 모양인 것 같다. 이것은 두 손으로 소의 뿔을 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갑골문 解(풀 해)자에 알 수가 있다. 쇠뿔은 상나라 때에 보편적으로 사용된 재료여서 쇠뿔을 뽑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3]
일본에서는 동물의 뿔을 그린 상형문자이며, 뿔, 구석, 귀퉁이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 되어 있다. 세 개의 모퉁이에서 三角(삼각), 모서리를 찌르는 듯한 힘겨루기가 角力(각력), 도로의 모퉁이가 道角(도각), 角度(각도)라고 한다.[4]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8, p8
- ↑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136
- ↑ 許進雄,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1993, p175
- ↑ 風船あられの漢字ブログ, 2016.06, {http://huusennarare.cocolog-nifty.com/blog/2016/06/post-80d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