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당 | + | ==과거제도 개요== |
− | + | ||
− | + | ==각 시대별 과거제도== | |
+ | ===[[당]]의 과거제도=== | ||
+ | 당대의 과거는 [[공거]](貢擧)와 [[제거]](制擧)로 나누어졌었다. 공과는 또한 상과(常科)라고도 하는데 과목에는 수재(秀才), 명경(明經), 진사(進士), 명서(明書), 명법(明法), 명산(明算) 등의 과가 있었다.<br> | ||
+ | 당대의 과거제는 비문벌 지주 대두의 역사적 추세에 따라 중앙 집권 강화에 중대한 작용을 하였고, 인재 선발이란 관점에서 볼 때 하나의 통일된 객관적 표준을 사용하여 고시를 행하였으므로, 사인들은 공개적으로 경쟁에 참가할 수 있었으며 문벌의 제한도 받지 않았다. 또한 고시가 주로 수도에서 진행되었고 선발권과 임용권도 모두 중앙에 집중 되어 있었으므로, 전국의 인재를 결집시키고 정치·문화·사상의 교류를 촉진시킬 수 있었으며 봉건왕조의 통치기초를 확대하는 데도 유리하였다. 따라서 과거 제도는 위진남북조 시기의 구품 중정제도와 비교한다면 매우 진보적이고 합리적이며 공평하였다. | ||
+ | |||
+ | ===[[송]]의 과거제도=== | ||
+ | |||
+ | ===[[원]]의 과거제도=== | ||
+ | |||
+ | ===[[명]]의 과거제도=== | ||
+ | |||
+ | ===[[청]]의 과거제도===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중국통사>>, 범문란, 우종사 | * <<중국통사>>, 범문란, 우종사 | ||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신성곤, 윤혜영, 서해문집 |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신성곤, 윤혜영, 서해문집 | ||
+ | [[분류:당나라| ]] |
2016년 6월 27일 (월) 16:23 기준 최신판
과거제도 개요
각 시대별 과거제도
당의 과거제도
당대의 과거는 공거(貢擧)와 제거(制擧)로 나누어졌었다. 공과는 또한 상과(常科)라고도 하는데 과목에는 수재(秀才), 명경(明經), 진사(進士), 명서(明書), 명법(明法), 명산(明算) 등의 과가 있었다.
당대의 과거제는 비문벌 지주 대두의 역사적 추세에 따라 중앙 집권 강화에 중대한 작용을 하였고, 인재 선발이란 관점에서 볼 때 하나의 통일된 객관적 표준을 사용하여 고시를 행하였으므로, 사인들은 공개적으로 경쟁에 참가할 수 있었으며 문벌의 제한도 받지 않았다. 또한 고시가 주로 수도에서 진행되었고 선발권과 임용권도 모두 중앙에 집중 되어 있었으므로, 전국의 인재를 결집시키고 정치·문화·사상의 교류를 촉진시킬 수 있었으며 봉건왕조의 통치기초를 확대하는 데도 유리하였다. 따라서 과거 제도는 위진남북조 시기의 구품 중정제도와 비교한다면 매우 진보적이고 합리적이며 공평하였다.
송의 과거제도
원의 과거제도
명의 과거제도
청의 과거제도
참고문헌
- <<중국통사>>, 범문란, 우종사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신성곤, 윤혜영, 서해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