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여러 서(庶).png|600픽셀|오른쪽]]
 
[[파일:여러 서(庶).png|600픽셀|오른쪽]]
집집마다 막 아래에서 불을 피워 밥을 짓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ref>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45</ref> 금문에서는 돌(石)과 불(火)로 구성되어 불에 돌을 올려놓고 굽는 요리법을 그렸는데, 이후 집(广)이 더해지고 자형이 조금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343</ref> 이후 불에 올려놓은 돌 주위로 여러 사람이 둘러앉았다는 뜻에서 ‘많다’, ‘보통의’라는 뜻이 나왔다. 관련 단어로는 서민(庶民), 서무(庶务, 잡무(杂务)), 서자(庶子)가 있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높은 건물 밑에 무리가 있는 모습(屋下眾也)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
집집마다 막(屋棚) 아래에서 불을 피워 밥을 짓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ref>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45</ref> 금문에서는 돌(石)과 불(火)로 구성되어 불에 돌을 올려놓고 굽는 요리법을 그렸는데, 이후 집(广)이 더해지고 자형이 조금 변해 지금처럼 되었고<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343</ref>, 지금의 ‘많다’, ‘보통의’라는 뜻이 나왔다. 관련 단어로는 서민(庶民), 서무(庶务, 잡무(杂务)), 서자(庶子)가 있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높은 건물 밑에 무리가 있는 모습(屋下眾也)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文化==
 
==文化==
 +
당시 지위가 높은 사람이든 평민백성이든 간에 식사하는 시간이 되면 반드시 밥을 먹어야 했다.<ref>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45</ref> 또한 당시 鼎과 鬲 같은 조리기구는 크고 무거웠으며 가열하는 것이 어려웠다. 요리법은 돌솥으로 끓은 물을 이용해 재료를 삶는 것이었다. 《조전비(曹全碑)》의 예서에서는 금문에 있던 ‘불(火)’의 형태를 ‘물 네 점(灬)’으로 바뀌었는데<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p.207</ref>, 물 네 점으로 바뀐 배경에는 바로 당시 요리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백성', '많음'으로 의미가 확대된 데에는 여러 사람들이 밥을 먹기 위해 둘러앉은 것에서 의미가 확대되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343</ref>는 주장과 많은 사람들을 위해 요리하는 것에서 변형되었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p.207</ref>는 주장이 있다.
  
 
==주석==
 
==주석==

2018년 12월 15일 (토) 01:06 판

語源

여러 서(庶).png

집집마다 막(屋棚) 아래에서 불을 피워 밥을 짓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1] 금문에서는 돌(石)과 불(火)로 구성되어 불에 돌을 올려놓고 굽는 요리법을 그렸는데, 이후 집(广)이 더해지고 자형이 조금 변해 지금처럼 되었고[2], 지금의 ‘많다’, ‘보통의’라는 뜻이 나왔다. 관련 단어로는 서민(庶民), 서무(庶务, 잡무(杂务)), 서자(庶子)가 있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높은 건물 밑에 무리가 있는 모습(屋下眾也)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文化

당시 지위가 높은 사람이든 평민백성이든 간에 식사하는 시간이 되면 반드시 밥을 먹어야 했다.[3] 또한 당시 鼎과 鬲 같은 조리기구는 크고 무거웠으며 가열하는 것이 어려웠다. 요리법은 돌솥으로 끓은 물을 이용해 재료를 삶는 것이었다. 《조전비(曹全碑)》의 예서에서는 금문에 있던 ‘불(火)’의 형태를 ‘물 네 점(灬)’으로 바뀌었는데[4], 물 네 점으로 바뀐 배경에는 바로 당시 요리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백성', '많음'으로 의미가 확대된 데에는 여러 사람들이 밥을 먹기 위해 둘러앉은 것에서 의미가 확대되었다[5]는 주장과 많은 사람들을 위해 요리하는 것에서 변형되었다[6]는 주장이 있다.

주석

  1. 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45
  2.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343
  3. 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45
  4.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p.207
  5.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343
  6.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p.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