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고대 중국 사회에서 거북의 의미는 매우 특별했다. 우선 거북은 동물 중에서 천세를 누리는 장수동물로 알려져있다. 또한, 거북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껍데기를 갖고 있고 완만한 호흡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체내에 보존해 두는 습성때문에 줄곧 장수나 불사의 상징이었다.<ref> 하영삼, 『연상한자』, 예담차이나, 2004, p.318.</ref> 龜의 독음도 오래되다의 舊(구)와 같다.
 
고대 중국 사회에서 거북의 의미는 매우 특별했다. 우선 거북은 동물 중에서 천세를 누리는 장수동물로 알려져있다. 또한, 거북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껍데기를 갖고 있고 완만한 호흡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체내에 보존해 두는 습성때문에 줄곧 장수나 불사의 상징이었다.<ref> 하영삼, 『연상한자』, 예담차이나, 2004, p.318.</ref> 龜의 독음도 오래되다의 舊(구)와 같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거북은 갑골문의 재료가 되었다. 중국 고대 [[은]](殷)나라 때에는 국가의 크고 작은 일들을 행함에 있어 [[점복]](占卜)의 결과를 매우 크게 반영했는데, 그 점복의 재료가 된 것이 짐승의 뼈(獸骨)와 거북이 껍질(龜甲)이었다. 거북점의 경우 거북이 배딱지(보통 등껍질로 잘못 알고들 있다)을 불에 떼어 그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괘를 판단했는데, 卜(점 복)의 자형은 이 갈라진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대인들은 거북점을 칠 때 거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 영험하다고 믿었는데, 크기가 큰 거북을 지칭하는 '원귀(元龜)'는 <[[시경]]詩經>에서도 인용된 바 있다.<ref> 왕닝 등, 『「설문해자」와 중국고대문화』, 2010, pp.381-383.</ref> 또한, 『[[사기]](史記)·귀책열전』에서 거북을 신귀(神龜)라고 칭했으며, "거북이 천수를 살면 1尺2寸의 크기가 된다. 왕은 군대를 출정시킬 때면 반드시 묘당에서 거북으로 점을 쳐서 길흉을 결정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br />
+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거북은 갑골문의 재료가 되었다. 장수와 불사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그 어떤 동물보다 신비한 동물로, 그래서 신의 꼐시를 잘 전해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게다가 중앙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네 방향으로 튀어나와 모가 진 모습은 당시 사람들이 생각했던 땅의 모형과 유사했기 때문에, 이 지상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신과 교통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그것이 거북 딱지를 가지고 점을 치게 된 주된 이유였을 것이다. 중국 고대 [[은]](殷)나라 때에는 국가의 크고 작은 일들을 행함에 있어 [[점복]](占卜)의 결과를 매우 크게 반영했는데, 그 점복의 재료가 된 것이 짐승의 뼈(獸骨)와 거북이 껍질(龜甲)이었다. 거북점의 경우 거북이 배딱지(보통 등껍질로 잘못 알고들 있다)을 불에 떼어 그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괘를 판단했는데, 卜(점 복)의 자형은 이 갈라진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대인들은 거북점을 칠 때 거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 영험하다고 믿었는데, 크기가 큰 거북을 지칭하는 '원귀(元龜)'는 <[[시경]]詩經>에서도 인용된 바 있다.<ref> 왕닝 등, 『「설문해자」와 중국고대문화』, 2010, pp.381-383.</ref> 또한, 『[[사기]](史記)·귀책열전』에서 거북을 신귀(神龜)라고 칭했으며, "거북이 천수를 살면 1尺2寸의 크기가 된다. 왕은 군대를 출정시킬 때면 반드시 묘당에서 거북으로 점을 쳐서 길흉을 결정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br />
 
이렇듯 고대에 점복에 있어서 거북이가 매우 중요한 재료였던 탓에, 거북이는 영물(靈物)로써 여겨지게 되었고, 이러한 상징부여는 중국의 천지창조 신화에서 거북이 우주의 기둥을 자신의 등에 짊어지고 있다고 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이 신화 때문에 거북은 장수(長壽)와 강인함의 표상으로 사용되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p.87-89.</ref>  
 
이렇듯 고대에 점복에 있어서 거북이가 매우 중요한 재료였던 탓에, 거북이는 영물(靈物)로써 여겨지게 되었고, 이러한 상징부여는 중국의 천지창조 신화에서 거북이 우주의 기둥을 자신의 등에 짊어지고 있다고 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이 신화 때문에 거북은 장수(長壽)와 강인함의 표상으로 사용되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p.87-89.</ref>  
 
    
 
    

2022년 12월 21일 (수) 00:26 판

語源

거북 귀.png

갑골문과 금문에서 龜(귀)의 자형은 머리, 발, 껍질, 꼬리를 가진 거북을 그대로 그려낸 듯한 회화성이 매우 짙은 모습이다.‘书画同源(서예와 회화의 근본은 같다)’의 방증이기도 하다.특이한 점은 갑골문을 살펴보면 정면과 측면의 자형이 모두 존재한다는 것이다. 龜자가 지닌 이런 선명한 상형성은 진나라 시기에 문자 통일되면서 많이 상실되었다. 소전의 자형을 보면 거북의 기본 특징을 살려냈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갑골문과 금문에 비하면 매우 직관적이지 않다. 예서 이후 거북의 모습을 알아보기가 매우 어렵고, 한자개혁 이후의 간체자에서는 거북과의 모든 관련성을 상실했다고 볼 수 있다.


文化

龜(귀)는 양서파충류 네 발 동물로, 거북이나 남생이를 가리킨다. 『설문해자』의 龜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龜, 오래되다. 겉은 뼈로 싸여있고 그 안에 살이 있다. 它를 구성요소로 하는 것은 거북의 머리가 뱀의 머리와 같기 때문이다. 천지의 본성은 어깨가 넓고 수컷이 없는데, 거북이나 자라와 같은 동물은 뱀을 수컷으로 삼는다. 그 자형은 다리, 껍질, 꼬리의 형상을 본뜬 형상이다.[1]

고대 중국 사회에서 거북의 의미는 매우 특별했다. 우선 거북은 동물 중에서 천세를 누리는 장수동물로 알려져있다. 또한, 거북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껍데기를 갖고 있고 완만한 호흡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체내에 보존해 두는 습성때문에 줄곧 장수나 불사의 상징이었다.[2] 龜의 독음도 오래되다의 舊(구)와 같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거북은 갑골문의 재료가 되었다. 장수와 불사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그 어떤 동물보다 신비한 동물로, 그래서 신의 꼐시를 잘 전해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게다가 중앙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네 방향으로 튀어나와 모가 진 모습은 당시 사람들이 생각했던 땅의 모형과 유사했기 때문에, 이 지상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신과 교통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그것이 거북 딱지를 가지고 점을 치게 된 주된 이유였을 것이다. 중국 고대 (殷)나라 때에는 국가의 크고 작은 일들을 행함에 있어 점복(占卜)의 결과를 매우 크게 반영했는데, 그 점복의 재료가 된 것이 짐승의 뼈(獸骨)와 거북이 껍질(龜甲)이었다. 거북점의 경우 거북이 배딱지(보통 등껍질로 잘못 알고들 있다)을 불에 떼어 그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괘를 판단했는데, 卜(점 복)의 자형은 이 갈라진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대인들은 거북점을 칠 때 거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 영험하다고 믿었는데, 크기가 큰 거북을 지칭하는 '원귀(元龜)'는 <시경詩經>에서도 인용된 바 있다.[3] 또한, 『사기(史記)·귀책열전』에서 거북을 신귀(神龜)라고 칭했으며, "거북이 천수를 살면 1尺2寸의 크기가 된다. 왕은 군대를 출정시킬 때면 반드시 묘당에서 거북으로 점을 쳐서 길흉을 결정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고대에 점복에 있어서 거북이가 매우 중요한 재료였던 탓에, 거북이는 영물(靈物)로써 여겨지게 되었고, 이러한 상징부여는 중국의 천지창조 신화에서 거북이 우주의 기둥을 자신의 등에 짊어지고 있다고 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이 신화 때문에 거북은 장수(長壽)와 강인함의 표상으로 사용되었다.[4]

또 다른 의미로 거북은 북쪽에 상향하는 방향신이다. 거북은 겨울을 상징하며, 태초의 혼돈 상태를 나타내는 검은색이 바로 거북의 상징색이다.[5]

하지만 이렇게 좋은 상징을 부여받았던 거북은, (元)나라 때부터 그 사회적 지위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부터 ‘거북’이란 표현은 그 생김새의 유사성 때문에 남성의 성기를 가리키는 욕으로 쓰였다. 또한 생태적 특성 때문에(거북이 알을 낳아놓으면 자라가 와서 수정을 함) ‘아비도 모르는 자식’이라는 뜻을 품게 되기도 했다.[6] 결과적으로 현대 중국에서 거북이는 긍정적 상징과 부정적 상징을 동시에 갖고 있는 동물이 되었다.

주석

  1. 왕닝 등, 『「설문해자」와 중국고대문화』, 2010, p.51.
  2. 하영삼, 『연상한자』, 예담차이나, 2004, p.318.
  3. 왕닝 등, 『「설문해자」와 중국고대문화』, 2010, pp.381-383.
  4.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p.87-89.
  5. 하영삼, 『연상한자』, 예담차이나, 2004, p.317.
  6. 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7, pp.24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