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후 변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여태후 변호]](-[[사마천]]의 『[[사기]]』를 중심으로)====<br> | + | ====[[여태후 변호]](-[[사마천]]의 『[[사기]]』를 중심으로)====<br><br> |
논의에 앞서, 여태후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은 [[여태후]] 항목에서 살펴봤듯이 ‘잔인한 악녀’라는 부정적인 관점이 주를 이룬다. 여태후라는 인물이 한 업적이 무시 못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라 판단, 그녀에 대한 변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위 항목을 만들었다. 당연한 말이지만 아무리 여태후를 변호하는 입장이라도 분명히 해야 할 점은 그녀의 잔혹한 행동은 인간의 도덕성에 극히 위배된 것이기 때문에, 그녀의 행동은 정당화 될 수 없으며, 본인이 변호하는 것은 사마천의 사기를 근거로 하여 그녀가 그런 잔혹한 행동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br><br> | 논의에 앞서, 여태후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은 [[여태후]] 항목에서 살펴봤듯이 ‘잔인한 악녀’라는 부정적인 관점이 주를 이룬다. 여태후라는 인물이 한 업적이 무시 못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라 판단, 그녀에 대한 변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위 항목을 만들었다. 당연한 말이지만 아무리 여태후를 변호하는 입장이라도 분명히 해야 할 점은 그녀의 잔혹한 행동은 인간의 도덕성에 극히 위배된 것이기 때문에, 그녀의 행동은 정당화 될 수 없으며, 본인이 변호하는 것은 사마천의 사기를 근거로 하여 그녀가 그런 잔혹한 행동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br><br> | ||
− | 사마천의 『사기』가 | + | 사마천의 『사기』가 본인의 논리에 주된 근거가 되는 이유는 사마천이 살았던 한나라 (무제)라는 나라의 이데올로기가 남성 위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한나라(비록 시기는 다르지만)의 학자 반고와 여후를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가 존재하고,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사마천이 여후를 ''''긍정''''하는 모습도 보이기 때문이다.<br><br> |
우선, 사마천의 대표적인『사기』와 [[반고]]의『[[한서]]』의 저술 순서에서 사마천이 반고에 비해 여후를 긍정한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사마천의『사기』의 저술 순서가 유방- 여후 - 혜제 순인 반면, 반고의 『한서』의 저술 순서가 유방 - 혜제 - 여후라는 점을 고려해 보자. 이는 사마천이 생각하는 여후가 반고가 바라보는 여후보다 지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마천이 여태후라는 명칭을 여후에게 부여한 반면 반고는 그녀를 <고후>라는 명칭을 부여한 점을 보자. 이는 사마천이 여후의 지위를 태후까지 격상시켰지만, 반고는 그저 여후에게 <고조의 부인>이라는 타이틀을 부여함으로써 그녀의 지위를 상대적으로 낮췄다. 반고의 『한서』가 『사기』보다 후대에 쓰였다는 점과 반고의『한서』저술 방식이 사마천의 『사기』저술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을 보면, 반고는 사마천의 사기를 어느 정도 참고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반고에 비해 사마천은 여후를 긍정한 것이다.<br> | 우선, 사마천의 대표적인『사기』와 [[반고]]의『[[한서]]』의 저술 순서에서 사마천이 반고에 비해 여후를 긍정한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사마천의『사기』의 저술 순서가 유방- 여후 - 혜제 순인 반면, 반고의 『한서』의 저술 순서가 유방 - 혜제 - 여후라는 점을 고려해 보자. 이는 사마천이 생각하는 여후가 반고가 바라보는 여후보다 지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마천이 여태후라는 명칭을 여후에게 부여한 반면 반고는 그녀를 <고후>라는 명칭을 부여한 점을 보자. 이는 사마천이 여후의 지위를 태후까지 격상시켰지만, 반고는 그저 여후에게 <고조의 부인>이라는 타이틀을 부여함으로써 그녀의 지위를 상대적으로 낮췄다. 반고의 『한서』가 『사기』보다 후대에 쓰였다는 점과 반고의『한서』저술 방식이 사마천의 『사기』저술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을 보면, 반고는 사마천의 사기를 어느 정도 참고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반고에 비해 사마천은 여후를 긍정한 것이다.<br> |
2016년 6월 17일 (금) 22:40 판
====여태후 변호(-사마천의 『사기』를 중심으로)====
논의에 앞서, 여태후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은 여태후 항목에서 살펴봤듯이 ‘잔인한 악녀’라는 부정적인 관점이 주를 이룬다. 여태후라는 인물이 한 업적이 무시 못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라 판단, 그녀에 대한 변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위 항목을 만들었다. 당연한 말이지만 아무리 여태후를 변호하는 입장이라도 분명히 해야 할 점은 그녀의 잔혹한 행동은 인간의 도덕성에 극히 위배된 것이기 때문에, 그녀의 행동은 정당화 될 수 없으며, 본인이 변호하는 것은 사마천의 사기를 근거로 하여 그녀가 그런 잔혹한 행동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사마천의 『사기』가 본인의 논리에 주된 근거가 되는 이유는 사마천이 살았던 한나라 (무제)라는 나라의 이데올로기가 남성 위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한나라(비록 시기는 다르지만)의 학자 반고와 여후를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가 존재하고,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사마천이 여후를 '긍정'하는 모습도 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사마천의 대표적인『사기』와 반고의『한서』의 저술 순서에서 사마천이 반고에 비해 여후를 긍정한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사마천의『사기』의 저술 순서가 유방- 여후 - 혜제 순인 반면, 반고의 『한서』의 저술 순서가 유방 - 혜제 - 여후라는 점을 고려해 보자. 이는 사마천이 생각하는 여후가 반고가 바라보는 여후보다 지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마천이 여태후라는 명칭을 여후에게 부여한 반면 반고는 그녀를 <고후>라는 명칭을 부여한 점을 보자. 이는 사마천이 여후의 지위를 태후까지 격상시켰지만, 반고는 그저 여후에게 <고조의 부인>이라는 타이틀을 부여함으로써 그녀의 지위를 상대적으로 낮췄다. 반고의 『한서』가 『사기』보다 후대에 쓰였다는 점과 반고의『한서』저술 방식이 사마천의 『사기』저술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을 보면, 반고는 사마천의 사기를 어느 정도 참고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반고에 비해 사마천은 여후를 긍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