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东’자는 두 곳의 주둥아리가 묶인 큰 자루와 같이 생겼다. 이것의 본래 의미...)
 
6번째 줄: 6번째 줄:
  
 
==文化==
 
==文化==
‘东’은 태양이 나오는 방향을 가리킨다. 가차이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모두 위아래가 매듭지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 물건으로 가득 찬 자루의 형태이다. ‘橐’의 처음 글자이다. (옛날에 바닥이 있는 자루를 ‘囊’이라 하고, 밧줄로 양 끝을 묶은 자루는 ‘橐’라고 하였다) <설문>에서는: “해가 나무에 걸려있다.”라고 하며 소전의 자형을 보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것은 처음의 글자가 아니다. 초서는 소전의 구조를 참고하여 필획을 평평하게 하고, 상형자를 벗어났다. 간체자로는 ‘东’이라 쓴다.<ref> 图释古汉字, p.52</ref>
+
‘东’은 태양이 나오는 방향을 가리킨다. 가차이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모두 위아래가 매듭지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 물건으로 가득 찬 자루의 형태이다. ‘橐’의 처음 글자이다. (옛날에 바닥이 있는 자루를 ‘囊’이라 하고, 밧줄로 양 끝을 묶은 자루는 ‘橐’라고 하였다) <설문>에서는: “해가 나무에 걸려있다.”라고 하며 소전의 자형을 보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것은 처음의 글자가 아니다. 초서는 소전의 구조를 참고하여 필획을 평평하게 하고, 상형자를 벗어났다. 간체자로는 ‘东’이라 쓴다.<ref> 图释古汉字, p.52</ref>
 
   
 
   
 
동양에서 방향은 지극히 중요하다. 그래서 집을 지을 때도, 묘를 쓸 때도, 심지어 이사를 할 때도 방향을 따진다. 전통적으로 방향은 동서남북의 네 가지였으나 음양오행설의 영향으로 다시 중앙을 더하여 다섯 가지로 인식되었다. 동녘 동은 일반적으로 태양이 나무에 걸려 있는 모습, 그래서 해가 떠오르는 방향인 동쪽을 뜻하게 되었다고 설명해 왔다. 그러나 이는 전국시대 이후의 변화된 글자 모습에 근거한 해석이지 원래 모습에 대한 해석은 아니다. 동의 원래 의미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상나라 갑골문에 보이는 형상에 의하면 분명히 ‘양 끝을 동여매어 놓은 자루’의 모습이며, 이후 독음이 같다고 해서 동쪽이라는 의미가 가차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ref> 문화로 읽는 한자, 하영삼, 동방미디어, pp.276-277</ref>
 
동양에서 방향은 지극히 중요하다. 그래서 집을 지을 때도, 묘를 쓸 때도, 심지어 이사를 할 때도 방향을 따진다. 전통적으로 방향은 동서남북의 네 가지였으나 음양오행설의 영향으로 다시 중앙을 더하여 다섯 가지로 인식되었다. 동녘 동은 일반적으로 태양이 나무에 걸려 있는 모습, 그래서 해가 떠오르는 방향인 동쪽을 뜻하게 되었다고 설명해 왔다. 그러나 이는 전국시대 이후의 변화된 글자 모습에 근거한 해석이지 원래 모습에 대한 해석은 아니다. 동의 원래 의미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상나라 갑골문에 보이는 형상에 의하면 분명히 ‘양 끝을 동여매어 놓은 자루’의 모습이며, 이후 독음이 같다고 해서 동쪽이라는 의미가 가차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ref> 문화로 읽는 한자, 하영삼, 동방미디어, pp.276-277</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6년 9월 6일 (화) 13:32 판

語源

동녘 동.png

갑골문, 금문의 ‘东’자는 두 곳의 주둥아리가 묶인 큰 자루와 같이 생겼다. 이것의 본래 의미는 자루 안에 있는 물건을 가리킨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东西’이다. 이 글자는 후에‘东方’과 같이 방위를 표시하는 글자로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东方’이라 함은 해가 떠오르는 방향이다. ‘西方’과 반대된다.

东西: 동쪽과 서쪽. 또한 일반적으로 각종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사물을 가리킬 때 쓰인다.

文化

‘东’은 태양이 나오는 방향을 가리킨다. 가차이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모두 위아래가 매듭지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 물건으로 가득 찬 자루의 형태이다. ‘橐’의 처음 글자이다. (옛날에 바닥이 있는 자루를 ‘囊’이라 하고, 밧줄로 양 끝을 묶은 자루는 ‘橐’라고 하였다) <설문>에서는: “해가 나무에 걸려있다.”라고 하며 소전의 자형을 보고 해석했다. 그러나 이것은 처음의 글자가 아니다. 초서는 소전의 구조를 참고하여 필획을 평평하게 하고, 상형자를 벗어났다. 간체자로는 ‘东’이라 쓴다.[1]

동양에서 방향은 지극히 중요하다. 그래서 집을 지을 때도, 묘를 쓸 때도, 심지어 이사를 할 때도 방향을 따진다. 전통적으로 방향은 동서남북의 네 가지였으나 음양오행설의 영향으로 다시 중앙을 더하여 다섯 가지로 인식되었다. 동녘 동은 일반적으로 태양이 나무에 걸려 있는 모습, 그래서 해가 떠오르는 방향인 동쪽을 뜻하게 되었다고 설명해 왔다. 그러나 이는 전국시대 이후의 변화된 글자 모습에 근거한 해석이지 원래 모습에 대한 해석은 아니다. 동의 원래 의미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상나라 갑골문에 보이는 형상에 의하면 분명히 ‘양 끝을 동여매어 놓은 자루’의 모습이며, 이후 독음이 같다고 해서 동쪽이라는 의미가 가차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2]

  1. 图释古汉字, p.52
  2. 문화로 읽는 한자, 하영삼, 동방미디어, pp.276-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