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택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서 소비에트 성립)
19번째 줄: 19번째 줄:
 
===청년시절===
 
===청년시절===
 
===공산당 창당===
 
===공산당 창당===
1921년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자 일지는 몰라도 공산주의자는 아니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당시 중국에는 공산당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천두슈는 1919년에 러시아인을 통해 코민테른과 접촉을 하기 시작한 상태였고 1921년 드디어 상하이에서 공산당은 창당되었다. 하지만 오해하지 말 것이 이 당시의 모택동은 창당대회에 참여하기는 했을지언정 결코 당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금 상하이에 가보면 공산당 창당 기념관이 있는데, 모택동이 회의 당시 일어나서 연설을 하는 듯한 모형이 전시되어있다. 하지만 과연 실제 회의에서 이러한 연설을 했을지는 거짓일 가능성이 높다.)  
+
1921년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자 일지는 몰라도 공산주의자는 아니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당시 중국에는 [[공산당]]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진독수]]는 1919년에 러시아인을 통해 [[코민테른]]과 접촉을 하기 시작한 상태였고 1921년 드디어 [[상하이]]에서 [[공산당]]은 창당되었다. 하지만 오해하지 말 것이 이 당시의 모택동은 창당대회에 참여하기는 했을지언정 결코 당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금 [[상하이]]에 가보면 공산당 창당 기념관이 있는데, 모택동이 회의 당시 일어나서 연설을 하는 듯한 모형이 전시되어있다. 하지만 과연 실제 회의에서 이러한 연설을 했을지는 거짓일 가능성이 높다.)  
===공산당 생활===
+
===[[공산당]] 생활===
공산당 창립 이후, 이곳에 속해 있는 동안 모택동은 (자신이 농민출신이라서 인지) 농민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졌고 농민들 안에 내재되어 있는 힘을 파악하였다. 1922년 당시 모택동은 호남성 지부의 서기로 있었는데 훗날 회고하기를 당시 천듀수 휘하의 공산당의 활동은 주로 학생과 노동자들에게 집중이 되었을 뿐, 농민들에게는 거의 눈을 돌리지 않았었다고 한다.<ref> 에드가 스노우, 홍수원 외 3명 옮김, 『중국의 붉은 별』, 2004, p.189</ref> 1927년에는 농민의 혁명 투쟁에 대한 당시 당내외의 비판들에 답변하기 위해 『호남농민운동 시찰보고』라는 글을 써 중앙위원회에 제출하며 <ref> 모택동, 김승일 옮김, 『모택동 선집』, 범우사, 2001, p.29</ref> 농민 운동에 대한 새로운 노선을 채택하도록 촉구하였다. 하지만 진독수를 위시한 공산당은 여전히 농민에게 관심이 없었다. 당이 농민에게 내재된 가능성을 간과하고 시간이 흐른 뒤, 1927년 장개석의 국민당이 4.12 사건을 일으킨다. 이 사건으로 공산당에 소속된 노동자들은 학살당하였으며 국민당과 정부 내에서 공산주의자들을 축출하여 무한에 있던 공산당 무한정부는 결국 소멸되고 만다.
+
공산당 창립 이후, 이곳에 속해 있는 동안 모택동은 (자신이 농민출신이라서 인지) 농민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졌고 농민들 안에 내재되어 있는 힘을 파악하였다. 1922년 당시 모택동은 [[호남성]] 지부의 서기로 있었는데 훗날 회고하기를 당시 [[진독수]] 휘하의 공산당의 활동은 주로 학생과 노동자들에게 집중이 되었을 뿐, 농민들에게는 거의 눈을 돌리지 않았었다고 한다.<ref> 에드가 스노우, 홍수원 외 3명 옮김, 『중국의 붉은 별』, 2004, p.189</ref> 1927년에는 농민의 혁명 투쟁에 대한 당시 당내외의 비판들에 답변하기 위해 『호남농민운동 시찰보고』라는 글을 써 중앙위원회에 제출하며 <ref> 모택동, 김승일 옮김, 『모택동 선집』, 범우사, 2001, p.29</ref> 농민 운동에 대한 새로운 노선을 채택하도록 촉구하였다. 하지만 [[진독수]]를 위시한 공산당은 여전히 농민에게 관심이 없었다. 당이 농민에게 내재된 가능성을 간과하고 시간이 흐른 뒤, 1927년 [[장개석]]의 [[국민당]]이 4.12 사건을 일으킨다. 이 사건으로 [[공산당]]에 소속된 노동자들은 학살당하였으며 [[국민당]]과 정부 내에서 공산주의자들을 축출하여 [[무한]]에 있던 공산당 무한정부는 결국 소멸되고 만다.
===정강산 시절===
+
===[[정강산]] 시절===
1927년 8월 1일 국민당의 학살에 대한 반동으로 하룡과 엽정이 이끄는 제20군은 주덕과 힘을 합쳐 남창봉기를 일으킨다. (이를 기려 지금도 중국의 8월1일은 군인의 날이다.) 모택동 또한 소규모 군대로 농민 봉기를 일으키며 호남성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마지막엔 정강산에 들어간다. (흔히들 이 정강산을 지리산에 들어간 빨치산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정강산은 산새가 험하고 둘레 500리, 직경 80리가 되는 거대한 산이다.) 모택동은 1927년 겨울부터 1929년 초까지 정강산에 있었는데 이곳에 있는 동안 힘을 크게 키운다. 당시 정강산에서 산적을 하고 있던 왕좌와 원문재의 군대를 합류시키고 1928년 5월에는 주덕의 군대가 정강산에 도착하였고 ‘모주군毛朱軍’이라고 불리는 유명한 홍군 제4군이 탄생하였다. 정강산은 지형이 험하고 요새로서의 기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이 산을 탈환하기 위한 국민당의 군대들을 모두 물리쳤다. 1929년이 1월 이들은 정강산에서 나왔다.
+
1927년 8월 1일 [[국민당]]의 학살에 대한 반동으로 [[하룡]]과 [[엽정]]이 이끄는 제20군은 [[주덕]]과 힘을 합쳐 [[남창봉기]]를 일으킨다. (이를 기려 지금도 중국의 8월1일은 군인의 날이다.) [[모택동]] 또한 소규모 군대로 농민 봉기를 일으키며 [[호남성]]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마지막엔 [[정강산]]에 들어간다. (흔히들 이 [[정강산]]을 지리산에 들어간 빨치산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정강산은 산새가 험하고 둘레 500리, 직경 80리가 되는 거대한 산이다.) [[모택동]]은 1927년 겨울부터 1929년 초까지 정강산에 있었는데 이곳에 있는 동안 힘을 크게 키운다. 당시 [[정강산]]에서 산적을 하고 있던 왕좌와 원문재의 군대를 합류시키고 1928년 5월에는 주덕의 군대가 정강산에 도착하였고 ‘모주군毛朱軍’이라고 불리는 유명한 홍군 제4군이 탄생하였다. [[정강산]]은 지형이 험하고 요새로서의 기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이 산을 탈환하기 위한 국민당의 군대들을 모두 물리쳤다. 1929년이 1월 이들은 정강산에서 나왔다.
 
===강서 소비에트 성립===
 
===강서 소비에트 성립===
정강산에서 나온 이들은 강서성 남부지역에서 혁명 운동을 벌이기 시작하였고 여러차례 성공을 거둔다. 차츰 강서성 남부는 거의 홍군의 수중에 장악되었고 1929년 12월 복건성 서부지역에서 개최된 제 4군 제 9차 당원대표회의에서 이들은 강서성에 소비에트 권력을 수립하기로 합의한다. 이들의 첫 근거지가 수립된 셈이다. 하지만 장제스는 이들이 근거지를 마련한 것을 그냥 눈뜨고 지켜볼 수 없었는데 이들을 없애버리기 위한 초공전을 계획한다. 1930년 말. 제 1차 초공전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후에 이러지는 계속된 초공전에도 홍군의 강서 소비에트는 무너지지 않았는데 이들을 정강산 시절부터 써오던 게릴라 전략으로 국민당의 군대에 맞섰기 때문이다. 게릴라 전략은 다음과 같다.    <br>
+
[[정강산]]에서 나온 이들은 강서성 남부지역에서 혁명 운동을 벌이기 시작하였고 여러차례 성공을 거둔다. 차츰 강서성 남부는 거의 홍군의 수중에 장악되었고 1929년 12월 [[복건성]] 서부지역에서 개최된 제 4군 제 9차 당원대표회의에서 이들은 [[강서성]]에 소비에트 권력을 수립하기로 합의한다. 이들의 첫 근거지가 수립된 셈이다. 하지만 장제스는 이들이 근거지를 마련한 것을 그냥 눈뜨고 지켜볼 수 없었는데 이들을 없애버리기 위한 초공전을 계획한다. 1930년 말. 제 1차 초공전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후에 이러지는 계속된 초공전에도 홍군의 강서 소비에트는 무너지지 않았는데 이들을 정강산 시절부터 써오던 게릴라 전략으로 국민당의 군대에 맞섰기 때문이다. 게릴라 전략은 다음과 같다.    <br>
 
敌进我退-적이 오면 우리는 도망간다.<br>
 
敌进我退-적이 오면 우리는 도망간다.<br>
 
敌止我扰-적이 멈추면 우리는 적을 괴롭힌다.<br>
 
敌止我扰-적이 멈추면 우리는 적을 괴롭힌다.<br>
34번째 줄: 34번째 줄:
 
===대장정===
 
===대장정===
 
[[대장정|대정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 참고]] <br>
 
[[대장정|대정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 참고]] <br>
독일에서 군사 고문까지 초빙해 홍군의 씨를 말리려고 한 장제스의 5차 초공전으로 인해 1934년 10월 강서 소비에트는 붕괴를 맞이하게 되고 이들을 그 끝을 모르는 후퇴를 하게 된다. 처음 시작을 할 당시만 하더라도 길을 걸어가는 그 누구도 이 걸음이 1년동안 이어진 대장정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처음에 8만여명이 출발하였으나 1년이라는 시간동안 사람이 다닐 수 없는 길을 걸으며 산시성 북부에 도착할 때는 6천여명의 병사만이 남아있지 않았다. 이들은 1935년 10월 368일간의 장정의 종언을 선언하고 이곳에서 힘을 키운다.
+
독일에서 군사 고문까지 초빙해 홍군의 씨를 말리려고 한 [[장개석]]의 5차 초공전으로 인해 1934년 10월 강서 소비에트는 붕괴를 맞이하게 되고 이들을 그 끝을 모르는 후퇴를 하게 된다. 처음 시작을 할 당시만 하더라도 길을 걸어가는 그 누구도 이 걸음이 1년동안 이어진 [[대장정]]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처음에 8만여명이 출발하였으나 1년이라는 시간동안 사람이 다닐 수 없는 길을 걸으며 산시성 북부에 도착할 때는 6천여명의 병사만이 남아있지 않았다. 이들은 1935년 10월 368일간의 장정의 종언을 선언하고 이곳에서 힘을 키운다.
 
===제2차 국공합작===
 
===제2차 국공합작===
1936년 12월 장제스의 부하였던 장쉐량은 서안사건을 일으킨다. 장제스를 구금하고 국민당이 공산당과 연합을 하도록 한 것. 이 일로 인해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의 싸움은 잠시 정지가 되고 점점 중국 대륙으로 침략해 오는 일본에 대해 힘을 합쳐 맞서게 된다. 1937년 항일전쟁이 일어나고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같이 싸운다. 1945년 전쟁이 끝나고 남은 것은 이 드넓은 중국 대륙을 누가 차지하느냐 였다. 이에 공산당과 국민당은 중국 대륙을 차지하기 위해 다시 전쟁을 시작한다.
+
1936년 12월 [[장개석]]의 부하였던 [[장학량]]은 서안사건을 일으킨다. [[장개석]]을 구금하고 [[국민당]]이 [[공산당]]과 연합을 하도록 한 것. 이 일로 인해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의 싸움은 잠시 정지가 되고 점점 중국 대륙으로 침략해 오는 일본에 대해 힘을 합쳐 맞서게 된다. 1937년 항일전쟁이 일어나고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같이 싸운다. 1945년 전쟁이 끝나고 남은 것은 이 드넓은 중국 대륙을 누가 차지하느냐 였다. 이에 공산당과 국민당은 중국 대륙을 차지하기 위해 다시 전쟁을 시작한다.

2016년 12월 23일 (금) 21:38 판

모택동

출생 1893년 12월 26일
후난성(湖南省) 샹탄현 사오산 구
사망 1976년 9월 9일
생존시기 청나라 ~ 중화인민공화국
주요 작품 모순론, 신민주주의론 등
관련 활동 정치, 문학,

개요

생애

어린시절

청년시절

공산당 창당

1921년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자 일지는 몰라도 공산주의자는 아니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당시 중국에는 공산당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진독수는 1919년에 러시아인을 통해 코민테른과 접촉을 하기 시작한 상태였고 1921년 드디어 상하이에서 공산당은 창당되었다. 하지만 오해하지 말 것이 이 당시의 모택동은 창당대회에 참여하기는 했을지언정 결코 당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금 상하이에 가보면 공산당 창당 기념관이 있는데, 모택동이 회의 당시 일어나서 연설을 하는 듯한 모형이 전시되어있다. 하지만 과연 실제 회의에서 이러한 연설을 했을지는 거짓일 가능성이 높다.)

공산당 생활

공산당 창립 이후, 이곳에 속해 있는 동안 모택동은 (자신이 농민출신이라서 인지) 농민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졌고 농민들 안에 내재되어 있는 힘을 파악하였다. 1922년 당시 모택동은 호남성 지부의 서기로 있었는데 훗날 회고하기를 당시 진독수 휘하의 공산당의 활동은 주로 학생과 노동자들에게 집중이 되었을 뿐, 농민들에게는 거의 눈을 돌리지 않았었다고 한다.[1] 1927년에는 농민의 혁명 투쟁에 대한 당시 당내외의 비판들에 답변하기 위해 『호남농민운동 시찰보고』라는 글을 써 중앙위원회에 제출하며 [2] 농민 운동에 대한 새로운 노선을 채택하도록 촉구하였다. 하지만 진독수를 위시한 공산당은 여전히 농민에게 관심이 없었다. 당이 농민에게 내재된 가능성을 간과하고 시간이 흐른 뒤, 1927년 장개석국민당이 4.12 사건을 일으킨다. 이 사건으로 공산당에 소속된 노동자들은 학살당하였으며 국민당과 정부 내에서 공산주의자들을 축출하여 무한에 있던 공산당 무한정부는 결국 소멸되고 만다.

정강산 시절

1927년 8월 1일 국민당의 학살에 대한 반동으로 하룡엽정이 이끄는 제20군은 주덕과 힘을 합쳐 남창봉기를 일으킨다. (이를 기려 지금도 중국의 8월1일은 군인의 날이다.) 모택동 또한 소규모 군대로 농민 봉기를 일으키며 호남성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마지막엔 정강산에 들어간다. (흔히들 이 정강산을 지리산에 들어간 빨치산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정강산은 산새가 험하고 둘레 500리, 직경 80리가 되는 거대한 산이다.) 모택동은 1927년 겨울부터 1929년 초까지 정강산에 있었는데 이곳에 있는 동안 힘을 크게 키운다. 당시 정강산에서 산적을 하고 있던 왕좌와 원문재의 군대를 합류시키고 1928년 5월에는 주덕의 군대가 정강산에 도착하였고 ‘모주군毛朱軍’이라고 불리는 유명한 홍군 제4군이 탄생하였다. 정강산은 지형이 험하고 요새로서의 기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이 산을 탈환하기 위한 국민당의 군대들을 모두 물리쳤다. 1929년이 1월 이들은 정강산에서 나왔다.

강서 소비에트 성립

정강산에서 나온 이들은 강서성 남부지역에서 혁명 운동을 벌이기 시작하였고 여러차례 성공을 거둔다. 차츰 강서성 남부는 거의 홍군의 수중에 장악되었고 1929년 12월 복건성 서부지역에서 개최된 제 4군 제 9차 당원대표회의에서 이들은 강서성에 소비에트 권력을 수립하기로 합의한다. 이들의 첫 근거지가 수립된 셈이다. 하지만 장제스는 이들이 근거지를 마련한 것을 그냥 눈뜨고 지켜볼 수 없었는데 이들을 없애버리기 위한 초공전을 계획한다. 1930년 말. 제 1차 초공전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후에 이러지는 계속된 초공전에도 홍군의 강서 소비에트는 무너지지 않았는데 이들을 정강산 시절부터 써오던 게릴라 전략으로 국민당의 군대에 맞섰기 때문이다. 게릴라 전략은 다음과 같다.
敌进我退-적이 오면 우리는 도망간다.
敌止我扰-적이 멈추면 우리는 적을 괴롭힌다.
敌避我击-적이 피하면 우리는 공격한다.
敌退我进-적이 도망치면 우리는 추격한다.
제 4차 초공전까지는 홍군이 승리를 거두지만 제 5차 초공전은 그 양상이 달랐다.

대장정

대정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 참고
독일에서 군사 고문까지 초빙해 홍군의 씨를 말리려고 한 장개석의 5차 초공전으로 인해 1934년 10월 강서 소비에트는 붕괴를 맞이하게 되고 이들을 그 끝을 모르는 후퇴를 하게 된다. 처음 시작을 할 당시만 하더라도 길을 걸어가는 그 누구도 이 걸음이 1년동안 이어진 대장정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처음에 8만여명이 출발하였으나 1년이라는 시간동안 사람이 다닐 수 없는 길을 걸으며 산시성 북부에 도착할 때는 6천여명의 병사만이 남아있지 않았다. 이들은 1935년 10월 368일간의 장정의 종언을 선언하고 이곳에서 힘을 키운다.

제2차 국공합작

1936년 12월 장개석의 부하였던 장학량은 서안사건을 일으킨다. 장개석을 구금하고 국민당공산당과 연합을 하도록 한 것. 이 일로 인해 공산당국민당 사이의 싸움은 잠시 정지가 되고 점점 중국 대륙으로 침략해 오는 일본에 대해 힘을 합쳐 맞서게 된다. 1937년 항일전쟁이 일어나고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같이 싸운다. 1945년 전쟁이 끝나고 남은 것은 이 드넓은 중국 대륙을 누가 차지하느냐 였다. 이에 공산당과 국민당은 중국 대륙을 차지하기 위해 다시 전쟁을 시작한다.

  1. 에드가 스노우, 홍수원 외 3명 옮김, 『중국의 붉은 별』, 2004, p.189
  2. 모택동, 김승일 옮김, 『모택동 선집』, 범우사, 2001, p.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