畫
語源
‘화(画)’는 원래 ‘토지의 경계를 구분하다’라는 뜻이다. 《설문해자》에서는 ‘화(画)는 경계(界)이다. 밭의 모양처럼 4개로 나누어지는 모습을 붓으로 그리는 것이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갑골문에서는 손으로 붓을 들고 장식을 그리는 모습을 상형했다. 금문에서는 그린 모양을 밭으로 바꾸었는데, 바로 논밭의 경계를 나눈다는 뜻이었다. 설문고문(1)의 자형은 금문과 비슷하다. 설문고문(2)에는 별도로 ‘도(刀)’를 추가해서 ‘흭(劃)’을 만들었다. (‘획(划)’, 뾰족한 것으로 물건을 가를 때 쓰는 단어) 그림을 그리게 한다는 뜻의 ‘화(画)’와는 자형이 서로 다른 다른 글자가 되게 했다. 소전에서도 각각 ‘화/획(画)’와 ‘획(划)’을 분별하여 썼다. 예서 《예기비》에서는 전서체의 호필을 곧게 처리하였다. 상형자의 특징이 사라졌다. 그리하여 현대 글자에 접어들었다.
文化
‘畵’는 경계를 나눈다는 뜻이다. ‘聿(율)’로 구성되었으며 밭이 네 개의 경계로 나뉜 모양을 상형하였다. ‘聿’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畵부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畵의 의미를 따른다.[1]
회의. 갑골문에서 붓으로 그림이나 도형을 그리는 모습이며, 이로부터 그림이나 그림을 그리다는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도형 대신 농사지을 땅의 경계를 그리는 모습으로 변화되었고, 이후 周가 田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달리 畫로 쓰기도 하며, 간체자에서는 画로 줄여쓴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