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語源
고대에, 사람들은 수렵을 했는데, 때때로 머리 위에 짐승의 뿔 또는 깃털을 모아 장식하여 착용했는데, 이는 짐승들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해서였다. 그 후 그 짐승의 뿔이나 깃털은 점점 장식품이 되었는데, 머리에 착용하는 것은 미(美)의 상징이 되었다. 이는 갑골문과 초기 금문의 미(美)자의 유래가 되었다. 후대에 미(美)자는 양(羊)과 대(大)를 따라, 이로부터 변화 발전하여 이르러, 머리의 착용하는 양의 뿔이(혹은 양의 털이) 미(美)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미(美)자는 본래 사람의 옷차림이 예쁘고 보기 좋다는 뜻인데, 사람의 용모, 성색(声色), 재덕(才德) 또는 품격의 좋음을 가리키는 동시에 음식물의 맛의 감미로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文化
지금의 동북 악륜춘족(鄂倫春族)의 모자는 가죽으로 사슴의 머리 모양을 만드는데, 이것은 고대의 상황과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암각화에 그려진 수많은 사람들의 머리 부분에 역시 깃털, 돌물의 뿔과 유사한 장식을 하고 있다. 이 한자로부터, 미(美)의 관념은 복식(服飾)에서 그 기원이 출발하였음을 할 수 있다.[1] (악륜춘족의 모자는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기 바란다.)
혹은 대(大)자가 양(羊)자를 수식하고 있는 것으로 털이 많은 살찐 양의 형상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고깃국 갱(羹)[2]을 보면 아래에 미(美)자가 있고, 미(美)자가 감미롭다는 맛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살찐 양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양에 관련된 또 다른 해석은 또 다른 해석은 제사를 위한 ‘희생물’로서의 양이다. 고대에 중요한 제사에서는 소를 희생양으로 삼았는데, 소는 크고 또 농경의 역축으로서 귀중한 가축이었기 때문에 일상적 제사에서 사용하는 일은 드물었다. 신에게 바치는 희생은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희생물이 크면 클수록 신은 기뻐하는 것이고, 제사에 참가한 사람들이 뒤에 먹는 음복물도 그만큼 많아진다. 그래서 제사를 드리는 사람은 될 수 있는 대로 큰 양을 골라 바쳤다. 그때의 큰 양을 ‘미(美)(훌륭한 것이라는 뜻)’라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미(美)’라는 글자는 ‘양(羊)’과 ‘대(大)’로 되어 있는 것이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