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Ro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9일 (화) 16:54 판 (文化)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차례 번.png

番은 ‘蹯’의 본자다. 금문의 番자는, 윗 부분은 들짐승의 발바닥 자국이고, 아랫 부분은 밭(田)을 따른다. 들짐승이 밭 사이에 남긴 족적(발자국)을 나타낸다.
番의 본래 의미는 짐승의 발인데, 파생되어 교체하다. 교대하다란 뜻이 되었다. 또 양사로도 쓰여, 次(차), 種(종)의 뜻과 같다.
이전엔 한족이 다른 민족을 멸시해서, 소수민족 혹은 외국을 ‘번방(番邦)’이라 불렀다. 즉 금수와 같고 야만스러운 나라란 뜻이다. 과거에 중국의 서부 변두리 지구를 번지(番地)라고 했다. 당나라 때엔 吐蕃(토번족)을 많이 가리켰다. 번역(番役)은 교대로 복역하다는 의미이다. 또 붙잡힌 죄인의 부역을 가리킨다. 또 ‘번자(番子)’라고도 한다.

文化

짐승의 발을 番이라고 하며, 뒷날 膰(제사고기 번)으로 적게 되었다. [1]
釆(변)은 『설문해자』에서 '변별하다'는 의미로 풀이하는데, 짐승의 발톱 모양으로 보아야 한다. 여기에 짐승의 발바닥 모양을 더한 것은 番으로 『설문해자』에서는 짐승의 발을 番이라고 하며, 그 살을 膰(제사고기 번)이라고 한다. 熊掌은 熊番(『국어』「초어楚語」 하)이라고도 한다.[2]
육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釆자와 초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田의 형태가 합쳐진 글자다. 땅에 찍힌 발자국으로 짐승이 지나친 차례를 알 수 있다 하여 그 뜻이 차례가 된다는 해석이 있다.[3]
논에 물을 대기 위해서 마을에서 돌려가며 사용하는 무자위(釆변. 발로 밟는 물레방아)를 표현하거나, 또는 반복해서 밭에 씨앗을 뿌리는 모습으로 의미를 표현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4]

番자를 구성하는 윗부분의 釆(변)자와 아랫부분의 田의 형태는 모두 짐승의 발자국을 나타낸다. 한자를 처음 만들 때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보고 형태를 만들었고 이로인해 인간은 사물을 변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설문해자』에서는 釆(변)을 '변별하다'는 의미로 설명한 것이다. 釆은 나중에 자세히 관찰하다, 분석하다는 의미로 발전되었고, 審(자세히 살피다), 釋(분석하다), 悉(자세히 알다)는 단어에 그 의미가 남아있다. [5]

  1.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한자-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p.171
  2.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한자의 세계』, 솔, p.334
  3. 김종혁, 『부수로 아는 한자』, 중앙에듀북스, p.15
  4. 김인종, 『상형의 원리로 배우는 그림한자』, 바다출판사, p.234
  5. 何九盈 외,『中國漢字文化大觀』, 北京大學出版社, p.4